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이노엔 케이캡, 물질특허 2심서도 승소
"국산신약 가치 인정...신약개발 의지 공고히 다지는 계기될 것"
입력 2025.02.06 12:03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케이캡 제품군. ©HK이노엔

HK이노엔은 최근 위식도역류질환 신약케이캡정’ 화합물(물질)특허 관련, 1심에 이어 2심소송에서도 승소했다고 6일 밝혔다특허심판원뿐 아니라 특허법원도 오리지널제품 개발사인 HK이노엔 손을 들어준 것으로, HK이노엔은 해당 특허를 2031년까지 보호받는다.

대한민국 제30호 신약 케이캡은 HK이노엔이 2018 7월 국내 허가를 받은 P-CAB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2019년 출시 후 다양한 적응증과 제형 개발로 작년 한 해에만 2000억원에 가까운 원외처방실적을 기록하며 국내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 1위를 기록 중이다.

HK이노엔은 케이캡에 관한 특허로 2031년까지 존속되는물질특허 2036년까지 존속되는결정형특허를 갖고 있다물질특허의 경우 원존속기간이 2026 12 6일까지였으나 의약품 연구개발 및 허가에 소요된 기간을 인정받아 2031 8 25일까지 존속기간이 연장됐다.

제네릭 사들은 원존속기간 만료직후인 2026년에 제품을 출시하기 위해 오리지널제품인 케이캡의 최초 허가 적응증(미란성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을 제외한 3가지 후속 허가 적응증으로 물질특허에 소극적 권리범위 확인 심판을 청구해왔다

해당 회사들은 연장된 특허권의 효력이 케이캡의 최초 허가 적응증에만 미치고후속 허가 적응증에는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해왔다. 

HK이노엔은 김·장 법률사무소를 소송대리인으로 선정하고 물질특허 소송을 진행해왔다지난해 특허심판원(1)은 오리지널사인 HK이노엔의 손을 들어줬고 최근 특허법원(2)에서도 HK이노엔이 승소했다.

이번 판결은 케이캡의 적응증 중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요법에 관한 것이다특허법원은 이 적응증도 최초 허가 적응증과 동일하게 위산 분비 억제를 통해 치료할 수 있는 산 관련 질환에 해당하므로 연장된 특허권의 효력이 미친다고 판결했다.

특허심판원 심결과 동일하게 특허법 제95조의용도는 최초 허가 적응증으로 한정 해석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재확인해준 것이다.

HK이노엔 관계자는이번 판결은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신약개발 의지를 더욱 확고히 다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속적인 연구로 국산 신약 가치 극대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어현재 진행 중인 다른 소송도 이번 판결과 동일·유사한 쟁점을 다루는 만큼 긍정적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특허 존속기간이 2036 3 12일까지인 케이캡 결정형 특허 소송은 HK이노엔이 1심에서 패소한 후 2심이 진행 중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창간 71주년 특별인터뷰] “에이비엘바이오 '이중항체 ADC' 개발은 신의 한 수 일까요?”
[인터뷰] “반항하라, 그리고 너만의 길을 걸어라”
파브리병 '조기 진단'과 '효소 대체 요법'…"합병증 예방의 '열쇠'"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HK이노엔 케이캡, 물질특허 2심서도 승소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HK이노엔 케이캡, 물질특허 2심서도 승소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