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화장품 개발과 제조, 물류유통 등의 생산 및 공급 전주기 과정을 한자리에서 살펴볼 수 있는 국내 최대규모 전시회인 국제 제약·화장품위크 전시회(2023 ICPI Week)가 18~21일까지 4일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다.
Supply Chain별 7개 전시관, 23개국 825개 공급사 최신기술 전시
경연전람, 케이와이엑스포 주최인 이번 전시회 특징은 동 시장의 개발·제조 공급망(Supply Chain)을 구성하는 생태계를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의약품·바이오·화장품의 △설계 및 개발 △실험실 과학 △생산공정·패키징 △콜드체인 및 물류기술 등 제품과 기술을 소개하며, 주최 측은 참관객들의 목적에 맞게 7개의 전문관을 마련한다.
국내 최대 킨텍스 전시장을 모두 사용하는 2023 ICPI Week는 25개국 825개사의 연구개발 및 제조기술전문가들이 3000개 부스를 마련, 약 2만여종의 신제품, 신기술을 참관객들에게 선보인다.
참관객들은 국내외 기업들이 출품한 신제품을 통해 개발 및 기술동향 파악은 물론, 업계전문가와의 네트워킹, 전시회 현장에서 이뤄지는 강연 및 교육 세션에도 무료로 참가할 수 있다.
연구개발, 품질향상 교육 세미나와 다양한 컨퍼런스 동시개최
2023 ICPI Week는 동 시장의 기술트렌드, 규제정책 등 업계관계자들의 직무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식견를 제공한다.
올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주한인도대사관, 유엔산업개발기구, 한국포장학회, 한국통합물류협회, 한국콜드체인협회 등 정부·협단체와 업계전문가들이 기간 중 110여 회가 넘는 부대행사를 준비한다.
부대행사 중엔 식약처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주관 정책설명회,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주관 유망바이오벤처·스타트업 투자포럼, 주한인도대사관 주관 한국-인도 제약비즈니스 포럼&B2B상담회, 미국·네덜란드·고양시 등 참가하는 제약바이오 GVC 전략강화 컨퍼런스, 개발도상국가의 현지 공무원들이 직접 소개하는 개도국 해외투자진흥 상담회 등이 특히 눈길을 끈다.
이 외에도 융복합을 통한 '진화'를 주제로 글로벌 화장품 기술트렌드를 살펴보는 CI KOREA 컨퍼런스, 피부기반기술개발산업의 연구성과발표회, K-뷰티 수출다변화 워크샵, 2023 대한민국 패키징 대전, 포장재 저감 및 자원화를 위한 지속가능 패키징포럼, 물류기술 패럼다임, 콜드체인 고도화세미나가 4일 연속 열린다.
주최측은 참가자들의 킨텍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서울역, 합정역, 향남제약단지에서 킨텍스까지 매일 왕복 무료셔틀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볼거리 풍성한 2023 ICPI Week 내 7개 전시관
7개 전시관 중 제품개발 정보를 제공하는 △
또 의약품 제조강국인 인도에서 한국-인도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의약품, 바이오, 화장품, 정밀화학 분야 60개사가 국내 관계자와의 상담을 위해 대규모 국가관을 마련한다.
실험실 과학분야의 국내 최대규모 전시회인 △
제조·패키징분야 대표 전시회인 △
국내 최대규모의 물류 유통분야전시회인 △
한편 이번 전시회는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경기도, 고양시, 주한외국대사관, 국내외 제약 화장품 협단체가 후원참가하며, 전시관람은 18~21일까지 4일간 매일 10시부터 5시까지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삼천당제약,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시작 |
2 | 제약바이오 3분기 평균 총차입금 코스피 2353억원, 코스닥 589억원...전년비↑ |
3 | 유통업계, 물류대전 심화된다 |
4 | 제약바이오 3분기 이자비용 및 이자보상배율...코스피 증가, 코스닥은 감소 |
5 | AZㆍ다이이찌 산쿄 새 유방암 치료제 FDA 승인 |
6 | 미국 WHO 이탈…한국 공중보건·외교 전략은 어디로? |
7 | 오젬픽·위고비 핵심성분 '세마글루타이드' 희귀 안과질환 상관성 조사 개시 |
8 | 제약바이오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전년比 코스피 감소, 코스닥은 증가 |
9 | 화장품기업 2024년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 17.26% …전년比 0.05%p↓ |
10 | 글로벌 바이오헬스 시가총액, 삼성바이오로직스 11위·셀트리온 20위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의약품, 화장품 개발과 제조, 물류유통 등의 생산 및 공급 전주기 과정을 한자리에서 살펴볼 수 있는 국내 최대규모 전시회인 국제 제약·화장품위크 전시회(2023 ICPI Week)가 18~21일까지 4일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다.
