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약사회(회장 김위학) 약국위원회(부회장 위성윤, 약국경영지원본부 유옥하, 위원장 이경보·신승우)는 당뇨병소모성재료 처방전 취급과 관련해 약국 현장의 어려움과 미취급 사유, 개선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6월 13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지역 약국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총 318개 약국이 응답에 참여했다. 이 중 231개 약국(72.6%)은 당뇨소모성재료 처방전을 취급하고 있었으며, 87곳(27.4%)은 미취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급 약국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69.7%가 “처방전 청구가 어렵다”고 답했으며, 이 중 ‘매우 어렵다’는 응답이 44.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어렵다’ 25.5%, ‘보통’ 20.8%, ‘쉽다’ 7.4%, ‘매우 쉽다’는 2.2% 순이었다.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는 ‘복잡한 청구 절차와 장시간 소요’(175명)가 꼽혔으며, 다음으로는 ‘서류 업로드’(125명), ‘위임장 작성 및 관리’(122명), ‘지역 공단 해석 차이에 따른 서류 보완·지급보류’(73명), ‘적용 유형별 구분의 어려움’(40명) 순이었다.
당뇨소모성재료 처방전을 취급하게 된 이유로는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환자 요청’(61.9%)과 ‘병원 처방전 발행’(61.5%)이 주를 이뤘으며, ‘경영적 이점 기대’(24.7%), ‘지역사회 건강기여’(15.6%) 등의 응답도 있었다.
처방전 취급 기간은 ‘5년 이상’이 55%로 가장 많았고, ‘3~5년 미만’ 20.3%, ‘1~3년 미만’ 16.5%, ‘1년 미만’은 8.2%였다.
월 평균 취급 건수는 ‘5건 미만’이 69.7%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5~10건 미만’ 16%, ‘10~20건 미만’ 7.8%, ‘20건 이상’ 6.5% 순이었다.
반면, 미취급 약국이 처방전을 취급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복잡한 절차에 대한 부담’(72.4%)이 가장 높았고, ‘처방전 유입 부족’(43.7%), ‘등록 방법에 대한 정보 부족’(41.4%), ‘재고관리 부담’(35.6%) 등이 뒤를 이었다.
향후 취급 의향에 대해 ‘조건이 개선된다면 고려’(46%)가 가장 많았고, ‘정보 부족으로 판단 유보’(20.7%), ‘현재로서는 계획 없음’(18.4%), ‘처방전 없이 관련 제품만 판매’(11.5%), ‘적극적으로 취급할 계획’(3.4%)도 응답에 포함됐다.
미취급 약국이 꼽은 실질적인 지원 방안으로는 ‘쉬운 청구 프로그램 제공’(93.1%)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이어 ‘서류 샘플 및 작성법 제공’(39.1%), ‘수익성 있는 제품 구비’(29.9%), ‘지역 공단 대응 매뉴얼’(21.8%), ‘모범 사례 공유’(9.2%) 등의 요구가 있었다.
