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핫한” 제약사의 한곳으로 급부상한 노보 노디스크社가 7일 2024 회계연도 상반기 경영성적표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노보 노디스크는 상반기에 전년대비 24% 껑충 뛰어오른 1,334억900만 크로네(약 195억 달러)의 매출액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18% 향상된 577억8,000만 크로네(약 84억4,800만 달러)의 영업이익과 16% 증가한 454억5,700만 크로네(약 66억4,700만 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당순이익 또한 한 주당 10.17크로네(약 1.49달러)로 나타나 17% 향상된 것으로 분석됐다.
상반기 실적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북미시장에서 36% 급증한 802억1,000만 크로네(약 117억3,000만 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북미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마켓에서는 9% 늘어난 531억9,900만 크로네(약 77억8,000만 달러)의 매출액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마켓의 실적을 세부적으로 구분해 보면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시장(EMEA)이 289억700만 크로네로 13%, 중국시장이 289억700만 크로네로 13%, 기타지역 시장이 148억2,300만 크로네로 5%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제품부문별로 상반기 실적을 들여다 보면 당뇨병 치료제가 1,001억1,000만 크로네(약 146억4,000만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하면서 24% 올라선 가운데 비만 치료제가 249억3,900만 크로네(약 36억4,700만 달러)로 37% 껑충 뛰어올라 주목할 만해 보였다.
당뇨병 및 비만 치료제 전체적으로 보면 총 1,250억4,900만 크로네(약 182억9,600만 달러)의 실적을 기록하면서 26% 성장률을 내보였다.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수용체 작용제는 720억1,700만 크로네(약 105억3,200만 달러)로 32%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슐린 제제가 269억7,700만 크로네(약 39억4,500만 달러)로 9% 향상됐다.
반면 희귀질환 치료제는 83억6,000만 크로네(약 12억2,000만 달러)에 그쳐 4% 마이너스 성장률을 내보였다.
주요 제품들의 실적을 짚어보면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세마글루타이드)이 566억8,500만 크로네(약 82억9,400만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해 36%에 달하는 높은 성장률을 과시했다.
이에 비해 같은 당뇨병 치료제 ‘빅토자’(리라글루타이드)는 44억100만 크로네(약 6억4,400만 달러)로 5% 소폭 감소하면서 명암이 교차했다.
같은 세마글루타이드 제제이지만, 피하주사제인 ‘오젬픽’과 달리 경구용 정제인 ‘리벨서스’(세마글루타이드)는 109억3,100만 크로네(약 15억9,950만 달러)의 실적으로 31% 발빠른 성장세를 내보였다.
비만 치료제 중에서는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의 경우 210억3,600만 크로네(약 30억7,800만 달러)의 실적으로 74% 고속성장세를 과시해 돋보였다.
이와 달리 ‘삭센다’(리라글루타이드)는 39억300만 크로네(약 5억7,000만 달러)의 실적으로 36% 주저앉아 권력이동을 방증해 보였다.
다만 주요 제품들 가운데 ‘오젬픽’과 ‘위고비’는 갈수록 가중되는 경쟁과 지속적인 공급제약 문제가 수반되지 않았을 경우 더 높은 실적을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됐다.
라르스 프루에르고르 외르겐센 회장은 “상반기에 괄목할 만한 매출성장을 달성하면서 2024 회계연도 전체 예상실적을 상향조정할 수 있게 된 것을 기쁘게 받아들인다”면서 “이 같은 성장세가 우리의 GLP-1 기반 당뇨병 치료제와 비만 치료제들의 수요확대에 주로 힘입은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가 보유한 혁신적인 치료제들이 더 많은 수의 환자들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보 노디스크는 변함없이 사세를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날 노보 노디스크 측은 2024 회계연도 전체적으로 볼 때 22~28%의 매출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22~28%는 지난 5월 2일 제시했던 19~27% 매출성장률에 비해 상향조정된 수치이다.
예상 영업이익 향상률의 경우 20~28%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5월 제시되었던 22~30%에 비해 소폭이나마 하향조정된 것이다.
