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설립 40년을 맞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권석윤, 이하 생명연)은 5월 20일(화) 부산 벡스코에서 ‘KRIBB 40th Anniversary Symposium’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생명연 권석윤 원장, 생화학분자생물학회 강봉균 회장을 비롯한 관련 연구자 등이 참석했으며, 생명연의 지난 40년간 주요성과와 더불어 첨단바이오 분야 선도기관을 지향하는 통찰과 전망을 구성원 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유향숙 명예연구원의 ‘한국형 유전체 연구의 시작’이라는 기조 강연을 시작으로 △난치성 암 치료를 위한 NK세포치료제의 임상연구(최인표 인게니움테라퓨틱스 CTO), △차세대 정밀의료를 향한 도전 : 유전자·세포치료의 성과와 전략적 비전(정경숙 유전자 세포치료 전략연구단장) △합성생물학 국가전략을 이끄는 KRIBB(이대희 합성생물학연구센터장) 등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생화학분자생물학회 강봉균 회장은 축사에서 “생명연이 지난 40년간 쌓아온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미래 생명과학을 선도하며 인류에더 나은 미래를 제시하는 연구 기관으로 더욱 발전하리라 굳게 믿는다”며, “생화학분자생물학회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변함없는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 생명과학의 빛나는 미래를 함께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생명연 권석윤 원장은 개회사에서 “우리 연구원의 40년 역사를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라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깊이 이해하는 의미 있는 자리”라고 이번 심포지엄의 취지를 밝히며, “지난 40년간 쌓아온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반 첨단바이오 기술 개발, 지속가능한 바이오경제 네트워크 등 인류가 직면한 다양한 도전에 맞서 싸우며 미래 생명과학 연구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기관으로 더욱 발전해 나갈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미국, 비만 치료 확대· 치료제 의료보험 적용 추진...왜? |
2 |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평균 연구개발비, 코스피 176억원‧코스닥 29억원 |
3 | 비보존제약 7월 사후마진 4→3%…유통업계, 얀센發 '도미노' 우려 |
4 | 리가켐바이오, 또 한번 밸류업㊤ “ADC 독성 난제 해결사…파이프라인만 30여개” |
5 | 화장품 기업 76개사 1Q 타사상품 유통매출 평균 106억…전년비 1.9%↓ |
6 | 강희철 대표 "지에프씨생명과학, 식물 유래 '엑소좀' 넘버원 기업 도약할 것" |
7 | “‘제네릭‧개량신약’ 제도 보완해야…저렴하게 공급 시 약가인하율 일부 면제 필요” |
8 | 의약품유통업계, 한국얀센 2% 마진 인하에 대응 기류 확산 |
9 | “대상포진 고령화 사회의 ‘필수 방어전’… 치료보다 예방이 훨씬 값지다” |
10 | 미국 관세에 멈칫한 현지 브랜드… 한국은 대응 속도 높인다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올해로 설립 40년을 맞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권석윤, 이하 생명연)은 5월 20일(화) 부산 벡스코에서 ‘KRIBB 40th Anniversary Symposium’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생명연 권석윤 원장, 생화학분자생물학회 강봉균 회장을 비롯한 관련 연구자 등이 참석했으며, 생명연의 지난 40년간 주요성과와 더불어 첨단바이오 분야 선도기관을 지향하는 통찰과 전망을 구성원 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유향숙 명예연구원의 ‘한국형 유전체 연구의 시작’이라는 기조 강연을 시작으로 △난치성 암 치료를 위한 NK세포치료제의 임상연구(최인표 인게니움테라퓨틱스 CTO), △차세대 정밀의료를 향한 도전 : 유전자·세포치료의 성과와 전략적 비전(정경숙 유전자 세포치료 전략연구단장) △합성생물학 국가전략을 이끄는 KRIBB(이대희 합성생물학연구센터장) 등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생화학분자생물학회 강봉균 회장은 축사에서 “생명연이 지난 40년간 쌓아온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미래 생명과학을 선도하며 인류에더 나은 미래를 제시하는 연구 기관으로 더욱 발전하리라 굳게 믿는다”며, “생화학분자생물학회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변함없는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 생명과학의 빛나는 미래를 함께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생명연 권석윤 원장은 개회사에서 “우리 연구원의 40년 역사를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라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깊이 이해하는 의미 있는 자리”라고 이번 심포지엄의 취지를 밝히며, “지난 40년간 쌓아온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반 첨단바이오 기술 개발, 지속가능한 바이오경제 네트워크 등 인류가 직면한 다양한 도전에 맞서 싸우며 미래 생명과학 연구를 선도하는 세계적인 기관으로 더욱 발전해 나갈 것이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