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W중외제약은 올 상반기 리바로, 영양수액 등의 제품 매출이 성장세를 보였다.
약업닷컴이 2022년 8월 반기보고서 기준 JW중외제약 국내법인(지배기업) 2022년 2분기 및 상반기 주요 품목 실적을 분석한 결과 리바로, 영양수액, 악템라, 일반수액, 페린젝트 등의 매출이 증가했다.
상반기 주요 품목 실적을 살펴보면 영양수액이 614억 원(전년동기비 +89억 원)으로 가장 컸고, 고지혈증 치료제 리바로가 520억 원(전년동기비 +149억 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일반수액이 405억 원(전년동기비 +23억 원), 특수수액 157억 원(전년동기비 +14억 원),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페린젝트 등 98억 원(전년동기비 +17억 원), 관류액 헤모류 79억 원(전년동기비 +4억 원), 간성혼수 치료제 듀파락 65억 원(전년동기비 +12억 원), 협심증 치료제 시그마트 64억 원(전년동기비 -21억 원),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트루패스 47억 원(전년동기비 -8억 원), 항생제 프리페넴 등 44억 원(전년동기비 -22억 원), 위궤양 치료제 라베칸 16억 원(전년동기비 -4억 원) 등으로 나타났다.
2분기 실적에서는 영양수액이 330억 원(전기비 +50억 원, 전년동기비 +54억 원), 리바로 313억 원(전기비 +106억 원, 전년동기비 +129억 원), 일반수액 210억 원(전기비 +16억 원, 전년동기비 +14억 원), 특수수액 76억 원(전기비 -5억 원, 전년동기비 +6억 원), 악템라 57억 원(전기비 -6억 원, 전년동기비 +14억 원) 등이었다.
또한 페린젝트 등 52억 원(전기비 +6억 원, 전년동기비 +10억 원), 헤모류 40억 원(전기비 +1억 원, 전년동기비 +2억 원), 듀파락 33억 원(전기비 +1억 원, 전년동기비 +6억 원), 시그마트 32억 원(전기비 +1억 원, 전년동기비 -7억 원), 트루패스 23억 원(전기비 +0.2억 원, 전년동기비 -6억 원), 프리페넴 등 22억 원(전기비 -1억 원, 전년동기비 -16억 원), 라베칸 4억 원(전기비 -8억 원, 전년동기 실적 공시 없음) 등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