에볼라 치료제의 하나로 개발이 진행되어 왔던 약물인 브린시도포비르(brincidofovir)의 개발이 멈춰섰다.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州 더럼에 소재한 경구용 항균제 개발 전문 제약기업인 키메릭스社(Chimerix)는 FDA와 협의를 진행한 끝에 브린시도포비르를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 현재 진행 중이었던 임상시험 뿐 아니라 차후 착수될 예정이었던 임상시험도 전면적으로 중단키로 했다고 지난달 30일 공표했다.
키메릭스측이 이날 중단을 발표한 임상시험 가운데는 영국 옥스퍼드대학 연구진의 도움으로 아프리카 라이베리아에서 지난달 착수가 발표되었던 시험과 브린시도포비르를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임상 2상 시험도 포함됐다.
이날 키메릭스측은 “지난 수 주 동안 라이베리아에서 확진된 에볼라 바이러스 신규환자 수가 눈에 띄게(significantly) 감소한 가운데 옥스퍼드대학과 국제 SARS 및 신생 전염병 컨소시엄(ISARIC)이 주도하고 국경없는 의사회의 지원으로 착수된 브린시도포비르의 임상시험에도 지금까지 소수의 환자들만이 등록을 마쳤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하지만 에볼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추가진행을 중단키로 한 이번 결정이 동종이계 조혈모세포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들에게서 거대세포 바이러스(cytomegalovirus) 감염을 예방하고, 아데노바이러스에 감염된 면역력 약화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위한 목적으로 진행 중인 브린시도포비르의 관련연구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며 키메릭스측은 선을 그었다.
키메릭스社의 M. 미셸 베리 회장은 “에볼라가 창궐하는 동안 시험이 진행 중인 한 약물의 첫 번째 임상시험에 착수하기 위해 국경없는 의사회의 지원으로 옥스퍼드대학 및 ISARIC 연구진과 함께 공동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던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했다”며 “덕분에 라이베리아에서 창궐한 에볼라를 억제하는 데 진일보가 가능했음은 인정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뒤이어 베리 회장은 “이식수술을 받았거나 기타 면역력이 약화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중증 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브린시도포비르가 도움을 줄 수 있기 위해 진행해 왔던 연구에는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코로나19 여름 재유행 현실화?…고위험군 치료 공백 커진다 |
2 | 아마존 2분기 뷰티 TOP 10, K-뷰티 '메디큐브' 유일 |
3 | 바이오솔루션 '카티라이프' 한국 세포치료제 새 이정표 쓰다…"FDA 2상 성공" |
4 | 자사주 손질 나선 제약사들…상법 개정에 '지분 재편' 본격화 |
5 | 약준모, '영리형 창고약국' 관련자 영구 가입 금지…회칙 개정 단행 |
6 | 더바이오메드, 경영권 변경 양수도계약 체결 |
7 | "AI가 심사하는 시대 온다"…식약처, 의약품 평가 디지털 전환 가속 |
8 | '블록버스터' 특허절벽! ‘키트루다’도 가고 ‘다잘렉스’도 가고.. |
9 | 아포텍스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캐나다서 승인 |
10 | 옵디보·여보이, 간세포암 1차 치료 대한 적응증 추가 승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에볼라 치료제의 하나로 개발이 진행되어 왔던 약물인 브린시도포비르(brincidofovir)의 개발이 멈춰섰다.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州 더럼에 소재한 경구용 항균제 개발 전문 제약기업인 키메릭스社(Chimerix)는 FDA와 협의를 진행한 끝에 브린시도포비르를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 현재 진행 중이었던 임상시험 뿐 아니라 차후 착수될 예정이었던 임상시험도 전면적으로 중단키로 했다고 지난달 30일 공표했다.
키메릭스측이 이날 중단을 발표한 임상시험 가운데는 영국 옥스퍼드대학 연구진의 도움으로 아프리카 라이베리아에서 지난달 착수가 발표되었던 시험과 브린시도포비르를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임상 2상 시험도 포함됐다.
이날 키메릭스측은 “지난 수 주 동안 라이베리아에서 확진된 에볼라 바이러스 신규환자 수가 눈에 띄게(significantly) 감소한 가운데 옥스퍼드대학과 국제 SARS 및 신생 전염병 컨소시엄(ISARIC)이 주도하고 국경없는 의사회의 지원으로 착수된 브린시도포비르의 임상시험에도 지금까지 소수의 환자들만이 등록을 마쳤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하지만 에볼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추가진행을 중단키로 한 이번 결정이 동종이계 조혈모세포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들에게서 거대세포 바이러스(cytomegalovirus) 감염을 예방하고, 아데노바이러스에 감염된 면역력 약화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위한 목적으로 진행 중인 브린시도포비르의 관련연구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며 키메릭스측은 선을 그었다.
키메릭스社의 M. 미셸 베리 회장은 “에볼라가 창궐하는 동안 시험이 진행 중인 한 약물의 첫 번째 임상시험에 착수하기 위해 국경없는 의사회의 지원으로 옥스퍼드대학 및 ISARIC 연구진과 함께 공동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던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했다”며 “덕분에 라이베리아에서 창궐한 에볼라를 억제하는 데 진일보가 가능했음은 인정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뒤이어 베리 회장은 “이식수술을 받았거나 기타 면역력이 약화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중증 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브린시도포비르가 도움을 줄 수 있기 위해 진행해 왔던 연구에는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