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텍시스템이 탑 로딩 방식 컨베이어와 로봇을 이용해 생산성을 향상시킨 독일 슈버트 파마社의 새로운 포장라인을 선보여 주목받고 있다.
BFS에 의해 생산된 일회용 점안제 포장
작업원 실수 방지·인원 최소화로 생산성 향상
슈버트 파마(Schubert pharma)는 독일의 포장기계 제작사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 컨베이어와 로봇에 의해 포장공정에서 작업원에 의한 실수를 방지하고 작업인원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포장공정을 개발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일부 부품의 교체와 라인의 모듈화로 같은 라인에서 다양한 제품을 포장할 수 있어 전용라인의 개념이 필요없게 됐다. 즉 한 라인에서 앰플, 바이알, BFS(blow-fill-seal) 등을 공용으로 포장할 수 있다.
적용범위는 BFS 액제 포장라인, 바이알 포장라인, 프리필드 시린지 포장라인, 브리스터 포장라인 및 의료용구 포장라인에 광범위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BFS 점안제 생산의 경우 충전, 누액검사, 이물검사, 버퍼, 라벨링, 삼면포장, 카톤포장, 중량검사, Track & Trace, 케이스포장, 파레트 적재 등 여러 공정이 있는데 BFS기계에서 생산되어 리스크 검사를 거친 제품을 버퍼를 사용하여 후속 라인에 장애가 생겨서 적체가 되거나 작업원들의 점심시간 휴식시간에도 기계의 정지 없이 적재했다가 연속 포장이 가능하도록 조정하고 멸균이 필요할 경우 적재된 트레이를 자동으로 멸균공정을 거칠 수 있다.
라벨링 공정은 자동으로 라벨을 부착하거나 또는 UV 잉크에 의한 잉크젯을 사용하는 방법을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라벨링된 제품을 산소 차단, 휘산 방지를 자동으로 삼면 포장 후 카톤 포장을 하고 중량 확인 후 케이스 포장과 케이스 라벨의 인쇄 부착을 하고 파레트에 자동 적재하는 공정을 로봇과 카메라 및 Top loading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공정 중 로봇의 역할을 카메라가 감시해 에러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Top loading 방식의 컨베이어는 적재물을 진공으로 고정시켜 고속이동 시에도 제품의 움직임이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모든 공정을 하나의 HMI로 관리해 기계 간의 연속화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작업 변경시 각 기계의 교체부품은 RFID화 되어 오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교체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원에 의한 에러를 차단하며 및 로봇의 에러 가능성을 카메라가 확인함으로 에러를 원천 봉쇄해 규정에 적합한 제품만이 생산되며 작업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BFS에 의해 생산된 PE/PP 주사제의 포장
버퍼 트레이를 이용한 멸균 및 검사
BFS에 의해 생산된 PE/PP 프라스틱 앰플은 로보트에 의해 다단 버퍼에 적재된다.
적재가 완료되면 다단 트레이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열수멸균기 또는 스팀에어믹스쳐 멸균기에 넣고 필요한 시간과 온도에서 멸균한다.
멸균 후 냉각된 제품트레이는 자동으로 포장라인으로 원위치 되어 HVLD 방식에 의해 누액검사를 실시하여 누액제품을 제거한다.
앰플스트립의 인쇄·분리
분리된 앰플로 포장을 해야 하는 경우 가벼운 프라스틱 앰플의 쓰러짐 방지를 위해 로봇이 앰플 스트립을 고정하고 UV Ink를 이용해서 표기사항에 적합하도록 인쇄한 후 포장 방법에 적합하도록 앰플을 분리한다.
카톤 포장
Top loading 방식의 컨베이어 상에서 로봇이 카톤을 자동으로 접어서 조립하고 필요한 모양의 간지를 넣으면 로보트가 앰플을 필요한 수량만큼 담고 역시 로봇으로 설명서, 주사기 등 필요한 제품을 담은 후 Hot melt를 이용해 밀봉한다.
이때 카톤, 설명서 등 자재에 인쇄된 파마코드를 카메라가 인식하여 오류를 방지하며 카톤 내부에 들어가는 제품과 자재의 수량 위치 등을 카메라가 확인한다. 이때 필요한 사항을 인쇄한다.
이 공정 중에는 TLM 콘베어에 부착되어 있는 진공빨판이 카톤을 고정하고 있어 제품, 자재의 투입 중이나 컨베이어 상에서 고속으로 이동 시에도 흔들림이 없도록 한다.
포장된 카톤은 케이스포장과 팔레트에 적재를 로봇으로 실시한다
이 공정의 장점은 주사액 앰플의 멸균기 투입 및 배출을 자동으로 연결 실시가 가능하고 앰플 스트립의 분리, 라벨링, 카톤 포장 시 앰플의 쓰러짐이나 흔들림 없이 전 공정을 로봇에 의해 작업원에 의한 실수를 방지하며 작업인원을 최소화하여 원가 절감을 기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의 제품집게 부위만을 쉽게 교체하여 제품의 모양, 사이즈에 관계없이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듈화를 이용하여 비슷한 형태의 다른 제품과 공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