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폐고혈압 환자 5년 생존율이 과거에 비해 많이 향상됐지만 여전히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하면 부족하며, 치료제 역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폐고혈압학회가 19~20일 서울드래곤시티에서 여는 제9회 학술대회 및 제4회 동아시아폐고혈압학회 학술대회에서 김대희 정책이사(서울아산병원)는 “1980년대 NIH 레지스트리에서 최초로 보고된 폐동맥고혈압 환자 5년 생존율은 34%로 매우 불량했으나 이후 병태생리가 활발히 규명되며 다양한 치료제가 개발, 최근 우리나라 생존율은 71.8%까지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아시아권 환자의 안 좋았던 예후는 이제 서구권과 비교 가능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게 김대희 이사 얘기다.
특히 신규 약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이사는 “많이 향상됐다고 하지만, 일본은 90% 이상”이라며 “특히 우리는 고위험 환자에게 사용하는 프로스타사이클린경로 표적치료제인 에포프로스테놀이 도입돼있지 않다”고 전했다.
이어 “고위험 환자에서 초기 3제 병합요법도 안되고 순차적 요법만 가능하며, 타달라필은 식약처 허가조차 돼 있지 않다”고 전한 뒤 “오시구앗은 보험급여를 받지 못해 시장에서 거의 처방을 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김 이사는 “결국 질환 인지도를 높여 조기 진단율을 제고해야 하며 초기부터 적극적인 전문적 치료를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폐동맥고혈압 전문센터 필요성도 전했다. 미국은 80개 이상, 호주는 50개 이상, 캐나다는 17개 이상 있지만 우리나라는 전문센터는 고사하고 다학제 팀을 갖춘 병원을 찾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
김 이사는 신규약제 도입과 전문센터 설립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뒤 따른다면 국내 폐동맥고혈압 치료 판도가 바뀔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학회는 폐고혈압 질환 인식 향상을 위한 대국민 대상 폐, 미리 희망 캠페인도 전개하고 있다고 밝혔다.
학회는 캠페인 사업의 하나로 의료인 대상 폐고혈압 진단 및 치료 교육 자료 등을 개발헤 배포, 교육하고 있으며 환자들 또한 폐고혈압 증상 등 질환 이해도를 높이고 적합한 병원에 방문할 수 있도록 대국민 교육 영상을 제작, 학회 유튜드 등으로 확산하고 있다.
학회 정욱진 회장(가천의대 심장내과)는 “폐고혈압의 근본적인 극복을 위해 전주기 정밀의학을 활용한 폐고혈압 극복 프로젝트인 OPUS-K를 정부에 제안했다”며 “이 프로젝트로 난치성 폐고혈얍 5년 생존율을 95%이상, 특히 폐동맥고혈압 환자에서 10% 향상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폐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PH)이란 전 세계 인구 1%에서 여러 원인에 의해 생기는 난치성 질환으로 폐혈관 압력이 높아진 상태를 말한다. 국내 환자는 약 50만명 정도로 보고 있다. 폐고혈압은 원인에 따라 5개의 큰 군으로 분류하는데 1군인 폐동맥고혈압 환자는 3%정도인 약 6000명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이들 환자의 5년 생존율은 약 72%, 평균 생존기간은 13.1%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바이오솔루션 '카티라이프' 한국 세포치료제 새 이정표 쓰다…"FDA 2상 성공" |
2 | 자사주 손질 나선 제약사들…상법 개정에 '지분 재편' 본격화 |
3 | "감자튀김도 QbD로 만든다?"…제약 공정 설계의 신세계 |
4 | K-뷰티, 일본 고가 시장선 '유명무실' |
5 | EU, 화학물질 규제 손봐…화장품도 절차 완화 |
6 | 하나제약 생산공장, ‘시원한 커피 한 잔’ 깜짝 이벤트 진행 |
7 | ‘가장 영향력 있는 100대 기업’에 화장품기업 3곳 |
8 | 엘앤씨바이오, 흥케이병원 김종근 원장과 우즈베키스탄 의료진 연수 성료 |
9 | 지에프씨생명과학, 서울대 약대 노민수 교수와 ‘피부면역질환 RNA 신약개발’ 맞손 |
10 | [이마트 건기식 리뷰] 리얼닥터 어골칼슘 마그네슘 비타민D 아연 / 한풍네이처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국내 폐고혈압 환자 5년 생존율이 과거에 비해 많이 향상됐지만 여전히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하면 부족하며, 치료제 역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폐고혈압학회가 19~20일 서울드래곤시티에서 여는 제9회 학술대회 및 제4회 동아시아폐고혈압학회 학술대회에서 김대희 정책이사(서울아산병원)는 “1980년대 NIH 레지스트리에서 최초로 보고된 폐동맥고혈압 환자 5년 생존율은 34%로 매우 불량했으나 이후 병태생리가 활발히 규명되며 다양한 치료제가 개발, 최근 우리나라 생존율은 71.8%까지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아시아권 환자의 안 좋았던 예후는 이제 서구권과 비교 가능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게 김대희 이사 얘기다.
특히 신규 약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이사는 “많이 향상됐다고 하지만, 일본은 90% 이상”이라며 “특히 우리는 고위험 환자에게 사용하는 프로스타사이클린경로 표적치료제인 에포프로스테놀이 도입돼있지 않다”고 전했다.
이어 “고위험 환자에서 초기 3제 병합요법도 안되고 순차적 요법만 가능하며, 타달라필은 식약처 허가조차 돼 있지 않다”고 전한 뒤 “오시구앗은 보험급여를 받지 못해 시장에서 거의 처방을 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김 이사는 “결국 질환 인지도를 높여 조기 진단율을 제고해야 하며 초기부터 적극적인 전문적 치료를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폐동맥고혈압 전문센터 필요성도 전했다. 미국은 80개 이상, 호주는 50개 이상, 캐나다는 17개 이상 있지만 우리나라는 전문센터는 고사하고 다학제 팀을 갖춘 병원을 찾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
김 이사는 신규약제 도입과 전문센터 설립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뒤 따른다면 국내 폐동맥고혈압 치료 판도가 바뀔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학회는 폐고혈압 질환 인식 향상을 위한 대국민 대상 폐, 미리 희망 캠페인도 전개하고 있다고 밝혔다.
학회는 캠페인 사업의 하나로 의료인 대상 폐고혈압 진단 및 치료 교육 자료 등을 개발헤 배포, 교육하고 있으며 환자들 또한 폐고혈압 증상 등 질환 이해도를 높이고 적합한 병원에 방문할 수 있도록 대국민 교육 영상을 제작, 학회 유튜드 등으로 확산하고 있다.
학회 정욱진 회장(가천의대 심장내과)는 “폐고혈압의 근본적인 극복을 위해 전주기 정밀의학을 활용한 폐고혈압 극복 프로젝트인 OPUS-K를 정부에 제안했다”며 “이 프로젝트로 난치성 폐고혈얍 5년 생존율을 95%이상, 특히 폐동맥고혈압 환자에서 10% 향상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폐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PH)이란 전 세계 인구 1%에서 여러 원인에 의해 생기는 난치성 질환으로 폐혈관 압력이 높아진 상태를 말한다. 국내 환자는 약 50만명 정도로 보고 있다. 폐고혈압은 원인에 따라 5개의 큰 군으로 분류하는데 1군인 폐동맥고혈압 환자는 3%정도인 약 6000명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이들 환자의 5년 생존율은 약 72%, 평균 생존기간은 13.1%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