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약사회(회장 권영희)는 국민 건강을 위협하고 약사의 전문성을 침해하는 ‘창고형 약국’ 운영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고, 전방위적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대한약사회는 23일 오후 서울 서초구 약사회관에서 전문언론을 대상으로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수도권에서 개설된 이른바 ‘창고형 약국’ 운영 방식에 대해 “약사 직능을 부정하고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일탈”이라고 규정했다.
권영희 회장은 “이러한 기형적 약국 형태는 약사윤리강령에 명시된 직업윤리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행위”라며 “공공성과 전문성을 훼손하는 시도에 대해 약사회는 끝까지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권 회장이 직접 낭독한 입장문에서 약사회는 △약사 전문성 훼손 △법과 제도 취지 위반 △의약품 유통시장 왜곡 △보건의료체계 붕괴 등 네 가지 주요 이유를 들어 창고형 약국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특히 “공산품처럼 의약품을 대량으로 진열·판매하는 방식은 약국을 물류기지로 전락시키고, 약사의 복약지도·상담 기능을 무력화하는 구조”라고 비판했다.
이광민 부회장은 “국민 인식까지 왜곡될 우려가 있다”며 “약사회 차원에서 운영의 적법성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위법 요소가 확인되면 지적과 대응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 회장은 구리 지역의 2호점 개설 움직임에 대해서도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대응하겠다”며 “현장 방문, 설득, 제도 보완 등 다각적인 실천을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구체적인 대응 계획은 “시기상 지금 밝히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언급을 피했다.
그는 이어 “약사는 단순 판매자가 아니라 건강을 책임지는 전문가로, 국민과의 신뢰 위에 약국이 존재한다”며 “약사 직능을 왜곡하려는 시도에 대해선 약사법의 입법 취지를 근거로 단호히 맞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권 회장은 “8만 회원들과 함께 약국의 본질을 지키고, 국민 건강권 수호를 위해 대한약사회가 모든 수단을 동원해 끝까지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메지온,'유데나필' 폰탄 치료제 적응증 확대 미국 FDA 추가임상 '순항' |
2 | "나 지금 떨고 있니?" FDA '보완요구서한(CRL)' 공개에 기업은 긴장 투자자는 환영 |
3 | 아마존 프라임데이 뷰티 부문 매출 1위 '메디큐브' |
4 | 케어젠, 먹는 GLP-1 펩타이드 ‘코글루타이드’ 에콰도르 등록 완료 |
5 | "신약개발 실패, 이유는 현장 단절" 바이오의약공방, 임상 수요 기반 모델 제시 |
6 | 의약품유통업계 "지출보고서 정정,기준 없는 책임 전가..금융비용,리베이트 오인" |
7 | 프리시젼바이오, 씨티바이오와 면역 진단 제품 기술협력 계약 |
8 | "30분의 1 용량, 수년간 효과" 뉴라클제네틱스 'NG101' 12조 아일리아 뛰어넘나 |
9 | 정은경 “‘불법 리베이트 근절’ 제도 보완해야…‘성분명처방’ 도입 협의 필요” |
10 | “합성제제 부작용 넘는다”…천연물 기반 GLP-1 등장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대한약사회(회장 권영희)는 국민 건강을 위협하고 약사의 전문성을 침해하는 ‘창고형 약국’ 운영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고, 전방위적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대한약사회는 23일 오후 서울 서초구 약사회관에서 전문언론을 대상으로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최근 수도권에서 개설된 이른바 ‘창고형 약국’ 운영 방식에 대해 “약사 직능을 부정하고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일탈”이라고 규정했다.
권영희 회장은 “이러한 기형적 약국 형태는 약사윤리강령에 명시된 직업윤리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행위”라며 “공공성과 전문성을 훼손하는 시도에 대해 약사회는 끝까지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권 회장이 직접 낭독한 입장문에서 약사회는 △약사 전문성 훼손 △법과 제도 취지 위반 △의약품 유통시장 왜곡 △보건의료체계 붕괴 등 네 가지 주요 이유를 들어 창고형 약국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특히 “공산품처럼 의약품을 대량으로 진열·판매하는 방식은 약국을 물류기지로 전락시키고, 약사의 복약지도·상담 기능을 무력화하는 구조”라고 비판했다.
이광민 부회장은 “국민 인식까지 왜곡될 우려가 있다”며 “약사회 차원에서 운영의 적법성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위법 요소가 확인되면 지적과 대응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 회장은 구리 지역의 2호점 개설 움직임에 대해서도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대응하겠다”며 “현장 방문, 설득, 제도 보완 등 다각적인 실천을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구체적인 대응 계획은 “시기상 지금 밝히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언급을 피했다.
그는 이어 “약사는 단순 판매자가 아니라 건강을 책임지는 전문가로, 국민과의 신뢰 위에 약국이 존재한다”며 “약사 직능을 왜곡하려는 시도에 대해선 약사법의 입법 취지를 근거로 단호히 맞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권 회장은 “8만 회원들과 함께 약국의 본질을 지키고, 국민 건강권 수호를 위해 대한약사회가 모든 수단을 동원해 끝까지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