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보존,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임상 진입 확정
‘VVZ-3416’...다중 타깃 기반 혁신 치료제 기대
입력 2025.06.19 08:40 수정 2025.06.19 08:5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비보존제약 관계사 비보존은 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VVZ-3416’ 임상 진입을 확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지난 5월 전임상 독성시험에서 안전성을 입증하고, 지난 17일 연구위원회에서 이익 대비 위험 분석을 거친 데 따른 결과다.

VVZ-3416은 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 진행 억제 및 부작용 예방, 근본적 치료 가능성까지 제시하는 다중 타깃 기반 신약후보물질이다. 해당 물질은 모노아민 산화효소-B(MAO-B), 메타보트로픽 글루타메이트 수용체5(mGluR5),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6(HDAC6) 등 세 가지 타깃에 동시 작용하는 저분자 화합물이다.

VVZ-3416은 기존 파킨슨병 치료제 셀레길린이나 라사길린 등과 같은 MAO-B 억제제이면서 동시에 mGluR5 억제제다. 도파민 전구체 레보도파(L-Dopa)와 MAO-B 억제제가 유발할 수 있는 mGluR5 기반 신경독성과 그로 인한 운동이상증(Dyskinesia)을 미연에 방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포 노화와 관련된 HDAC6을 억제해 신경세포 퇴행을 막는 효과도 있다. 랫트 모델(Rat Model)에서 8주간 VVZ-3416을 투여한 결과 위약군은 파킨슨병이 중증으로 진행된 반면 투여군에서는 진행이 완전히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

이두현 비보존그룹 회장은 “VVZ-3416은 비보존 다중 타깃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신약후보물질”이라며 “파킨슨병, 운동이상증, 노인성 치매 및 루게릭병 등 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에 적용 가능한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3개 타깃 모두 비만과 관련된 기전이 있어 고지방 식이를 한 마우스 모델에서 투여군 체중이 단 2주 만에 위약군 대비 약 10% 감소했다”며 “4~8주 이상 장기투여 실험도 진행 중이며 비만 치료제 가능성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비보존은 내년 하반기 국내 임상 1상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HPV는 누구나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성별 불문, 예방접종 확대돼야"
'기분 탓'이라 넘기기엔 너무 위험…양극성장애, 평균 진단까지 6년
이헌수 대표 “바이오메디앙,기술력·생체시료 분석기술 바탕 진단-치료 연결”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비보존,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임상 진입 확정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비보존,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임상 진입 확정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