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호르몬 주범으로 불리던 기존 화학첨가제 형태 플라스틱 가소제를 대체할 수 있는 생분해성 가소제가 개발돼 제품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친환경·의료 소재 전문기업인 ㈜메디폴리머(대표 김문석)는 각종 플라스틱 소재 합성 기술을 바탕으로 친환경 가소제인 ‘MEDIPOLY-PLAST’를 개발, 제조 공정 구축 등 본격적인 사업화 단계에 들어간다고 20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찢어지기 쉬운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첨가되는 가소제는 프탈산계와 트리멜리트산계, 포스파이트계, 에폭시계, 폴리에스터계, 알리파틱계, 항염소계 등 화학첨가제로, 플라스틱에 혼합 사용된 후 배출돼 자연계와 인체에도 흡수돼 각종 문제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환경 호르몬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에 반해 메디폴리머가 개발한 친환경 가소제는 생분해 소재로 알려진 폴리락타이드 (PLA) 등을 함유한 폴리에스터 소재를 주원료로 기존 가소제와 동등하게 각 플라스틱 특성은 부드럽게 하면서도 자연계에 배출된 후에 토양과 하천, 바다에서 분해되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 원료 조성 비율 조절을 통해 생분해 기간을 1개월에서 6개월 이상으로 조절 가능할 뿐 아니라 비닐 봉투 또는 포장재 등 물성 조절이 요구되는 품목에도 적용이 가능해 다양한 형태 플라스틱 제품 개발이 가능하다.
메디폴리머는 ‘MEDIPOLY-PLAST’는 국내 공인 시험기관 시험결과 30일 내 완벽하게 생분해돼 20마이크로 이상 미세플라스틱이 전혀 검출되지 않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주어진 시험 환경 외 토양과 수용액 및 바닷물 시험에서도 완벽하게 생분해 되는 반면 국내 전문 시험기관 시험결과 독성이 거의 없는 소재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회사는 최근 ‘MEDIPOLY-PLAST’에 대한 국내 특허 출원을 완료하고 미국, 유럽 등록 특허 3건 및 국내 등록 특허 12건의 생분해 플라스틱을 기반으로 생분해 기간이 조절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메디폴리머 관계자는 “해당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친환경 소재에 대한 파일롯 생산 시설을 구축하고, 제조 품질관리 공정화를 진행 중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적 과제인 ‘썩지 않는 플라스틱’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며 “ 생분해 플라스틱 외 생분해 아크릴 및 생분해성 우레탄 개발과 광, 열 등에 의해 생분해 되는 생분해 시간 조절형 기능성 소재 연구 개발도 본격 진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메디폴리머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진행하는 초격차 분야 유망창업기업 지원 프로젝트 ‘초격차 신산업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바이오헬스 소재분야 참여기업으로 2023년 선정됐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플랫폼 기술'로 초대박 친 '에이비엘바이오' 앞날이 더 기대되는 이유 |
2 | 지난해 코스피 제약바이오 수출액 톱5 ‘삼성바이오 셀트리온 한미 SK바이오팜 GC녹십자’ |
3 | 에이프로젠,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유럽·인도 임상3상 자진 중단 |
4 | [뷰티누리×트렌디어] 2025년 1Q 메가와리… 일본서 K-뷰티 저력 재확인 |
5 | 유럽 제약시장, 미국 관세 압박에 '흔들' |
6 | 고대구로병원, 22대 민병욱 병원장 취임 "중증 특화 상종 위상 강화" |
7 | 큐라클, CU01 당뇨병성 신증 임상 2b상 환자 모집 완료 |
8 | 피알지에스앤텍, 부산기술창업투자원과 상생협력 모색 |
9 | 에스엔이바이오,엑소좀 기반 급성뇌경색 치료제 ‘SNE-101’ 임상1b상 승인 |
10 | 디앤디파마텍, MASH 치료제 ‘DD01’ 미국 임상2상 12주차 투약 완료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환경호르몬 주범으로 불리던 기존 화학첨가제 형태 플라스틱 가소제를 대체할 수 있는 생분해성 가소제가 개발돼 제품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친환경·의료 소재 전문기업인 ㈜메디폴리머(대표 김문석)는 각종 플라스틱 소재 합성 기술을 바탕으로 친환경 가소제인 ‘MEDIPOLY-PLAST’를 개발, 제조 공정 구축 등 본격적인 사업화 단계에 들어간다고 20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찢어지기 쉬운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첨가되는 가소제는 프탈산계와 트리멜리트산계, 포스파이트계, 에폭시계, 폴리에스터계, 알리파틱계, 항염소계 등 화학첨가제로, 플라스틱에 혼합 사용된 후 배출돼 자연계와 인체에도 흡수돼 각종 문제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환경 호르몬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에 반해 메디폴리머가 개발한 친환경 가소제는 생분해 소재로 알려진 폴리락타이드 (PLA) 등을 함유한 폴리에스터 소재를 주원료로 기존 가소제와 동등하게 각 플라스틱 특성은 부드럽게 하면서도 자연계에 배출된 후에 토양과 하천, 바다에서 분해되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 원료 조성 비율 조절을 통해 생분해 기간을 1개월에서 6개월 이상으로 조절 가능할 뿐 아니라 비닐 봉투 또는 포장재 등 물성 조절이 요구되는 품목에도 적용이 가능해 다양한 형태 플라스틱 제품 개발이 가능하다.
메디폴리머는 ‘MEDIPOLY-PLAST’는 국내 공인 시험기관 시험결과 30일 내 완벽하게 생분해돼 20마이크로 이상 미세플라스틱이 전혀 검출되지 않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주어진 시험 환경 외 토양과 수용액 및 바닷물 시험에서도 완벽하게 생분해 되는 반면 국내 전문 시험기관 시험결과 독성이 거의 없는 소재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회사는 최근 ‘MEDIPOLY-PLAST’에 대한 국내 특허 출원을 완료하고 미국, 유럽 등록 특허 3건 및 국내 등록 특허 12건의 생분해 플라스틱을 기반으로 생분해 기간이 조절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메디폴리머 관계자는 “해당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친환경 소재에 대한 파일롯 생산 시설을 구축하고, 제조 품질관리 공정화를 진행 중으로, 국내는 물론 세계적 과제인 ‘썩지 않는 플라스틱’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며 “ 생분해 플라스틱 외 생분해 아크릴 및 생분해성 우레탄 개발과 광, 열 등에 의해 생분해 되는 생분해 시간 조절형 기능성 소재 연구 개발도 본격 진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메디폴리머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진행하는 초격차 분야 유망창업기업 지원 프로젝트 ‘초격차 신산업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바이오헬스 소재분야 참여기업으로 2023년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