김위학 회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당뇨소모성재료 처방전과 관련된 현장의 목소리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며 “복잡한 청구 절차와 행정 부담이 약국 참여의 가장 큰 장벽이라는 점이 명확해졌다.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시약사회는 이번 결과를 토대로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해 약국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처방전 취급에 나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유옥하 약국경영지원본부장도 “설문 결과는 약국이 처방전 취급을 원해도 현실적인 제약이 많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며 “청구 절차 간소화 등 실질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코로나19 여름 재유행 현실화?…고위험군 치료 공백 커진다 |
2 | 아마존 2분기 뷰티 TOP 10, K-뷰티 '메디큐브' 유일 |
3 | 아포텍스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캐나다서 승인 |
4 | 트럼프·제약업계, 약가 인상 압박…건약 "공공성 지켜야" 비판 |
5 | 영양제들 잇단 호평 '종근당' 2분기 제약사 관심도 1위…보령 2위 부상 |
6 | 알테오젠, 글로벌 바이오 CMC 전문가 이영필 박사 CPO 영입 |
7 | 콜마비앤에이치, '실적부진' 비판에 '역대 최대 매출' 반박 |
8 | 제이엘케이-일본 마루베니 그룹 子,유통 계약...일본 AI 시장 공략 |
9 | 복지부, 의약품‧의료기기 지출보고서 모니터링 예고…의심 정황 살필 듯 |
10 | GC녹십자·한국화이자, 성장호르몬 치료 최신 지견 공유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서울시약사회(회장 김위학) 약국위원회(부회장 위성윤, 약국경영지원본부 유옥하, 위원장 이경보·신승우)는 당뇨병소모성재료 처방전 취급과 관련해 약국 현장의 어려움과 미취급 사유, 개선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6월 13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지역 약국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총 318개 약국이 응답에 참여했다. 이 중 231개 약국(72.6%)은 당뇨소모성재료 처방전을 취급하고 있었으며, 87곳(27.4%)은 미취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급 약국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69.7%가 “처방전 청구가 어렵다”고 답했으며, 이 중 ‘매우 어렵다’는 응답이 44.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어렵다’ 25.5%, ‘보통’ 20.8%, ‘쉽다’ 7.4%, ‘매우 쉽다’는 2.2% 순이었다.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는 ‘복잡한 청구 절차와 장시간 소요’(175명)가 꼽혔으며, 다음으로는 ‘서류 업로드’(125명), ‘위임장 작성 및 관리’(122명), ‘지역 공단 해석 차이에 따른 서류 보완·지급보류’(73명), ‘적용 유형별 구분의 어려움’(40명) 순이었다.
당뇨소모성재료 처방전을 취급하게 된 이유로는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환자 요청’(61.9%)과 ‘병원 처방전 발행’(61.5%)이 주를 이뤘으며, ‘경영적 이점 기대’(24.7%), ‘지역사회 건강기여’(15.6%) 등의 응답도 있었다.
처방전 취급 기간은 ‘5년 이상’이 55%로 가장 많았고, ‘3~5년 미만’ 20.3%, ‘1~3년 미만’ 16.5%, ‘1년 미만’은 8.2%였다.
월 평균 취급 건수는 ‘5건 미만’이 69.7%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5~10건 미만’ 16%, ‘10~20건 미만’ 7.8%, ‘20건 이상’ 6.5% 순이었다.
반면, 미취급 약국이 처방전을 취급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복잡한 절차에 대한 부담’(72.4%)이 가장 높았고, ‘처방전 유입 부족’(43.7%), ‘등록 방법에 대한 정보 부족’(41.4%), ‘재고관리 부담’(35.6%) 등이 뒤를 이었다.
향후 취급 의향에 대해 ‘조건이 개선된다면 고려’(46%)가 가장 많았고, ‘정보 부족으로 판단 유보’(20.7%), ‘현재로서는 계획 없음’(18.4%), ‘처방전 없이 관련 제품만 판매’(11.5%), ‘적극적으로 취급할 계획’(3.4%)도 응답에 포함됐다.
미취급 약국이 꼽은 실질적인 지원 방안으로는 ‘쉬운 청구 프로그램 제공’(93.1%)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이어 ‘서류 샘플 및 작성법 제공’(39.1%), ‘수익성 있는 제품 구비’(29.9%), ‘지역 공단 대응 매뉴얼’(21.8%), ‘모범 사례 공유’(9.2%) 등의 요구가 있었다.
김위학 회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당뇨소모성재료 처방전과 관련된 현장의 목소리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며 “복잡한 청구 절차와 행정 부담이 약국 참여의 가장 큰 장벽이라는 점이 명확해졌다.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시약사회는 이번 결과를 토대로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해 약국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처방전 취급에 나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유옥하 약국경영지원본부장도 “설문 결과는 약국이 처방전 취급을 원해도 현실적인 제약이 많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며 “청구 절차 간소화 등 실질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