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유전체 기반 신약개발기업’ CG인바이츠(대표 이호영, 오수연)가 현재 서비스 중인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검사 (NGS) 및 마이크로어레이 (Microarray) 임상검사 부문에서 미국 병리학회(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CAP) 인증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1961년 설립된 CAP는 병리학계에서 세계 최대 규모 학회이자 가장 권위있는 임상검사실 인증기관으로, CAP인증 획득은 임상검사실 정도관리 국제 기준 및 표준으로 여겨진다. 해당 인증은 임상 검사를 제공하는 검사 실적, 관리, 기록뿐 아니라 임직원들의 업무 처리수준, 시설 상태, 장비, 안전 및 운영 등 모든 부분에서 최고 수준으로 관리가 되고 있는지에 대해 심사위원단 현장 실사를 거쳐야 최종 인증을 획득할 수 있다.
CG인바이츠는 이번 인증 획득으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검사 및 마이크로어레이임상검사 프로세스가 글로벌 최고 수준임을 인정받았으며, 국내에서 비의료기관으로는 유일하게 CAP 인증을 획득한 기관이 됐다.
오수연 대표이사는 "이번 CAP 인증 획득을 통해 글로벌 최고 수준 유전체 분석서비스가 가능해졌으며 국내는 물론 해외 시장에서 유전체 분석 서비스 대외 경쟁력을 강화해 더 많은 검사 서비스를 활발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고 밝혔다.
한편, CG인바이츠가 포함된 인바이츠생태계는 데이터 기반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질환관리 및 AI기반 질환예측 구현을 목표로 구성된 헬스케어 기업군으로, 서로가 보유한 핵심역량들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데이터 측정 및 수집, 분석과 융합에서 상용화에 이르는 맞춤형 정밀 헬스케어 전 주기 가치사슬을 구축하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미국, 비만 치료 확대· 치료제 의료보험 적용 추진...왜? |
2 |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평균 연구개발비, 코스피 176억원‧코스닥 29억원 |
3 | 비보존제약 7월 사후마진 4→3%…유통업계, 얀센發 '도미노' 우려 |
4 | 리가켐바이오, 또 한번 밸류업㊤ “ADC 독성 난제 해결사…파이프라인만 30여개” |
5 | 화장품 기업 76개사 1Q 타사상품 유통매출 평균 106억…전년비 1.9%↓ |
6 | 강희철 대표 "지에프씨생명과학, 식물 유래 '엑소좀' 넘버원 기업 도약할 것" |
7 | “‘제네릭‧개량신약’ 제도 보완해야…저렴하게 공급 시 약가인하율 일부 면제 필요” |
8 | “대상포진 고령화 사회의 ‘필수 방어전’… 치료보다 예방이 훨씬 값지다” |
9 | 의약품유통업계, 한국얀센 2% 마진 인하에 대응 기류 확산 |
10 | 미국 관세에 멈칫한 현지 브랜드… 한국은 대응 속도 높인다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디지털 유전체 기반 신약개발기업’ CG인바이츠(대표 이호영, 오수연)가 현재 서비스 중인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검사 (NGS) 및 마이크로어레이 (Microarray) 임상검사 부문에서 미국 병리학회(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CAP) 인증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1961년 설립된 CAP는 병리학계에서 세계 최대 규모 학회이자 가장 권위있는 임상검사실 인증기관으로, CAP인증 획득은 임상검사실 정도관리 국제 기준 및 표준으로 여겨진다. 해당 인증은 임상 검사를 제공하는 검사 실적, 관리, 기록뿐 아니라 임직원들의 업무 처리수준, 시설 상태, 장비, 안전 및 운영 등 모든 부분에서 최고 수준으로 관리가 되고 있는지에 대해 심사위원단 현장 실사를 거쳐야 최종 인증을 획득할 수 있다.
CG인바이츠는 이번 인증 획득으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검사 및 마이크로어레이임상검사 프로세스가 글로벌 최고 수준임을 인정받았으며, 국내에서 비의료기관으로는 유일하게 CAP 인증을 획득한 기관이 됐다.
오수연 대표이사는 "이번 CAP 인증 획득을 통해 글로벌 최고 수준 유전체 분석서비스가 가능해졌으며 국내는 물론 해외 시장에서 유전체 분석 서비스 대외 경쟁력을 강화해 더 많은 검사 서비스를 활발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고 밝혔다.
한편, CG인바이츠가 포함된 인바이츠생태계는 데이터 기반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질환관리 및 AI기반 질환예측 구현을 목표로 구성된 헬스케어 기업군으로, 서로가 보유한 핵심역량들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데이터 측정 및 수집, 분석과 융합에서 상용화에 이르는 맞춤형 정밀 헬스케어 전 주기 가치사슬을 구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