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5년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올해 글로벌 제약사들과 잇따라 체결한 위탁생산(CMO) 계약을 통해 창사 이래 최대 수주 성과를 달성한 것을 바탕으로, 성과 중심의 인사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번 인사에서는 케빈 샤프 뉴저지 세일즈 오피스 헤드가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그는 글로벌 제약사를 대상으로 대규모 신규 수주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내 CDMO 시장 점유율 확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또한 다음의 인사들이 상무로 승진했다.
유성철 상무는 3공장의 생산 공정과 일정 관리 효율화를 통해 공장 가동률을 극대화했으며, 안정적인 의약품 생산으로 매출 확대에 크게 기여했다.
송인섭 상무는 구매 및 외주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SCM) 체계를 구축해 원가 절감과 투자비용 효율화를 이루어 경영 성과를 높이는 데 공헌했다.
이태희 상무는 신규 플랫폼 기술 개발과 CDO(위탁개발) 연구개발 과정에서 자동화를 도입해 CDO 비즈니스의 경쟁력을 강화했다.
황인찬 상무는 대내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의 CDMO 시장 내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송영석 상무는 회사의 고유 조직문화인 ‘삼성바이오로직스 Way’를 정립하고 확산시켜 조직 내부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는 데 앞장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인사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갈 인재들을 과감히 발탁했다. 이를 통해 회사는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바이오 시장의 선도 기업으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져 나갈 계획이다. 앞으로 조직 개편과 보직 인사도 이어지며, 회사 내부 운영의 효율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오젬픽·위고비 핵심성분 '세마글루타이드' 희귀 안과질환 상관성 조사 개시 |
2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
3 | “국내 제약바이오 육성, 컨트롤타워 구조 개선‧R&D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해야” |
4 | “건강이 선물이 된다” 제약업계 설 명절 선물 기획전 ‘활기’ |
5 | HLB파나진 "바이오스퀘어, 의료기 3종 미국 FDA 제품 등록 완료" |
6 | "K-뷰티 인플루언서, 일본 성공을 꿈꾸다" |
7 | 대웅제약, 신약 소재 ‘화합물’ 공개… ‘오픈 이노베이션’ 기회 찾는다 |
8 | 네추럴라이즈 ‘포스파티딜세린 징코 맥스’ 출시 |
9 | "2025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선정…AI 유전자편집·항노화 항체 등" |
10 | 필수약 안정적 공급하려면...퇴장방지약 지정 기준 현실화 필요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5년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올해 글로벌 제약사들과 잇따라 체결한 위탁생산(CMO) 계약을 통해 창사 이래 최대 수주 성과를 달성한 것을 바탕으로, 성과 중심의 인사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번 인사에서는 케빈 샤프 뉴저지 세일즈 오피스 헤드가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그는 글로벌 제약사를 대상으로 대규모 신규 수주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내 CDMO 시장 점유율 확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또한 다음의 인사들이 상무로 승진했다.
유성철 상무는 3공장의 생산 공정과 일정 관리 효율화를 통해 공장 가동률을 극대화했으며, 안정적인 의약품 생산으로 매출 확대에 크게 기여했다.
송인섭 상무는 구매 및 외주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SCM) 체계를 구축해 원가 절감과 투자비용 효율화를 이루어 경영 성과를 높이는 데 공헌했다.
이태희 상무는 신규 플랫폼 기술 개발과 CDO(위탁개발) 연구개발 과정에서 자동화를 도입해 CDO 비즈니스의 경쟁력을 강화했다.
황인찬 상무는 대내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의 CDMO 시장 내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송영석 상무는 회사의 고유 조직문화인 ‘삼성바이오로직스 Way’를 정립하고 확산시켜 조직 내부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는 데 앞장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인사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갈 인재들을 과감히 발탁했다. 이를 통해 회사는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바이오 시장의 선도 기업으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져 나갈 계획이다. 앞으로 조직 개편과 보직 인사도 이어지며, 회사 내부 운영의 효율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