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마비앤에이치는 지난해 전년보다 매출은 증가했으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역성장했다. 특히 4분기엔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전기 대비 감소했다.
약업신문 자매지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5년 3월 사업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콜마비앤에이치는 2024년 한해동안 615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 5796억원 대비 6.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46억원, 순이익은 172억원으로, 각각 전년비 18.6%, 8.2% 하락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은 공시하지 않았다. 연구개발비는 135억원을 사용해 전년 121억원 대비 12.4% 증가했다. 전체 매출액 대비 비중(이하 비중)은 2.2%다.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2288억원으로 전년 2052억원 대비 11.5% 증가했다. 비중은 37.2%다.
4분기 매출은 1421억원으로 전년동기 1474억원 대비 3.7%, 전년동기 1457억원 대비 2.5% 각각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32억원으로 전기 41억원 대비 20.7%, 전년동기 40억원 대비 18.8% 각각 역성장했다. 순이익은 21억원으로 전기 36억원 대비 41.8% 급감했다. 4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던 전년동기에 비해선 흑자전환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은 공개하지 않았다. 연구개발비는 31억원으로 전기 34억원 대비 8.9% 줄었으나 전년동기 29억원보다는 6.0% 늘었다. 해외매출 및 수출 실적은 533억원으로 전기 416억원 대비 28.1%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576억원보다는 7.5% 감소했다. 비중은 37.5%다.
△ 사업부문별 실적
콜마비앤에이치의 지난해 누적 실적은 화장품과 식품 모두 매출은 소폭 증가했으나 수익성은 하락했다.
화장품의 지난해 실적은 2787억원으로 전년 2626억원 대비 6% 증가했다. 비중은 45%. 영업이익은 96억원으로 전년 109억원 대비 12% 감소했다. 비중은 39%.
4분기 매출은 659억원으로 전기 625억원 대비 5% 늘었으나 전년동기 954억원보다는 31% 급감했다. 영업이익은 37억원으로 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전기 대비 흑자전환했다. 전년동기 22억원보다도 71% 급성장했다. 비중은 전기 -17%에서 114%로 131%p 높아졌다. 이는 식품사업의 부진 영향이 크다.
식품 사업 부문의 지난해 누적 매출은 3318억원으로 전년 3130억원 대비 6% 증가했다. 비중은 54%. 그러나 영업이익은 124억원으로 전년 176억원 대비 30% 급감했다. 비중은 전년 58%에서 50%로 축소됐다.
4분기 매출은 743억원으로 전기 843억원 대비 12%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488억원보다는 52% 급증했다. 비중은 52%. 2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영업이익을 냈던 전기(53억원) 및 전년동기(8억원) 대비 적자전환했다.
기타 매출은 51억원으로 전년 39억원 대비 30% 성장했다. 비중은 1%. 영업이익은 26억원으로 전년 17억원 대비 56% 증가했다. 비중은 11%.
4분기 매출은 19억원으로 전기 7억원 대비 185%. 전년동기 15억원 대비 23%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1%. 영업이익은 16억원으로 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전기 대비 흑자전환했다. 1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던 전년동기보다는 50% 성장했다. 비중은 49%로 전기 -13%에서 62%p 올랐다.
콜마비앤에이치는 지난해 대부분 지역에서 실적은 상승했다. 그러나 4분기 미국 매출이 급락, 수출시장 다각화에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
지난해 국내 비중이 63%로 가장 컸다. 매출은 3868억원으로 전년 3743억원 대비 3% 증가했다. 4분기의 경우 888억원으로 전기 1059억원 대비 16%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881억원보다는 1% 증가했다. 비중은 63%.
다음으로 비중이 큰 중국에서의 누적 매출은 863억원이다. 전년 793억원 대비 9% 늘었다. 매출 비중은 14%. 4분기 매출은 214억원으로 전기 127억원 대비 68%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248억원보다는 14% 감소했다. 비중은 15%.
러시아 누적 매출은 353억원이며, 전년 312억원 대비 13% 늘었다. 매출 비중은 6%. 4분기 매출은 87억원으로 전기 29억원 대비 195%, 전년동기 81억원 대비 8%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6%.
미국 지역에서의 누적 매출은 151억원이다. 전년 148억원 대비 2% 증가하는 데 그쳤다. 비중은 2%다. 4분기 매출은 11억원으로 전기 41억원 대비 74%, 전년동기 39억원 대비 73% 급감했다. 비중도 전기 3%에서 1%로 축소됐다.