Supply Chain별 7개 전시관, 23개국 825개 공급사 최신기술 전시
경연전람, 케이와이엑스포 주최인 이번 전시회 특징은 동 시장의 개발·제조 공급망(Supply Chain)을 구성하는 생태계를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의약품·바이오·화장품의 △설계 및 개발 △실험실 과학 △생산공정·패키징 △콜드체인 및 물류기술 등 제품과 기술을 소개하며, 주최 측은 참관객들의 목적에 맞게 7개의 전문관을 마련한다.
국내 최대 킨텍스 전시장을 모두 사용하는 2023 ICPI Week는 25개국 825개사의 연구개발 및 제조기술전문가들이 3000개 부스를 마련, 약 2만여종의 신제품, 신기술을 참관객들에게 선보인다.
참관객들은 국내외 기업들이 출품한 신제품을 통해 개발 및 기술동향 파악은 물론, 업계전문가와의 네트워킹, 전시회 현장에서 이뤄지는 강연 및 교육 세션에도 무료로 참가할 수 있다.
연구개발, 품질향상 교육 세미나와 다양한 컨퍼런스 동시개최
2023 ICPI Week는 동 시장의 기술트렌드, 규제정책 등 업계관계자들의 직무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식견를 제공한다.
올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주한인도대사관, 유엔산업개발기구, 한국포장학회, 한국통합물류협회, 한국콜드체인협회 등 정부·협단체와 업계전문가들이 기간 중 110여 회가 넘는 부대행사를 준비한다.
부대행사 중엔 식약처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주관 정책설명회,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주관 유망바이오벤처·스타트업 투자포럼, 주한인도대사관 주관 한국-인도 제약비즈니스 포럼&B2B상담회, 미국·네덜란드·고양시 등 참가하는 제약바이오 GVC 전략강화 컨퍼런스, 개발도상국가의 현지 공무원들이 직접 소개하는 개도국 해외투자진흥 상담회 등이 특히 눈길을 끈다.
이 외에도 융복합을 통한 '진화'를 주제로 글로벌 화장품 기술트렌드를 살펴보는 CI KOREA 컨퍼런스, 피부기반기술개발산업의 연구성과발표회, K-뷰티 수출다변화 워크샵, 2023 대한민국 패키징 대전, 포장재 저감 및 자원화를 위한 지속가능 패키징포럼, 물류기술 패럼다임, 콜드체인 고도화세미나가 4일 연속 열린다.
주최측은 참가자들의 킨텍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서울역, 합정역, 향남제약단지에서 킨텍스까지 매일 왕복 무료셔틀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볼거리 풍성한 2023 ICPI Week 내 7개 전시관
7개 전시관 중 제품개발 정보를 제공하는 △
또 의약품 제조강국인 인도에서 한국-인도 수교 50주년을 기념해 의약품, 바이오, 화장품, 정밀화학 분야 60개사가 국내 관계자와의 상담을 위해 대규모 국가관을 마련한다.
실험실 과학분야의 국내 최대규모 전시회인 △
제조·패키징분야 대표 전시회인 △
국내 최대규모의 물류 유통분야전시회인 △
한편 이번 전시회는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경기도, 고양시, 주한외국대사관, 국내외 제약 화장품 협단체가 후원참가하며, 전시관람은 18~21일까지 4일간 매일 10시부터 5시까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