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말부터 정부 부처의 의약품 리베이트와 관련한 적발이 잇따르고 있어 제약업계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정부합동 의약품 리베이트 전담수사반(반장 고흥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장)은 24일 의약품 판매 촉진을 위해 의사ㆍ약사에게 9억여원의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약사법 위반)로 대화제약 노병태(50) 대표이사를 불구속 기소했다고 24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노 대표와 대화제약 측은 2009년 1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자사 의약품 18종의 판촉 및 처방 유도 등을 위해 전국의 거래처 병원 의사 667명에게 현금이나 상품권을 주는 형태로 2천216회에 걸쳐 7억7천272만원 상당의 이득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 2009년 1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같은 방법으로 영업사원들을 통해 전국의 거래처 약국 약사 391명에게 2천729회에 걸쳐 1억3천510만원 상당의 경제적 이익을 제공한 혐의도 있다.
대화제약은 지난 2009년 1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자사 의약품 판촉과 처방 유도를 위해 의사들에게 7억 7,000여만원 상당의 현금과 상품권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 2009년 1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거래 약국들에게 1억 3,000여만원의 경제적 이익을 제공한 혐의도 포함됐다.
대화제약에 앞서 지난해 연말부터 동아제약과 CJ제일제당도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사정당국에 적발됐다.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지난 22일 CJ제일제당이 의료인 201여명에게 45억원대의 리베이트를 제공함 혐의를 적발했다. CJ제일제당은 자사 의약품 퍼방 유도를 위해 전국 의사 및 공중보건의에게 210여명에게 법인카드를 제공한 것으로 경찰청은 파악하고 있다.
동아제약은 구매 대행업체를 통해 강의료·원고료 명목으로 48억원대의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검찰에 의해 적발됐으며, 관련 임직원이 구속된 상태이다.
제약업계는 지난해 연말부터 이어지고 있는 사정당국의 의약품 리베이트 수사로 인해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4월 시행된 일괄약가제도의 충격을 딪고 회복세로 접어드는 상황에서 의약품 리베이트 수사가 영업활동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모 제약사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연말부터 이어지고 있는 리베이트 적발 악재로 인해 제약업계가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며 "정상적인 영업활동 차질은 물론 물론, 사정당국의 리베이트 조사 칼날이 자기 회사를 겨누지 않을까 하는 우려감에 전 제약업계가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1분기 영업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종근당∙대웅제약 |
2 | [기자 수첩] 플랫폼 '협조' 받아 플랫폼 '종속' 막는다는 약사회 |
3 | [인터뷰] "호주 퀸즐랜드주, 강력한 신약개발 지원책으로 블록버스터 육성" |
4 | [분석] 화장품사 1분기 평균 연구개발비 27억, 전년비 9.1%↑ |
5 | 태전그룹, ‘희망-실천 컨설턴트’ 리더십 워크숍 마쳐 |
6 | [인터뷰]스테판 바이딩거 교수 "아토피 환자에게 '치료 가능'하다 말할 수 있어" |
7 | 의대생 64%, 의료사고 부담에 필수의료 지망 기피…“필수의료특례법 제정해야” |
8 | FDA 최초 승인 글락소 RVS 백신 EU서도 개가 |
9 | 참약사, 하나금융그룹과 특별 금융혜택 협력 MOU 체결 |
10 | 한미약품, 여섯 번째 ESG리포트 발간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지난해 연말부터 정부 부처의 의약품 리베이트와 관련한 적발이 잇따르고 있어 제약업계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정부합동 의약품 리베이트 전담수사반(반장 고흥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장)은 24일 의약품 판매 촉진을 위해 의사ㆍ약사에게 9억여원의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약사법 위반)로 대화제약 노병태(50) 대표이사를 불구속 기소했다고 24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노 대표와 대화제약 측은 2009년 1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자사 의약품 18종의 판촉 및 처방 유도 등을 위해 전국의 거래처 병원 의사 667명에게 현금이나 상품권을 주는 형태로 2천216회에 걸쳐 7억7천272만원 상당의 이득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 2009년 1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같은 방법으로 영업사원들을 통해 전국의 거래처 약국 약사 391명에게 2천729회에 걸쳐 1억3천510만원 상당의 경제적 이익을 제공한 혐의도 있다.
대화제약은 지난 2009년 1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자사 의약품 판촉과 처방 유도를 위해 의사들에게 7억 7,000여만원 상당의 현금과 상품권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 2009년 1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거래 약국들에게 1억 3,000여만원의 경제적 이익을 제공한 혐의도 포함됐다.
대화제약에 앞서 지난해 연말부터 동아제약과 CJ제일제당도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사정당국에 적발됐다.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지난 22일 CJ제일제당이 의료인 201여명에게 45억원대의 리베이트를 제공함 혐의를 적발했다. CJ제일제당은 자사 의약품 퍼방 유도를 위해 전국 의사 및 공중보건의에게 210여명에게 법인카드를 제공한 것으로 경찰청은 파악하고 있다.
동아제약은 구매 대행업체를 통해 강의료·원고료 명목으로 48억원대의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검찰에 의해 적발됐으며, 관련 임직원이 구속된 상태이다.
제약업계는 지난해 연말부터 이어지고 있는 사정당국의 의약품 리베이트 수사로 인해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4월 시행된 일괄약가제도의 충격을 딪고 회복세로 접어드는 상황에서 의약품 리베이트 수사가 영업활동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모 제약사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연말부터 이어지고 있는 리베이트 적발 악재로 인해 제약업계가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며 "정상적인 영업활동 차질은 물론 물론, 사정당국의 리베이트 조사 칼날이 자기 회사를 겨누지 않을까 하는 우려감에 전 제약업계가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