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임상시험수탁기관(CRO) 클립스비엔씨가 국내 백신 임상시험의 70%를 수행하며 백신 분야의 독보적인 입지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BCG백신 소아 3상과 혼합백신 소아 3상, 코로나19 백신 성인 3상 등 다양한 글로벌 백신 3상시험을 수행하며 국제 수준의 백신 임상시험 실력을 꾸준히 쌓았기 때문이다.
클립스비엔씨(CLIPS BnC)는 2014년 설립 후 의약품‧의료기기 및 융복합 의료제품에 대한 전주기 개발 컨설팅과 임상시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설립 이후 고객 중심의 맞춤형 임상 서비스를 기반으로, 허가 임상(1-3상) 및 후기 임상(4상, PMS, OS, IIT) 등 RA consulting, Medical Writing, Clinical Operation, Data Management, 통계 분석까지 개발 전 단계에 걸친 One-Stop Full Service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클립스비엔씨는 다양한 치료 분야에서 쌓아온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 지사 및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다국가 임상시험(Multi-national Clinical Trial)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오랜 기간 축적된 전문성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품질 임상시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클립스비엔씨의 강점은 △RA 컨설팅부터 IND, NDA 후기 임상까지 종합적인 원스톱 서비스 △다양한 분야의 임상연구자 풀(Pool) △각 직군별 전문성과 높은 경력을 가진 관리자 보유 △체계적인 실무 중심 교육 시스템 운영 등이 있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 출신의 인허가 전문가를 비롯, 전 부서 매니저는 평균 13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실무 중심 전문가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조직을 안정적으로 이끌며 고객사로부터 임상시험 수행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얻고 있다.
백신임상시험에서 오래 축적된 전문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외 다양한 백신개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점은 강점으로 꼽힌다. 특히 코로나19 백신 관련 연구로 식약처 최우수 과제에 선정돼 국가기관으로부터 연구 품질과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한국 주도의 글로벌 백신 3상을 수행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글로벌 백신 임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한국에서 주도적으로 해외 국가까지 관리하는 다국가 임상시험 설계와 운영 경험을 지녀, 국제 수준의 백신 임상시험 수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BCG 백신 소아 3상의 경우 아시아 3개국에서 800명 규모로 수행했으며, 이는 국내 CRO가 주도한 다국가 임상시험 사례로 식약처의 해외기관 실사까지 완료했다.
혼합백신 소아 3상은 아시아 2개국에서 650명 규모로, 코로나19 백신의 성인 3상은 아시아 3개국에서 4000명 규모로 실시했다. 인플루엔자 백신의 소아 3상은 아시아 2개국에서 250명 규모로 수행했다.
이처럼 국내 백신 임상시험의 70% 이상을 수행함에 따라 백신 분야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유지하고 있다.
클립스비엔씨의 백신 임상 주요 고객사는 SK바이오사이언스, GC녹십자, 일양약품, 유바이오로직스, 보령바이오파마, 셀리드, 포스백스, 아이진, 글로박스 등이다. 국내 대표 백신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전략적 협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외에도 카톨릭의대 소아청소년과 명예교수 강진한 교수(MD)가 당사 CTO로, 백신 임상 설계, 의학적 검증 등 전문성과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다.
클립스비엔씨의 임상시험 수행 실적은 약 270건으로, 이 중 임상 3상 비중은 39%, 임상 1~3상 허가임상 비중은 68%다.
