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노헬릭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주관 2024년 바이오 의료기술 개발사업에 선정돼,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하 MASLD) 진단 다중융합시스템 개발에 최대 5년간 60억원까지 개발비용을 지원받게 됐다고 6일 발표했다.
MASLD는 지방간, 간경화 등 단계적으로 발전해 간암에까지 이르는 심각한 질병이나 고가 영상진단 및 진단능이 제한적인 혈청분석 기법을 기본으로 진단하고 있어 높은 민감도/특이도로 예측, 확진 및 예후 관리까지 가능한 편리성과 경제성을 갖춘 새로운 분자 진단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제노헬릭스는 가톨릭대 성모병원, 연세대, 성균관대와 공동으로 질병의 진행단계별 예측, 확진 및 예후 진단까지 가능한 ‘고민감도 다중융합(SNP-MDx-NDx) 진단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제노헬릭스는 이미 검증된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기술을 고도화하고 가톨릭대 성모병원은 산하 3개 병원(서울/은평/의정부)이 참여해 환자 코호트를 구축해 임상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연세대(고혁완 교수, 생화학과)는 MASLD 동물모델을 구축하고 바이오마커 및 동반진단능을 검증하며, 성균관대(박진성 교수,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는 MASLD 나노센서 및 구조체를 개발해 임상데이터와 비교 검증을 통해 다중융합 시스템을 최적화할 계획이다.
은평성모병원장 배시현 원장은 “ 간질환은 정기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다기관 환자 코호트 기반 다중융합 시스템 검증을 통해 조기 예측 진단, 진행단계별 진단 및 치료 동반진단이 가능해져 MASLD의 섬유화 진행 예방 및 치료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며 개발에 따른 기대효과를 설명했다.
연세대 고혁완 교수는 “이 연구는 난치성 만성질환인 MASLD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동물모델 및 임상연계 융합진단 기술로 연구목표가 조기에 달성되면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고 밝혔다.
성균관대 박진성 교수는 “ 연구를 통해 나노 바이오센서 기술이 실제 MASLD환자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제노헬릭스 양성욱 대표는 “산학병 국내 최고 연구자들과 환자에게 필요한 제품을 함께 개발할 수 있어 기쁘며, KMDF(파킨슨병 진단)에 이어 회사 혁신기술로 국책과제에 다시 한번 선정돼 회사 기술력을 객관적으로 인정받게 됐다”고 전했다.
회사는 국책과제 중 단일염기다형성(SNP) 진단은 2026년 이내 바이오마커를 상용화하고, miRNA진단과 나노센서 진단을 융합해 민감도와 특이도 95% 이상 글로벌 혁신제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미국 FDA 자문위, 제약사 직원 '출입 제한' 조치 파장 |
2 | 화장품 기업 74개사 2024년 해외매출 및 수출 평균 1428억…전년比 16.4%↑ |
3 | [기고 상] 제약업계 실무자 위한 '디지털의료제품법' 설명..제정 배경·의의 |
4 | 닥터노아바이오텍 "3년 내 신약 성패 결정…AI 복합신약 개발로 시간·비용 반의 반" |
5 | "버리지 말고 살리자" 강남구약, ATC 불용 카트리지 활용안 제시 |
6 | 글로벌 ‘톱 50’ 유통기업..화장품 유통 3곳 동승 |
7 | EU,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화장품에 '안전성' 경고 |
8 | 신라젠, 항암제 'BAL089' 급성 골수성 백혈병 미국 FDA 임상 승인 |
9 | "유사 명칭 의약품 사용 오류 예방 위해 규정 개선 필요" |
10 | [기업분석] 대봉엘에스, 2024년 매출 940억원…전년比 7.2%↑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제노헬릭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주관 2024년 바이오 의료기술 개발사업에 선정돼,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하 MASLD) 진단 다중융합시스템 개발에 최대 5년간 60억원까지 개발비용을 지원받게 됐다고 6일 발표했다.
MASLD는 지방간, 간경화 등 단계적으로 발전해 간암에까지 이르는 심각한 질병이나 고가 영상진단 및 진단능이 제한적인 혈청분석 기법을 기본으로 진단하고 있어 높은 민감도/특이도로 예측, 확진 및 예후 관리까지 가능한 편리성과 경제성을 갖춘 새로운 분자 진단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제노헬릭스는 가톨릭대 성모병원, 연세대, 성균관대와 공동으로 질병의 진행단계별 예측, 확진 및 예후 진단까지 가능한 ‘고민감도 다중융합(SNP-MDx-NDx) 진단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제노헬릭스는 이미 검증된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기술을 고도화하고 가톨릭대 성모병원은 산하 3개 병원(서울/은평/의정부)이 참여해 환자 코호트를 구축해 임상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연세대(고혁완 교수, 생화학과)는 MASLD 동물모델을 구축하고 바이오마커 및 동반진단능을 검증하며, 성균관대(박진성 교수,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는 MASLD 나노센서 및 구조체를 개발해 임상데이터와 비교 검증을 통해 다중융합 시스템을 최적화할 계획이다.
은평성모병원장 배시현 원장은 “ 간질환은 정기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다기관 환자 코호트 기반 다중융합 시스템 검증을 통해 조기 예측 진단, 진행단계별 진단 및 치료 동반진단이 가능해져 MASLD의 섬유화 진행 예방 및 치료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며 개발에 따른 기대효과를 설명했다.
연세대 고혁완 교수는 “이 연구는 난치성 만성질환인 MASLD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동물모델 및 임상연계 융합진단 기술로 연구목표가 조기에 달성되면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고 밝혔다.
성균관대 박진성 교수는 “ 연구를 통해 나노 바이오센서 기술이 실제 MASLD환자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제노헬릭스 양성욱 대표는 “산학병 국내 최고 연구자들과 환자에게 필요한 제품을 함께 개발할 수 있어 기쁘며, KMDF(파킨슨병 진단)에 이어 회사 혁신기술로 국책과제에 다시 한번 선정돼 회사 기술력을 객관적으로 인정받게 됐다”고 전했다.
회사는 국책과제 중 단일염기다형성(SNP) 진단은 2026년 이내 바이오마커를 상용화하고, miRNA진단과 나노센서 진단을 융합해 민감도와 특이도 95% 이상 글로벌 혁신제품을 개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