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기업 74개사 3Q 누적 매출총이익 평균 1257억…전년比 10.2%↑
LG생건, 아모레G, 한국콜마, 에이피알, 코스맥스 順
입력 2024.12.05 10:00 수정 2024.12.05 10:0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4년 11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화장품 관련 기업 74개사(코스피 14, 코스닥 52, 코넥스 1, 외감 7)의 올해 1~3분기 누적 매출총이익은 평균 125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0.2% 증가했다. 매출총이익률은 46.8%다. 3분기 매출총이익 평균은 418억원으로 전기 대비 5.3%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대비 9.5% 증가했다.  매출총이익률은 46.6%다.  

△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 총이익 상위 10개사

올해 1~3분기 누적(이하 누적) 기준  매출총이익 1위는 LG생활건강이다. 2조7462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이하 전년비) 2.4% 역성장했다. 2위 아모레퍼시픽그룹은 2조2089억원으로 전년비 4.0% 증가했다.

3위는 한국콜마로 5313억원을 기록, 전년비 26.1% 늘었다. 4위는 에이피알로 전년비 30.9% 증가한 3649억원의 매출총이익을 냈다. 5위는 코스맥스로 매출총이익은 310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비 43.2% 성장했다.

6~10위는 애경산업(2382억원), 휴젤(2115억원), 실리콘투(1767억원), , 파마리서치(1756억원), 브이티(1746억원)다. 74개 화장품기업 매출총이익 평균은 1257억원이다.  

△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 총이익률 상위 10개사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총이익률이 가장 높았던 기업은 비올로 82.1%를 기록했다. 2위는 클래시스 79.7%, 3위는 휴젤 76.9%다. 4위는 달바글로벌 76.4%, 5위는 에이피알 76.3%다.

6~10위는 이노진(75.9%), 아모레퍼시픽그룹(71.7%), 파마리서치(71.1%),  케어젠(70.8%), 원텍(64.8%)이다. 74개 기업 매출총이익률 평균은 46.8%다.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총이익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상위 10개사 

3분기 누적 기준 전년동기 대비 매출총이익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은 지디케이화장품으로 증가율은 246.0%. 지배기업 매출총이익이 65억원 증가, 95억원을 기록했다.

2위는 진코스텍. 증가율은 209.8%. 매출이 81억원 증가하면서 매출총이익은 30억원 늘어나 44억원을 기록했다. 3위는 스킨앤스킨이다. 지배기업 매출총이익이 30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비 153.6% 늘었다. 매출총이익은 38억원. 

4위는 실리콘투. 증가율은 129.9%. 지배기업 571억원, 종속기업등에서 427억원이 늘었다. 매출총이익은 1767억원. 5위는 한국화장품제조. 증가율은 102.3%. 매출이 486억원 증가하면서  161억원 늘은 319억원의 매출총이익을 기록했다. 

6~10위는 청담글로벌(90.8%), 브이티(82.6%), 제닉(69.1%), 달바글로벌(62.8%), 디와이디(58.5%)다.

△2024년3분기 매출총이익 상위 10개사


 

올해 3분기 매출총이익을 가장 많이 낸 기업은 LG생활건강이다. 8771억원을 기록했다. 전기 대비 6.9% , 전년비 4.9%  각각 감소했다.  2위 아모레퍼시픽그룹은 7619억원을 기록, 전기대비 5.6%, 전년비 10.2% 각각 증가했다. 

3위는 한국콜마로 1769억원을 기록, 전기대비 8.7% 감소했으나, 전년보다는 25.2% 성장했다. 4위는 에이피알로 전기대비 10.1%, 전년비 44.5% 각각 증가한 1308억원의 매출총이익을 냈다. 5위는 코스맥스로 976억원을 기록했다. 전기대비 12.9% 줄었으나, 전년보다는 24.9% 늘었다. 

6~10위는 휴젤(829억원), 애경산업(748억원), 파마리서치(646억원),  실리콘투(645억원), 브이티(628억원)다. 74개 기업 매출총이익 평균은 418억원이다.  


△ 2024년 3분기 매출총이익률  상위 10개사


올해 3분기 매출총이익률이 가장 높았던 기업은  케어젠으로 86.8%를 기록했다. 매출총이익은 176억원이다. 2위는 비올로 80.8%다. 매출총이익은 113억원.  

3위는 휴젤. 78.8%를 기록했다. 매출총이익은 829억원. 4위는 클래시스로 78.4%다. 매출총이익은 466억원. 5위는 달바글로벌. 77.1%다. 매출총이익은 568억원.

6~10위는 이노진(76.4%),에이피알(75.1%), 파마리서치(72.4%), 아모레퍼시픽그룹(71.3%), 잇츠한불(64.6%)순이다. 74개 기업 매출총이익률 평균은 46.6%다.

△2024년 3분기 전기 대비 매출총이익 증가율 상위 10개사


2분기 대비 매출총이익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은 제닉이다. 113.9% 증가했다. 지배기업에서 20억원 증가한 결과 매출총이익은 38억원을 기록했다. 

2위는 바이오플러스로61.6%. 지배기업에서 21억원, 종속기업 등에서 16억원  증가하면서 97억원의 매출총이익을 냈다. 3위는 케어젠으로 52.3%. 지배기업에서 61억원 증가했다. 매출총이익은 176억원. 

4위는 아우딘퓨쳐스로 증가율은 46.6%, 지배기업에서 15억원 증가한 결과 48억원의 매출총이익을 기록했다.   5위 셀트리온스킨큐어는 31.8% 증가했다. 지배기업에서 10억원 증가하면서 매출총이익은 43억원을 올렸다.

6~10위는 대봉엘에스(15.9%)와 휴젤(15.9%), 셀바이오휴먼텍(13.6%),에이피알(10.1%), 파마리서치(9.0 %)다.

△2024년 3분기 매출총이익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 상위 10개사


 
 전년비 3분기 매출총이익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은 지디케이화장품이다. 증가율은 232.6%. 지배기업 매출총이익이 19억원 증가하면서 30억원을 기록했다. 

2위는 제닉으로 지배기업 매출총이익이 24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비 175.7% 성장했다. 매출총이익은 38억원. 3위는 청담글로벌로 증가율은 135.8%. 매출총이익이 지배기업 17억원, 종속기업등이 51억원 증가하면서 117억원을 기록했다. 

4위는 한국화장품제조다. 증가율은 129.8%.  매출이 201억원 증가하면서 매출총이익은 71억원 늘어난 125억원을 기록했다. 5위는 진코스텍으로 매출이 22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비 106.8% 증가했다. 매출총이익은 14억원. 

6~10위는 달바글로벌(104.8%), 실리콘투(96.4%), 브이티(57.5%), 에이피알(44.5%), 대봉엘에스(38.6%)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팜듀홀딩스, '연대' 통한 지속성장과 새로운 약국경영모델 제시
[인터뷰] 한때는 약사, 이제는 굿파트너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 화장품 기업 74개사 3Q 누적 매출총이익 평균 1257억…전년比 10.2%↑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 화장품 기업 74개사 3Q 누적 매출총이익 평균 1257억…전년比 10.2%↑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