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중외제약, 1Q ‘프리페넴’ 매출 전기比 98% 올라
고지혈증 치료제 ‘리바로’ 전년동기대비 10% 상승
입력 2023.05.31 06:00 수정 2023.05.31 06:0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약업닷컴이 분석한 JW중외제약의 2023년 1분기 및 누적 3개월 국내법인(지배기업) 주요 품목 실적. ⓒ약업신문

JW중외제약 주요 품목 중 항생제와 고지혈증 치료제 등의 올해 1분기 및 누적 3개월 실적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업닷컴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JW중외제약의 올해 1분기 및 누적 3개월 주요 품목 실적을 30일 분석해 발표했다.

그 결과 고지혈증 치료제인 리바로의 1분기 매출은 340억원으로, 이는 전기대비 8%인 25억원, 전년동기대비 64%인 133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해질첨가제 등 특수수액은 83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기대비 8%인 6억원, 전년동기대비 2%인 2억원 늘었다.

철분주사제인 페린젝트는 1분기 59억원의 매출을 달성한 결과 전기대비 2%인 1억원, 전년동기대비 28%인 13억원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항생제인 프리페넴의 1분기 매출은 34억원으로, 전기대비 98%인 17억원, 전년동기대비 50%인 11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양수액은 1분기 310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10%인 28억원이 증가했으나, 전기보다는 9%인 31억원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일반수액은 207억원의 매출을 달성해 전기대비 10%가 감소한 반면 전년동기대비 7% 증가했다.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악템라는 57억원의 1분기 매출을 기록했고, 전기대비 3%, 전년동기대비 10% 각각 감소했다.

관류액인 헤모류는 41억원의 실적을 달성했으나, 이는 전기대비 2% 줄어든 규모다. 반면 전년동기보다는 6% 증가했다.

간성혼수 치료제 듀락칸은 40억원의 매출을 달성해 전년동기대비 25%인 8억원 증가했으나 전기대비 1% 감소했다.

협심증 치료제인 시그마트는 32억원의 실적을 기록했고, 전기대비는 2% 감소한 반면 전년동기대비로는 2% 증가했다.

전립선비대증치료제 트루패스는 22억원의 1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각각 전기대비 9%, 전년동기대비 4% 감소한 수준이다.

위궤양 치료제 라베칸은 4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기대비 204% 크게 성장한 수준이지만, 전년동기대비로는 67% 감소한 규모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JW중외제약, 1Q ‘프리페넴’ 매출 전기比 98% 올라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JW중외제약, 1Q ‘프리페넴’ 매출 전기比 98% 올라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