영역별로는 백신, 피부과, 심혈관계, 내분비, 정형외과, 호흡기, 안과, 항암 등 다양한 적응증에 대한 수행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케미컬제제, 세포치료제, 바이오의약품, 천연물제제 등 다양한 종류의 의약품과 의료기기의 임상 경험도 지니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미국 FDA 자문위, 제약사 직원 '출입 제한' 조치 파장 |
2 | 화장품 기업 74개사 2024년 해외매출 및 수출 평균 1428억…전년比 16.4%↑ |
3 | [기고 상] 제약업계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설명..제정 배경·의의 |
4 | 닥터노아바이오텍 "3년 내 신약 성패 결정…AI 복합신약 개발로 시간·비용 반의 반" |
5 | "버리지 말고 살리자" 강남구약, ATC 불용 카트리지 활용안 제시 |
6 | 글로벌 ‘톱 50’ 유통기업..화장품 유통 3곳 동승 |
7 | "유사 명칭 의약품 사용 오류 예방 위해 규정 개선 필요" |
8 | EU,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화장품에 '안전성' 경고 |
9 | 신라젠, 항암제 'BAL089' 급성 골수성 백혈병 미국 FDA 임상 승인 |
10 | [기업분석] 대봉엘에스, 2024년 매출 940억원…전년比 7.2%↑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국내 임상시험수탁기관(CRO) 클립스비엔씨가 국내 백신 임상시험의 70%를 수행하며 백신 분야의 독보적인 입지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BCG백신 소아 3상과 혼합백신 소아 3상, 코로나19 백신 성인 3상 등 다양한 글로벌 백신 3상시험을 수행하며 국제 수준의 백신 임상시험 실력을 꾸준히 쌓았기 때문이다.
클립스비엔씨(CLIPS BnC)는 2014년 설립 후 의약품‧의료기기 및 융복합 의료제품에 대한 전주기 개발 컨설팅과 임상시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설립 이후 고객 중심의 맞춤형 임상 서비스를 기반으로, 허가 임상(1-3상) 및 후기 임상(4상, PMS, OS, IIT) 등 RA consulting, Medical Writing, Clinical Operation, Data Management, 통계 분석까지 개발 전 단계에 걸친 One-Stop Full Service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클립스비엔씨는 다양한 치료 분야에서 쌓아온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 지사 및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다국가 임상시험(Multi-national Clinical Trial)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오랜 기간 축적된 전문성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품질 임상시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클립스비엔씨의 강점은 △RA 컨설팅부터 IND, NDA 후기 임상까지 종합적인 원스톱 서비스 △다양한 분야의 임상연구자 풀(Pool) △각 직군별 전문성과 높은 경력을 가진 관리자 보유 △체계적인 실무 중심 교육 시스템 운영 등이 있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 출신의 인허가 전문가를 비롯, 전 부서 매니저는 평균 13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실무 중심 전문가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조직을 안정적으로 이끌며 고객사로부터 임상시험 수행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얻고 있다.
백신임상시험에서 오래 축적된 전문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외 다양한 백신개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점은 강점으로 꼽힌다. 특히 코로나19 백신 관련 연구로 식약처 최우수 과제에 선정돼 국가기관으로부터 연구 품질과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한국 주도의 글로벌 백신 3상을 수행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글로벌 백신 임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한국에서 주도적으로 해외 국가까지 관리하는 다국가 임상시험 설계와 운영 경험을 지녀, 국제 수준의 백신 임상시험 수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BCG 백신 소아 3상의 경우 아시아 3개국에서 800명 규모로 수행했으며, 이는 국내 CRO가 주도한 다국가 임상시험 사례로 식약처의 해외기관 실사까지 완료했다.
혼합백신 소아 3상은 아시아 2개국에서 650명 규모로, 코로나19 백신의 성인 3상은 아시아 3개국에서 4000명 규모로 실시했다. 인플루엔자 백신의 소아 3상은 아시아 2개국에서 250명 규모로 수행했다.
이처럼 국내 백신 임상시험의 70% 이상을 수행함에 따라 백신 분야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유지하고 있다.
클립스비엔씨의 백신 임상 주요 고객사는 SK바이오사이언스, GC녹십자, 일양약품, 유바이오로직스, 보령바이오파마, 셀리드, 포스백스, 아이진, 글로박스 등이다. 국내 대표 백신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전략적 협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외에도 카톨릭의대 소아청소년과 명예교수 강진한 교수(MD)가 당사 CTO로, 백신 임상 설계, 의학적 검증 등 전문성과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다.
클립스비엔씨의 임상시험 수행 실적은 약 270건으로, 이 중 임상 3상 비중은 39%, 임상 1~3상 허가임상 비중은 68%다.
영역별로는 백신, 피부과, 심혈관계, 내분비, 정형외과, 호흡기, 안과, 항암 등 다양한 적응증에 대한 수행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케미컬제제, 세포치료제, 바이오의약품, 천연물제제 등 다양한 종류의 의약품과 의료기기의 임상 경험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