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건강산업신문이 OEM업체들을 대상으로 매년 상하반기 두 차례씩 실시하고 있는 인기소재 조사결과가 발표됐다.
2010년 하반기 조사 결과 이번에도 여지없이 콜라겐과 글루코사민이 나란히 1위, 2위를 지켰다.
두 소재는 2007년부터 4년연속 투톱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것.
3위 제품으로는 포스트 콜라겐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플라센타.
이들 소재는 올해 예상 인기소재에서도 나란히 1, 2, 3위에 올랐다.
콜라겐 6연 연속 ‘톱’
일본 건강산업신문이 실시한 2010년 인기소재 조사에서 업체들이 언급한 기능성소재는 약60종. 2009년 조사때보다는 20종이 감소했다.
이중 인기소재 톱10을 보면 지난해에도 여전히 콜라겐의 인기는 지속된 것으로 드러났다.
미니드링크에 채용되는 건수가 증가하면서 2006년부터 6년 연속 톱 자리를 지키고 있다.
2위는 글루코사민. 글루코사민이 2위에 오른 것은 2007년부터로 이후 콜라겐과 함께 4년 연속 투톱의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두 소재 모두 ‘로코모티브 신드롬(운동기능저하 증후군: 일본에서는 ‘로코모’라고 줄여서 말한다)’소재로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일본의 기능식품 시장을 견인해 나갈 것으로 확실시 되고 있다.
한편 3위에 랭크된 소재는 플라센타로서 2008년 8위, 2009년 5위에서 상승해 처음으로 3위 안에 진입했다.
특히 2010년에는 드링크의 수요가 급신장하면서 신제품 출시가 이어져 시장이 활성화됐다.
이 같은 시장 분위기를 타고 대형식품회사 및 화장품업체도 관심수위를 높여 속속 진출하면서 올해는 시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09년 3위에 랭크됐던 히알루론산은 4위로 하락했으며, 청즙의 인기에 힘입어 대맥약엽은 5위에 올랐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10대 BIO 기술② 'AI기반 인공 단백질 설계' 세상에 없던 신약 예고 |
2 | 봄맞이 제약업계 광고 트렌드...TV와 디지털 투트랙 전략 |
3 | SK바이오팜, 2022년 매출 2462억원…전년比 41.2%↓ |
4 | 바이엘, 항암제 시장 10위권 도약...현괄질환 차세대 치료제 개발에도 온힘 |
5 | 버텍스ㆍCRISPR 1형 당뇨 세포치료제 개발 제휴 |
6 | 아이큐어 子 커서스바이오, 클립스비엔씨와 '마이크로니들 백신 패치' 공동연구 |
7 | 고바이오랩, 카카오헬스케어와 '마이크로바이옴 솔루션' MOU |
8 | ‘키스칼리’ 초기 유방암서 임상적 유익성 입증 |
9 | 공공심야약국 법제화, 본회의만 남았다…예산도 확대될까 |
10 | 시행 열흘 앞둔 ‘전문약사제’, 올해 ‘1호 전문약사’ 탄생할까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일본 건강산업신문이 OEM업체들을 대상으로 매년 상하반기 두 차례씩 실시하고 있는 인기소재 조사결과가 발표됐다.
2010년 하반기 조사 결과 이번에도 여지없이 콜라겐과 글루코사민이 나란히 1위, 2위를 지켰다.
두 소재는 2007년부터 4년연속 투톱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것.
3위 제품으로는 포스트 콜라겐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플라센타.
이들 소재는 올해 예상 인기소재에서도 나란히 1, 2, 3위에 올랐다.
콜라겐 6연 연속 ‘톱’
일본 건강산업신문이 실시한 2010년 인기소재 조사에서 업체들이 언급한 기능성소재는 약60종. 2009년 조사때보다는 20종이 감소했다.
이중 인기소재 톱10을 보면 지난해에도 여전히 콜라겐의 인기는 지속된 것으로 드러났다.
미니드링크에 채용되는 건수가 증가하면서 2006년부터 6년 연속 톱 자리를 지키고 있다.
2위는 글루코사민. 글루코사민이 2위에 오른 것은 2007년부터로 이후 콜라겐과 함께 4년 연속 투톱의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두 소재 모두 ‘로코모티브 신드롬(운동기능저하 증후군: 일본에서는 ‘로코모’라고 줄여서 말한다)’소재로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일본의 기능식품 시장을 견인해 나갈 것으로 확실시 되고 있다.
한편 3위에 랭크된 소재는 플라센타로서 2008년 8위, 2009년 5위에서 상승해 처음으로 3위 안에 진입했다.
특히 2010년에는 드링크의 수요가 급신장하면서 신제품 출시가 이어져 시장이 활성화됐다.
이 같은 시장 분위기를 타고 대형식품회사 및 화장품업체도 관심수위를 높여 속속 진출하면서 올해는 시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09년 3위에 랭크됐던 히알루론산은 4위로 하락했으며, 청즙의 인기에 힘입어 대맥약엽은 5위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