말레이시아, 대만, 싱가포르, 카자흐스탄, 기타 지역에서의 매출은 공시하지 않았다.
△ 종속기업 기여도
콜마비앤에이치의 종속기업들의 경우 매출은 대체로 증가했으나 수익성은 좋지 못한 편이다.
지난해 매출 비중이 가장 큰 종속기업은 국내 소재 ㈜에치엔지다. 누적 매출은 961억원으로 전년 915억원 대비 5% 증가했다. 2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으나 전년 41억원 대비 33% 급감했다.
전년대비 매출 증가폭이 가장 큰 기업도 국내소재 콜마생활건강㈜다. 56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22억원 대비 155% 급성장했다. 그러나 27억원의 순손실이 발생하면서 29억원의 순손실이 났던 전년에 이어 적자상태다.
다른 국내소재 종속기업 콜마스크 ㈜의 지난해 매출은 482억원으로 전년 416억원 대비 16% 증가했다. 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27억원의 순손실이 났던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
국내소재 농업회사 법인 근오농림㈜의 매출은 253억원으로 전기대비 8% 증가했다. 순이익은 13억원으로 전기 12억원 대비 10% 증가했다.
중국 소재 JIANGSU KOLMAR MEIBAO KEJI CO.,LTD의 지난해 매출은 267억원으로 전년 233억원 대비 14% 증가했다. 하지만 76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해 역시 76억원의 순손실이 났던 전년에 이어 적자상태다.
호주법인 KOLMAR BNH AUSTRALIA PTY LTD의 매출은 1억원으로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순이익이 발생해 순손실을 기록했던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플랫폼 기술'로 초대박 친 '에이비엘바이오' 앞날이 더 기대되는 이유 |
2 | 코스피 제약바이오 지난해 순이익 증가율 톱5 '삼진 파미셀 보령 JW중외 JW생명' |
3 | 온코크로스, AACR서 췌장암 치료제 ‘OC212e’ 전임상 성과 첫 공개 |
4 | 메지온 “국제질병분류 개정판, 폰탄 관련 질환코드 처음 발표” |
5 | 지난해 코스피 제약바이오 연구개발비 톱5 ‘셀트리온 삼성바이오 대웅 유한 한미’ |
6 | "R&D 삭감에 제약바이오는 무너졌다" 과학 살릴 다음 대통령은 누구인가? |
7 | 뉴로바이오젠, 美사이렉스바이오에 '티솔라질린' 6.5조 규모 L/O 성공 |
8 | [약업닷컴 분석] 3월 바이오 '3상 8건'…항암제·보톡스·CAR-T까지 임상 승인 러시 |
9 | 지난해 코스피 제약바이오 상품매출 톱5 ‘광동제약 유한양행 종근당 GC녹십자 보령’ |
10 | 화장품 기업 74개사 2024년 순이익 평균 305억…전년比 58.6%↑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콜마비앤에이치는 지난해 전년보다 매출은 증가했으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역성장했다. 특히 4분기엔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전기 대비 감소했다.
약업신문 자매지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5년 3월 사업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콜마비앤에이치는 2024년 한해동안 615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 5796억원 대비 6.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46억원, 순이익은 172억원으로, 각각 전년비 18.6%, 8.2% 하락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은 공시하지 않았다. 연구개발비는 135억원을 사용해 전년 121억원 대비 12.4% 증가했다. 전체 매출액 대비 비중(이하 비중)은 2.2%다.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2288억원으로 전년 2052억원 대비 11.5% 증가했다. 비중은 37.2%다.
4분기 매출은 1421억원으로 전년동기 1474억원 대비 3.7%, 전년동기 1457억원 대비 2.5% 각각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32억원으로 전기 41억원 대비 20.7%, 전년동기 40억원 대비 18.8% 각각 역성장했다. 순이익은 21억원으로 전기 36억원 대비 41.8% 급감했다. 4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던 전년동기에 비해선 흑자전환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은 공개하지 않았다. 연구개발비는 31억원으로 전기 34억원 대비 8.9% 줄었으나 전년동기 29억원보다는 6.0% 늘었다. 해외매출 및 수출 실적은 533억원으로 전기 416억원 대비 28.1%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576억원보다는 7.5% 감소했다. 비중은 37.5%다.
△ 사업부문별 실적
콜마비앤에이치의 지난해 누적 실적은 화장품과 식품 모두 매출은 소폭 증가했으나 수익성은 하락했다.