영업이익 향상률을 소폭 하향조정한 것은 항고혈압제 후보물질 오세두레논(ocedurenone)이 임상 3상 ‘CLARION-CKD 시험’에서 일차적 시험목표를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 것과 관련해서 손상차손(損傷差損)이 경영지표에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플랫폼 기술'로 초대박 친 '에이비엘바이오' 앞날이 더 기대되는 이유 |
2 | 코스피 제약바이오 지난해 순이익 증가율 톱5 '삼진 파미셀 보령 JW중외 JW생명' |
3 | 온코크로스, AACR서 췌장암 치료제 ‘OC212e’ 전임상 성과 첫 공개 |
4 | 메지온 “국제질병분류 개정판, 폰탄 관련 질환코드 처음 발표” |
5 | 지난해 코스피 제약바이오 연구개발비 톱5 ‘셀트리온 삼성바이오 대웅 유한 한미’ |
6 | "R&D 삭감에 제약바이오는 무너졌다" 과학 살릴 다음 대통령은 누구인가? |
7 | 뉴로바이오젠, 美사이렉스바이오에 '티솔라질린' 6.5조 규모 L/O 성공 |
8 | [약업닷컴 분석] 3월 바이오 '3상 8건'…항암제·보톡스·CAR-T까지 임상 승인 러시 |
9 | 지난해 코스피 제약바이오 상품매출 톱5 ‘광동제약 유한양행 종근당 GC녹십자 보령’ |
10 | 화장품 기업 74개사 2024년 순이익 평균 305억…전년比 58.6%↑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가장 “핫한” 제약사의 한곳으로 급부상한 노보 노디스크社가 7일 2024 회계연도 상반기 경영성적표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노보 노디스크는 상반기에 전년대비 24% 껑충 뛰어오른 1,334억900만 크로네(약 195억 달러)의 매출액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18% 향상된 577억8,000만 크로네(약 84억4,800만 달러)의 영업이익과 16% 증가한 454억5,700만 크로네(약 66억4,700만 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당순이익 또한 한 주당 10.17크로네(약 1.49달러)로 나타나 17% 향상된 것으로 분석됐다.
상반기 실적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북미시장에서 36% 급증한 802억1,000만 크로네(약 117억3,000만 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북미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마켓에서는 9% 늘어난 531억9,900만 크로네(약 77억8,000만 달러)의 매출액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마켓의 실적을 세부적으로 구분해 보면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시장(EMEA)이 289억700만 크로네로 13%, 중국시장이 289억700만 크로네로 13%, 기타지역 시장이 148억2,300만 크로네로 5%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제품부문별로 상반기 실적을 들여다 보면 당뇨병 치료제가 1,001억1,000만 크로네(약 146억4,000만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하면서 24% 올라선 가운데 비만 치료제가 249억3,900만 크로네(약 36억4,700만 달러)로 37% 껑충 뛰어올라 주목할 만해 보였다.
당뇨병 및 비만 치료제 전체적으로 보면 총 1,250억4,900만 크로네(약 182억9,600만 달러)의 실적을 기록하면서 26% 성장률을 내보였다.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수용체 작용제는 720억1,700만 크로네(약 105억3,200만 달러)로 32%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슐린 제제가 269억7,700만 크로네(약 39억4,500만 달러)로 9% 향상됐다.
반면 희귀질환 치료제는 83억6,000만 크로네(약 12억2,000만 달러)에 그쳐 4% 마이너스 성장률을 내보였다.
주요 제품들의 실적을 짚어보면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세마글루타이드)이 566억8,500만 크로네(약 82억9,400만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해 36%에 달하는 높은 성장률을 과시했다.
이에 비해 같은 당뇨병 치료제 ‘빅토자’(리라글루타이드)는 44억100만 크로네(약 6억4,400만 달러)로 5% 소폭 감소하면서 명암이 교차했다.
같은 세마글루타이드 제제이지만, 피하주사제인 ‘오젬픽’과 달리 경구용 정제인 ‘리벨서스’(세마글루타이드)는 109억3,100만 크로네(약 15억9,950만 달러)의 실적으로 31% 발빠른 성장세를 내보였다.
비만 치료제 중에서는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의 경우 210억3,600만 크로네(약 30억7,800만 달러)의 실적으로 74% 고속성장세를 과시해 돋보였다.
이와 달리 ‘삭센다’(리라글루타이드)는 39억300만 크로네(약 5억7,000만 달러)의 실적으로 36% 주저앉아 권력이동을 방증해 보였다.
다만 주요 제품들 가운데 ‘오젬픽’과 ‘위고비’는 갈수록 가중되는 경쟁과 지속적인 공급제약 문제가 수반되지 않았을 경우 더 높은 실적을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됐다.
라르스 프루에르고르 외르겐센 회장은 “상반기에 괄목할 만한 매출성장을 달성하면서 2024 회계연도 전체 예상실적을 상향조정할 수 있게 된 것을 기쁘게 받아들인다”면서 “이 같은 성장세가 우리의 GLP-1 기반 당뇨병 치료제와 비만 치료제들의 수요확대에 주로 힘입은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가 보유한 혁신적인 치료제들이 더 많은 수의 환자들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보 노디스크는 변함없이 사세를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날 노보 노디스크 측은 2024 회계연도 전체적으로 볼 때 22~28%의 매출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22~28%는 지난 5월 2일 제시했던 19~27% 매출성장률에 비해 상향조정된 수치이다.
예상 영업이익 향상률의 경우 20~28%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5월 제시되었던 22~30%에 비해 소폭이나마 하향조정된 것이다.
영업이익 향상률을 소폭 하향조정한 것은 항고혈압제 후보물질 오세두레논(ocedurenone)이 임상 3상 ‘CLARION-CKD 시험’에서 일차적 시험목표를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 것과 관련해서 손상차손(損傷差損)이 경영지표에 반영되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