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이 중장기적으로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주주환원을 극대화하기 위한 ‘밸류업 프로그램(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18일 발표했다.
국내 상장 기업 저평가 현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셀트리온은 명확한 성장 목표를 시장에 알리고 강력한 주주환원 의지와 계획을 제시하고자 이번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밸류업 프로그램은 2027년까지 ▲매출성장(연평균 매출액 30% 이상 성장) ▲수익성 개선(자기자본 이익률: ROE 7% 이상 달성) ▲주주환원(3년간 평균 주주환원율 40% 달성) 목표를 골자로 구성했다.
▲ ‘25년 매출액 5조원 달성… ‘27년까지 연평균 30% 이상 성장
매출액은 올해 목표 5조원을 달성하고 오는 2027년까지 연평균 30% 이상 성장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기존 제품 안정적 성장과 신규 제품 빠른 시장 안착을 통해 매출 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실제로 셀트리온은 지난해 램시마, 트룩시마 등 기존 제품들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램시마SC(미국 상품명 짐펜트라), 유플라이마 등 신규 제품(Young portfolio) 매출 비중이 기존 26.1%에서 38.4%로 늘며 연결기준 역대 최대 매출인 3조 5,573억원을 달성했다.
최근 허가 제품 수가 빠르게 늘면서 올해부터 매출 증가세도 뚜렷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존 6개 제품에서 최근 5개를 추가하며 현재 11개까지 늘어났으며, 2030년까지 22개로 제품을 확대할 계획이다.
추가로 합병 후 원가경쟁력이 개선되면서 진입 가능한 시장이 확대되고, 상업화 제품의 증가로 번들링(묶음판매) 전략 구사가 가능해진 것도 매출 확대 전망 요인이다. 더불어 직접 판매 체계를 구축해 유연한 현지 공급을 진행하면서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고 있다.
▲ 매출원가율 개선… 수익성 확대로 ‘27년 ROE 7% 이상 목표
올해부턴 수익성 개선 효과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고(高)원가 재고 소진 ▲생산성 개선(Titer Improvement) ▲3공장 생산 확대 ▲기존제품 개발비 상각 종료 등에 따라 매출원가율(이하 원가율)은 빠르게 낮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2023년말 셀트리온헬스케어와 합병 직전 63%에 육박하던 원가율은 한 해 만에 45% 수준까지 감소했으며, 올 연말 분기 기준 20%대 진입이 예상된다.지속적으로 원가율을 낮춰 2027년에는 연평균 20%대까지 개선된 원가율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과거 셀트리온헬스케어가 보유했던 글로벌 판권과 관련한 약 1,100억원 이상 대규모 상각이 지난해 마무리된 데다, 올해부터는 외형 성장을 통한 이익 레버리지 효과도 뚜렷해질 전망이어서 큰 폭 이익 증가를 기대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수익성 개선을 통해 지난해 2.4% 수준인 자기자본이익률을 7% 이상으로 올린다는 목표다.
▲ 자사주 매입과 소각 병행… 평균 주주환원율 40% 목표, “주주환원 정책 더 늘린다”
셀트리온은 동반 성장을 위한 주주환원 계획도 대폭 강화한다.
우선 배당, 자사주 매입과 소각 등을 통해 적극적인 주주환원을 추진하고, 이 밖에도 비과세 배당 추진 등 추가적인 주주환원을 실시해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3년간 연결순이익 대비 평균 주주환원율 40%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 이익(감가상각 전 영업이익-자본적 지출, EBITDA-CAPEX) 대비 30%를 목표로 현금배당도 점진적으로 늘려 나갈 계획이다.
이미 셀트리온은 주주친화 정책 일환으로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병행해오고 있다. 지난해 약 4,36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과 약 7천억원 이상 자사주 소각을 완료했다. 추가로 지난 12월에도 이사회 결정에 따라 당시 자사주 총 보유 수량 25%에 해당하는 약 5,533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을 추진해 올해 1월 소각을 최종 완료했다. 이에 더해 이달 14일에는 2월 취득을 결정한 약 1,000억원 규모 자사주를 포함해 올해 1월부터 장내서 취득했거나 매입 중인 약 2,033억원 규모 자사주 전량을 소각하기로 결정했다.
아울러 정기주주총회 의결을 거쳐 보통주 1주당 현금 750원과 주식 0.05주 동시 배당도 진행할 예정이다. 총 배당금은 전년대비 약 1.5배 증가한 1,538억원 규모, 배당 주식은 약 1,025만주가 될 전망이다. 이외 ‘자본준비금 감액 승인의 건’을 주주총회 안건으로 상정해, 배당수익 증가 효과가 높은 약 6,200억원 규모 비과세 배당 재원을 마련하고 향후 주주 배당에 활용할 계획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경신하고 신규 제품 성공적 시장 안착과 순조로운 포트폴리오 확장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회사의 비전을 제시하고 주주환원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밸류업 프로젝트를 발표했다”며 “확고한 기업가치 구축과 최고 수준 주주환원 정책으로 투자자들과 동반 성장하며 ‘글로벌 빅파마 도약’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미국 FDA 자문위, 제약사 직원 '출입 제한' 조치 파장 |
2 | 화장품 기업 74개사 2024년 해외매출 및 수출 평균 1428억…전년比 16.4%↑ |
3 | [기고 상] 제약업계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설명..제정 배경·의의 |
4 | 닥터노아바이오텍 "3년 내 신약 성패 결정…AI 복합신약 개발로 시간·비용 반의 반" |
5 | "버리지 말고 살리자" 강남구약, ATC 불용 카트리지 활용안 제시 |
6 | 글로벌 ‘톱 50’ 유통기업..화장품 유통 3곳 동승 |
7 | EU,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화장품에 '안전성' 경고 |
8 | "유사 명칭 의약품 사용 오류 예방 위해 규정 개선 필요" |
9 | 신라젠, 항암제 'BAL089' 급성 골수성 백혈병 미국 FDA 임상 승인 |
10 | [기업분석] 대봉엘에스, 2024년 매출 940억원…전년比 7.2%↑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셀트리온이 중장기적으로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주주환원을 극대화하기 위한 ‘밸류업 프로그램(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18일 발표했다.
