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약사회(회장 권영희)가 성분명처방 제도화와 한약사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해법을 마련하고자, 오는 25일부터 전국 권역별 정책토론회를 순차적으로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단순 설명회가 아닌 임원이 직접 참여하고 의견을 내는 쌍방향 회무 구조로, 약사 직능 수호와 국민 건강권 강화를 위한 실질적 동력이 될 것으로 대한약사회는 기대하고 있다.
토론회는 △5월 25일 부산·울산·경남을 시작으로 △6월 1일 서울·강원 △6월 15일 대전·충북·충남 △6월 29일 광주·전북·전남·제주 △7월 6일 대구·경북 △7월 27일 인천·경기 순으로 6개 권역에서 진행되며 각 지부 임원 중심으로 구성된 조별 토론과 팀별 발표, 최종 정리 과정을 거쳐 지역별 현실을 반영한 실행 방안을 도출한다.
대한약사회 노수진 총무이사는 19일 서울 서초구 대한약사회관에서 열린 전문언론 대상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토론회는 대한약사회가 정책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임원들과 함께 ‘결의’하고 실천 방법을 구체화해 나가는 자리”라며 “정책 실행에 대한 주체성을 높이고 지역 약사회와 회원이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고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는 성분명처방 제도화와 한약사 문제 해결을 핵심 의제로 설정했다. 노 총무이사는 “성분명처방은 이미 약국 현장에서 동일성분 조제를 통해 자연스럽게 경험되고 있으며, 의사단체의 반대 논리는 여전하지만 품절약 대란을 통해 국민 인식과 제도적 여건이 크게 변화했다”며 “이제는 의료공백 해소와 환자 편의 향상을 위해 성분명 중심 처방으로 나아갈 때”라고 말했다.
또한 한약사 문제에 대해서는 “단순히 대한약사회에서의 제도 논의만으로는 해결이 어렵고 각 지역-지부에서의 행정 대관과 회원 교육, 실무 대응이 필요하다”며 “정책은 중앙이 방향을 잡고, 지역이 실행을 책임지는 방식으로 실현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대한약사회는 이번 권역별 토론을 통해 도출된 제안과 의견을 문서화하고 향후 정책 TFT, 국회 토론회, 공약 제안 등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노 총무이사는 “6차례 토론을 통해 수렴된 목소리는 대한약사회 회무의 큰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국민과 정부, 국회에 설명하고 설득하는 데도 적극 활용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토론회는 각 권역별 지역 약사회 임원만 참석 가능하며 비공개로 진행된다. 노 총무이사는 “비공개 원칙은 자유롭고 솔직한 토론을 보장하기 위한 결정”이라며 “회원 의견을 수렴해 실제 제도 개선에 반영하는 새로운 회무 방식의 시작”이라고 전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미국, 비만 치료 확대· 치료제 의료보험 적용 추진...왜? |
2 |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평균 연구개발비, 코스피 176억원‧코스닥 29억원 |
3 | 비보존제약 7월 사후마진 4→3%…유통업계, 얀센發 '도미노' 우려 |
4 | 리가켐바이오, 또 한번 밸류업㊤ “ADC 독성 난제 해결사…파이프라인만 30여개” |
5 | 화장품 기업 76개사 1Q 타사상품 유통매출 평균 106억…전년비 1.9%↓ |
6 | 강희철 대표 "지에프씨생명과학, 식물 유래 '엑소좀' 넘버원 기업 도약할 것" |
7 | “‘제네릭‧개량신약’ 제도 보완해야…저렴하게 공급 시 약가인하율 일부 면제 필요” |
8 | 의약품유통업계, 한국얀센 2% 마진 인하에 대응 기류 확산 |
9 | “대상포진 고령화 사회의 ‘필수 방어전’… 치료보다 예방이 훨씬 값지다” |
10 | 미국 관세에 멈칫한 현지 브랜드… 한국은 대응 속도 높인다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대한약사회(회장 권영희)가 성분명처방 제도화와 한약사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해법을 마련하고자, 오는 25일부터 전국 권역별 정책토론회를 순차적으로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단순 설명회가 아닌 임원이 직접 참여하고 의견을 내는 쌍방향 회무 구조로, 약사 직능 수호와 국민 건강권 강화를 위한 실질적 동력이 될 것으로 대한약사회는 기대하고 있다.
토론회는 △5월 25일 부산·울산·경남을 시작으로 △6월 1일 서울·강원 △6월 15일 대전·충북·충남 △6월 29일 광주·전북·전남·제주 △7월 6일 대구·경북 △7월 27일 인천·경기 순으로 6개 권역에서 진행되며 각 지부 임원 중심으로 구성된 조별 토론과 팀별 발표, 최종 정리 과정을 거쳐 지역별 현실을 반영한 실행 방안을 도출한다.
대한약사회 노수진 총무이사는 19일 서울 서초구 대한약사회관에서 열린 전문언론 대상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토론회는 대한약사회가 정책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임원들과 함께 ‘결의’하고 실천 방법을 구체화해 나가는 자리”라며 “정책 실행에 대한 주체성을 높이고 지역 약사회와 회원이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고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는 성분명처방 제도화와 한약사 문제 해결을 핵심 의제로 설정했다. 노 총무이사는 “성분명처방은 이미 약국 현장에서 동일성분 조제를 통해 자연스럽게 경험되고 있으며, 의사단체의 반대 논리는 여전하지만 품절약 대란을 통해 국민 인식과 제도적 여건이 크게 변화했다”며 “이제는 의료공백 해소와 환자 편의 향상을 위해 성분명 중심 처방으로 나아갈 때”라고 말했다.
또한 한약사 문제에 대해서는 “단순히 대한약사회에서의 제도 논의만으로는 해결이 어렵고 각 지역-지부에서의 행정 대관과 회원 교육, 실무 대응이 필요하다”며 “정책은 중앙이 방향을 잡고, 지역이 실행을 책임지는 방식으로 실현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대한약사회는 이번 권역별 토론을 통해 도출된 제안과 의견을 문서화하고 향후 정책 TFT, 국회 토론회, 공약 제안 등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노 총무이사는 “6차례 토론을 통해 수렴된 목소리는 대한약사회 회무의 큰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국민과 정부, 국회에 설명하고 설득하는 데도 적극 활용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토론회는 각 권역별 지역 약사회 임원만 참석 가능하며 비공개로 진행된다. 노 총무이사는 “비공개 원칙은 자유롭고 솔직한 토론을 보장하기 위한 결정”이라며 “회원 의견을 수렴해 실제 제도 개선에 반영하는 새로운 회무 방식의 시작”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