화장품의 지난해 실적은 2787억원으로 전년 2626억원 대비 6% 증가했다. 비중은 45%. 영업이익은 96억원으로 전년 109억원 대비 12% 감소했다. 비중은 39%.
4분기 매출은 659억원으로 전기 625억원 대비 5% 늘었으나 전년동기 954억원보다는 31% 급감했다. 영업이익은 37억원으로 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전기 대비 흑자전환했다. 전년동기 22억원보다도 71% 급성장했다. 비중은 전기 -17%에서 114%로 131%p 높아졌다. 이는 식품사업의 부진 영향이 크다.
식품 사업 부문의 지난해 누적 매출은 3318억원으로 전년 3130억원 대비 6% 증가했다. 비중은 54%. 그러나 영업이익은 124억원으로 전년 176억원 대비 30% 급감했다. 비중은 전년 58%에서 50%로 축소됐다.
4분기 매출은 743억원으로 전기 843억원 대비 12%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488억원보다는 52% 급증했다. 비중은 52%. 2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영업이익을 냈던 전기(53억원) 및 전년동기(8억원) 대비 적자전환했다.
기타 매출은 51억원으로 전년 39억원 대비 30% 성장했다. 비중은 1%. 영업이익은 26억원으로 전년 17억원 대비 56% 증가했다. 비중은 11%.
4분기 매출은 19억원으로 전기 7억원 대비 185%. 전년동기 15억원 대비 23%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1%. 영업이익은 16억원으로 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전기 대비 흑자전환했다. 1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던 전년동기보다는 50% 성장했다. 비중은 49%로 전기 -13%에서 62%p 올랐다.
콜마비앤에이치는 지난해 대부분 지역에서 실적은 상승했다. 그러나 4분기 미국 매출이 급락, 수출시장 다각화에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
지난해 국내 비중이 63%로 가장 컸다. 매출은 3868억원으로 전년 3743억원 대비 3% 증가했다. 4분기의 경우 888억원으로 전기 1059억원 대비 16%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881억원보다는 1% 증가했다. 비중은 63%.
다음으로 비중이 큰 중국에서의 누적 매출은 863억원이다. 전년 793억원 대비 9% 늘었다. 매출 비중은 14%. 4분기 매출은 214억원으로 전기 127억원 대비 68%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248억원보다는 14% 감소했다. 비중은 15%.
러시아 누적 매출은 353억원이며, 전년 312억원 대비 13% 늘었다. 매출 비중은 6%. 4분기 매출은 87억원으로 전기 29억원 대비 195%, 전년동기 81억원 대비 8%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6%.
미국 지역에서의 누적 매출은 151억원이다. 전년 148억원 대비 2% 증가하는 데 그쳤다. 비중은 2%다. 4분기 매출은 11억원으로 전기 41억원 대비 74%, 전년동기 39억원 대비 73% 급감했다. 비중도 전기 3%에서 1%로 축소됐다.
말레이시아, 대만, 싱가포르, 카자흐스탄, 기타 지역에서의 매출은 공시하지 않았다.
△ 종속기업 기여도
콜마비앤에이치의 종속기업들의 경우 매출은 대체로 증가했으나 수익성은 좋지 못한 편이다.
지난해 매출 비중이 가장 큰 종속기업은 국내 소재 ㈜에치엔지다. 누적 매출은 961억원으로 전년 915억원 대비 5% 증가했다. 2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으나 전년 41억원 대비 33% 급감했다.
전년대비 매출 증가폭이 가장 큰 기업도 국내소재 콜마생활건강㈜다. 56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22억원 대비 155% 급성장했다. 그러나 27억원의 순손실이 발생하면서 29억원의 순손실이 났던 전년에 이어 적자상태다.
다른 국내소재 종속기업 콜마스크 ㈜의 지난해 매출은 482억원으로 전년 416억원 대비 16% 증가했다. 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27억원의 순손실이 났던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
국내소재 농업회사 법인 근오농림㈜의 매출은 253억원으로 전기대비 8% 증가했다. 순이익은 13억원으로 전기 12억원 대비 10% 증가했다.
중국 소재 JIANGSU KOLMAR MEIBAO KEJI CO.,LTD의 지난해 매출은 267억원으로 전년 233억원 대비 14% 증가했다. 하지만 76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해 역시 76억원의 순손실이 났던 전년에 이어 적자상태다.
호주법인 KOLMAR BNH AUSTRALIA PTY LTD의 매출은 1억원으로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순이익이 발생해 순손실을 기록했던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