국내 상장 기업 저평가 현상이 이어지는 가운데, 셀트리온은 명확한 성장 목표를 시장에 알리고 강력한 주주환원 의지와 계획을 제시하고자 이번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밸류업 프로그램은 2027년까지 ▲매출성장(연평균 매출액 30% 이상 성장) ▲수익성 개선(자기자본 이익률: ROE 7% 이상 달성) ▲주주환원(3년간 평균 주주환원율 40% 달성) 목표를 골자로 구성했다.
▲ ‘25년 매출액 5조원 달성… ‘27년까지 연평균 30% 이상 성장
매출액은 올해 목표 5조원을 달성하고 오는 2027년까지 연평균 30% 이상 성장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기존 제품 안정적 성장과 신규 제품 빠른 시장 안착을 통해 매출 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실제로 셀트리온은 지난해 램시마, 트룩시마 등 기존 제품들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램시마SC(미국 상품명 짐펜트라), 유플라이마 등 신규 제품(Young portfolio) 매출 비중이 기존 26.1%에서 38.4%로 늘며 연결기준 역대 최대 매출인 3조 5,573억원을 달성했다.
최근 허가 제품 수가 빠르게 늘면서 올해부터 매출 증가세도 뚜렷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존 6개 제품에서 최근 5개를 추가하며 현재 11개까지 늘어났으며, 2030년까지 22개로 제품을 확대할 계획이다.
추가로 합병 후 원가경쟁력이 개선되면서 진입 가능한 시장이 확대되고, 상업화 제품의 증가로 번들링(묶음판매) 전략 구사가 가능해진 것도 매출 확대 전망 요인이다. 더불어 직접 판매 체계를 구축해 유연한 현지 공급을 진행하면서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고 있다.
▲ 매출원가율 개선… 수익성 확대로 ‘27년 ROE 7% 이상 목표
올해부턴 수익성 개선 효과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고(高)원가 재고 소진 ▲생산성 개선(Titer Improvement) ▲3공장 생산 확대 ▲기존제품 개발비 상각 종료 등에 따라 매출원가율(이하 원가율)은 빠르게 낮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2023년말 셀트리온헬스케어와 합병 직전 63%에 육박하던 원가율은 한 해 만에 45% 수준까지 감소했으며, 올 연말 분기 기준 20%대 진입이 예상된다.지속적으로 원가율을 낮춰 2027년에는 연평균 20%대까지 개선된 원가율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과거 셀트리온헬스케어가 보유했던 글로벌 판권과 관련한 약 1,100억원 이상 대규모 상각이 지난해 마무리된 데다, 올해부터는 외형 성장을 통한 이익 레버리지 효과도 뚜렷해질 전망이어서 큰 폭 이익 증가를 기대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수익성 개선을 통해 지난해 2.4% 수준인 자기자본이익률을 7% 이상으로 올린다는 목표다.
▲ 자사주 매입과 소각 병행… 평균 주주환원율 40% 목표, “주주환원 정책 더 늘린다”
셀트리온은 동반 성장을 위한 주주환원 계획도 대폭 강화한다.
우선 배당, 자사주 매입과 소각 등을 통해 적극적인 주주환원을 추진하고, 이 밖에도 비과세 배당 추진 등 추가적인 주주환원을 실시해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3년간 연결순이익 대비 평균 주주환원율 40%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 이익(감가상각 전 영업이익-자본적 지출, EBITDA-CAPEX) 대비 30%를 목표로 현금배당도 점진적으로 늘려 나갈 계획이다.
이미 셀트리온은 주주친화 정책 일환으로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병행해오고 있다. 지난해 약 4,36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과 약 7천억원 이상 자사주 소각을 완료했다. 추가로 지난 12월에도 이사회 결정에 따라 당시 자사주 총 보유 수량 25%에 해당하는 약 5,533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을 추진해 올해 1월 소각을 최종 완료했다. 이에 더해 이달 14일에는 2월 취득을 결정한 약 1,000억원 규모 자사주를 포함해 올해 1월부터 장내서 취득했거나 매입 중인 약 2,033억원 규모 자사주 전량을 소각하기로 결정했다.
아울러 정기주주총회 의결을 거쳐 보통주 1주당 현금 750원과 주식 0.05주 동시 배당도 진행할 예정이다. 총 배당금은 전년대비 약 1.5배 증가한 1,538억원 규모, 배당 주식은 약 1,025만주가 될 전망이다. 이외 ‘자본준비금 감액 승인의 건’을 주주총회 안건으로 상정해, 배당수익 증가 효과가 높은 약 6,200억원 규모 비과세 배당 재원을 마련하고 향후 주주 배당에 활용할 계획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경신하고 신규 제품 성공적 시장 안착과 순조로운 포트폴리오 확장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회사의 비전을 제시하고 주주환원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밸류업 프로젝트를 발표했다”며 “확고한 기업가치 구축과 최고 수준 주주환원 정책으로 투자자들과 동반 성장하며 ‘글로벌 빅파마 도약’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