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스다임(대표 김성재)은 서울시가 주관하고 서울경제진흥원(SBA)이 운영하는 2025년 서울형 R&D바이오·의료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에서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최종 선정되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포바이오코리아, 성신여자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과의 산·학 공동협력체계로 진행된다.
포바이오코리아는 AI 기반 중분자의약품 타겟 발굴 및 검증을, 성신여대 연구산학협력단은 NC-LS 기반의 수용성 자가조립 입자 구조체 기술 및 효능평가를 각각 맡는다. 백스다임은 이를 바탕으로 중분자의약품 생산용 세포주 제작 및 품질평가 방법의 표준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과제는 총 5억 3천만 원(정부지원금 4억 원 규모) 규모로 수행된다. ‘AI 활용 중분자의약품 후보물질 도출 및 NC-LS 융합 구조체 기반 전달 플랫폼 공정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첨단바이오소재 후보물질을 탐색하고, 새로운 전달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김성재 백스다임 대표는 “백스다임의 원천기술인 샤페나(Chaperna) 기술이 적용된 NC(Nucleocapsid,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는 표적 단백질과 결합하는 캡시드 단백질로, 항원성과 안정성이 뛰어나다”며 "LS(Lumazine Synthase, 루마진 합성효소)는 특정 대사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이자, 자가조립 특성이 우수한 단백질로, 이 두 단백질을 융합하면 수용성 입자형 전달체를 구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김대표는 “이 구조체는 중분자의약품의 체내 안정성, 조직 투입 효율, 표적 작용의 극대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스다임의 핵심 기술인 샤페나(Chaperna)는 미생물(대장균)을 활용한 독자적 원천기술로, 펩타이드 및 단백질을 최저가로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는 혁신적 생산 플랫폼이다. 복잡한 단백질을 고효율·고품질로 합성함과 동시에 생산 공정의 단순화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김대표는 “이러한 기술력은 GLP-1, 성장인자 등 기능성 펩타이드 및 단백질 기반 첨단 바이오소재 개발에도 적용되어, 의약품, 의료기기, 기능성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소재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본 과제를 통해 백스다임은 AI 기술을 접목하여 후보물질을 신속하게 탐색·선정하고, NC-LS 융합체 기반의 자가조립 전달 플랫폼을 국내 최초로 생산공정까지 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대표는 “AI와 혁신 단백질 융합 기술로 국내 첨단 바이오소재 개발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효과적인 전달 플랫폼 개발을 바탕으로 신약 시장 진출과 기술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백스다임은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 등으로부터 27억 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등 누적 자금 조달액은 98억 원에 이른다. 연세대학교 의료원 산학협력단과 공동 개발한 미생물 기반 바이러스 유사 입자 신속개발기술과 관련해 국내 특허 4건을 확보하고, 미국·유럽·일본·중국 등 국가에 15개국에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신테카바이오의 'AI바이오 슈퍼컴센터'에 가다 |
| 2 | [약업 분석] HLB그룹 상반기 영업익 -992억원·순익 -2330억원 적자 |
| 3 | 콜마·코스맥스 '멈칫'하고 코스메카 '반등'…ODM 3사 희비교차 |
| 4 | '약국전용 의약외품' 온라인 최저가 판매.."제약·약국·소비자 ‘공멸' 지름길" |
| 5 | 건보공단 인건비 6000억 과다지급…종결 사안 재이슈화에 ‘정치 공세’ |
| 6 | 아스테라시스,역대 3분기 최대 실적…프리미엄 제품 ‘쿨소닉’ 판매 호조 |
| 7 | “LDL-C는 가능한 낮게, 가능한 빠르게…심혈관질환 예방 핵심” |
| 8 | 로레알, 한국 스킨케어 브랜드 ‘닥터지’ 미국 데뷔 |
| 9 | CG인바이츠, AACR-KCA서 '차세대 항암백신 플랫폼' 발표 |
| 10 | 명인제약, 3Q 누적 7%↑ 2152억원..R&D비-상품매출 증가↑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백스다임(대표 김성재)은 서울시가 주관하고 서울경제진흥원(SBA)이 운영하는 2025년 서울형 R&D바이오·의료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에서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최종 선정되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포바이오코리아, 성신여자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과의 산·학 공동협력체계로 진행된다.
포바이오코리아는 AI 기반 중분자의약품 타겟 발굴 및 검증을, 성신여대 연구산학협력단은 NC-LS 기반의 수용성 자가조립 입자 구조체 기술 및 효능평가를 각각 맡는다. 백스다임은 이를 바탕으로 중분자의약품 생산용 세포주 제작 및 품질평가 방법의 표준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과제는 총 5억 3천만 원(정부지원금 4억 원 규모) 규모로 수행된다. ‘AI 활용 중분자의약품 후보물질 도출 및 NC-LS 융합 구조체 기반 전달 플랫폼 공정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첨단바이오소재 후보물질을 탐색하고, 새로운 전달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김성재 백스다임 대표는 “백스다임의 원천기술인 샤페나(Chaperna) 기술이 적용된 NC(Nucleocapsid,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는 표적 단백질과 결합하는 캡시드 단백질로, 항원성과 안정성이 뛰어나다”며 "LS(Lumazine Synthase, 루마진 합성효소)는 특정 대사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이자, 자가조립 특성이 우수한 단백질로, 이 두 단백질을 융합하면 수용성 입자형 전달체를 구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김대표는 “이 구조체는 중분자의약품의 체내 안정성, 조직 투입 효율, 표적 작용의 극대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스다임의 핵심 기술인 샤페나(Chaperna)는 미생물(대장균)을 활용한 독자적 원천기술로, 펩타이드 및 단백질을 최저가로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는 혁신적 생산 플랫폼이다. 복잡한 단백질을 고효율·고품질로 합성함과 동시에 생산 공정의 단순화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김대표는 “이러한 기술력은 GLP-1, 성장인자 등 기능성 펩타이드 및 단백질 기반 첨단 바이오소재 개발에도 적용되어, 의약품, 의료기기, 기능성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소재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본 과제를 통해 백스다임은 AI 기술을 접목하여 후보물질을 신속하게 탐색·선정하고, NC-LS 융합체 기반의 자가조립 전달 플랫폼을 국내 최초로 생산공정까지 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대표는 “AI와 혁신 단백질 융합 기술로 국내 첨단 바이오소재 개발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효과적인 전달 플랫폼 개발을 바탕으로 신약 시장 진출과 기술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백스다임은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 등으로부터 27억 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등 누적 자금 조달액은 98억 원에 이른다. 연세대학교 의료원 산학협력단과 공동 개발한 미생물 기반 바이러스 유사 입자 신속개발기술과 관련해 국내 특허 4건을 확보하고, 미국·유럽·일본·중국 등 국가에 15개국에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