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멘스 헬시니어스,미국CDC와 코로나19 중화항체 기준수치 수립 착수
특정 바이러스성 단백질 대상 중화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항체 농도 정의 예정
입력 2020.09.23 08:41 수정 2020.09.23 09:19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지멘스 헬시니어스가 지난 15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유럽연합 공동연구센터(JRC) 협력 하에  'SARS-CoV-2 검사키트 표준화를 위한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23일 밝혔다. 

검사키트 표준화는 실험 연구를 통해 각 단백질에 대해 바이러스의 세포 침투를 막을 수 있는 항체 수준인 중화항체 역가 수치(neutralization antibody titer)를 지정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인 전염이나 백신접종으로 인해 상승되는 IgG 기준수치를 표준화된 단위로 표기 가능한 경우, 테스트 결과를 통해 면역기능 생성 여부 판단 절차를 표준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지멘스 헬시니어스 진단사업부문 글로벌 총괄 책임자인 디팍 나스(Deepak Nath) 박사는 “그동안 면역력 수준을 판단할 만한 기준을 수립하지 않은 것이 항체 검사 도입과 관련된 큰 장벽이 돼 왔다. SARS-CoV-2 항체는 표적별로 서로 다른 수준의 중화 수치를 보여준다. 우리 R&D 팀은 각 항체의 표적이 무력화되는 수준을 정의할 수 있다면, 단지 항체 생성 여부가 아니라 면역력을 갖추었는지 판단하는 표준화된 키트를 만드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며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및 유럽연합 공동연구센터와 진행하는 협력사업은 모든 항체 검사 제조사들이 도입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팬데믹 상황에도 더 나은 환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표준화된 절차가 수립될 경우 각기 다른 제조사의 항원 표적에 대한 중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항체 농도를 정의할 수 있다.

또 각 제조사들은 현재 내부적인 기준을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검사 키트를 각자 표준화했기 때문에 서로 참조를 할 수 없는 상황으로, 이번 협력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JRC가 표준 자료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바이러스성 단백질 종류에 따라 각기 특정한 항체 농도를 지정해주는 표준자료를 통해 각 제조사들이 표준화된 수치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 국제적인 표준수치가 수립되고 제조사들이 이를 적용하게 되면, 임상의들은 어느 제조사의 테스트 방식을 사용하는지에 상관없이 환자들 항체 농도를 추적할 수 있게 된다"며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항체 수준 비교가 가능해져 환자 관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생성된 자연적인 면역기능을 확인하고 백신의 효과도 입증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객관적 효능평가, 우리가 책임진다" 디티앤씨알오, 안 질환 분석 깊이를 더하다
이기일 차관, 32년 정든 복지부 떠났다…“감사했다, 의료계‧정부 같이 가야”
김남주바이오 "증상 완화 넘어 근본 개선"…약국 맞춤 건기식 솔루션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지멘스 헬시니어스,미국CDC와 코로나19 중화항체 기준수치 수립 착수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지멘스 헬시니어스,미국CDC와 코로나19 중화항체 기준수치 수립 착수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