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신규 바이오시밀러 개발 본격화..생산 공정개발계약
골다공증치료제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PBP1601’ 배양-정제 공정개발
개발, 생산, 상용화 아우르는 풀 밸류 체인 전략- 신속 효율 상업화 기대
입력 2024.12.02 14:29 수정 2024.12.03 11:38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그룹이 신규 바이오시밀러 임상 개시를 위한 본격 준비에 착수했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계열사인 CDMO 전문기업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와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PBP1601’에 대한 생산 공정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총 8.7억원 규모 이번 계약은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전년 매출 40.06%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신규 바이오시밀러 생산 공정개발은 상장 후 처음이다. 회사는 그간 최근 유럽 품목허가에 성공한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투즈뉴’를 필두로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HD204’,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PBP1502’까지 3개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해왔다. 전임상 단계에 있는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PBP1601’ 임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향후 다양한 파이프라인으로 매출 확대에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모회사가 발주한 이번 계약에 따라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는 내년 7월까지 ‘PBP1601’ 배양 및 정제 공정개발을 담당한다. 전공정을 확인하기 위해 1배치를 생산한 후 검증을 위한 3배치가 추가 생산되며, 이는 2공장에서 진행하기로 했다. 회사는 1공장에서 지난 10월 수주한 67억원 규모 ‘투즈뉴’ 원료의약품(DS; Drug Substance) 생산을 진행하고 있다.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는 투즈뉴 대량 생산에 앞서 PBP1601 공정 개발을 빠르게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PBP1601’ 원약이자, 암젠 골다공증 치료제 프롤리아는 지난해 글로벌 매출은 8조원(61억6천만달러)을 기록한 대형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최근 영국 임상 3상 면제를 비롯해 유럽과 미국에서 바이오시밀러 규제가 완화되고 있는 만큼 ‘PBP1601의 임상 1상을 신속히 완료하고 상업화를 앞당긴다는 전략이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그룹 관계자는 “PBP1601을 필두로  12개 바이오시밀러가 순차적으로 본격적인 임상에 돌입하며, 견고한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이뤄질 예정”이라며 “바이오시밀러 빠른 상업화는 개발사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와 생산을 전담하는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모두 성장을 견인할 강력한 캐시카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팜듀홀딩스, '연대' 통한 지속성장과 새로운 약국경영모델 제시
[인터뷰] 한때는 약사, 이제는 굿파트너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신규 바이오시밀러 개발 본격화..생산 공정개발계약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신규 바이오시밀러 개발 본격화..생산 공정개발계약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