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반 체외진단기기 플랫폼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노을(주) (대표 임찬양 / 이동영)은 미국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MGH), 하버드 의과대학, 연세의료원, 서울아산병원과 공동으로 ‘최소침습적 지능형 세포분석 기반 암 진단 시스템’ 개발을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이 사업은 최근 2020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의 4차 산업혁명 및 미래의료환경을 선도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기기 분야에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의료기기 개발’이라는 연구주제로 최종 선정됐다.
노을의 이동영 대표와 MGH 하버드의과대학 임형순 교수,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문재 교수, 서울아산병원 남수정 교수가 연구 개발에 참여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5년간 45억 원의 정부출연금이 투입될 예정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FNA 샘플 전처리와 디지털 이미징, AI 분석, 원격 진단까지 가능한 소형 진단 플랫폼을 개발하여 기존 검체전달 및 진단 프로세스를 생략함으로써 검체 채취단계에서 진단까지 완전 자동화할 뿐 아니라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한 On-Site (현장형) 암 진단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한다.
개발 예정인 ‘최소침습적 지능형 세포분석 기반 암 진단 시스템’에는 노을(주)의 원천기술인 ‘고체 염색기술이 접목된 카트리지’와 진단플랫폼 miLab(Micro-Intelligent Laboratory)이 활용되고, 이를 통해 연구팀은 암 진단의 골드 스탠다드인 파파니콜라우(Papanicolaou)염색 및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면역염색이 모두 가능할 뿐 아니라 최적화된 디지털 이미징 시스템을 공동개발 한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이후 연세의료원과 서울아산병원으로부터 얻은 각종 FNA 검체 이미지를 활용하여 암 세포 검출이 가능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개발된 시스템은 연세의료원(폐암, 췌장암, 담도암) 및 서울아산병원(갑상선암, 유방암)에서 1, 2차 임상시험을 실시한 후 최종적으로 상용화 될 예정이다.
노을은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1차 병원이나 전문인력 및 시설이 열악한 곳에서도 신속한 현장형 암 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노을 이동영 대표는 “신속형 암 진단 플랫폼을 활용하면 상담, 검사, 결과확인, 치료계획 수립이 1일 이내 이뤄질 수 있다. 플랫폼 개발 후 MGH 하버드의대와 협력을 통해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을 포함해 글로벌 진출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고심 커지는 고가약 급여관리, 엔허투‧타그리소‧헴리브라 급여 호소 어쩌나 |
2 | 제넨바이오 "1형 당뇨 치료 '새 패러다임' 이종췌도이식, 임상 스타트" |
3 | 식약처, 사람 죽인 인도산 점안제…"해외 조사 결과 기다리는 중" |
4 | 의료기관 ESG경영, 대형병원부터 중소형병원까지 '유행' 아닌 '일상' |
5 | SK바이오사이언스 "3257억원 규모 '글로벌 바이오 허브' 구축" |
6 | 신테카바이오 "올해 상업 서비스 본격화로 매출 성장 원년 만들 것" |
7 | 알테오젠, '테르가제' 품목허가 신청…600억원 韓 시장 정조준 |
8 | 네오이뮨텍, ‘재발 교모세포종’ 美 임상 2상 첫 환자 투여 완료 |
9 | 메디포스트, 배우 차예련과 ‘모비타’ 4년 연속 전속 모델 계약 |
10 | 셀트리온헬스케어, 美 법인 최고사업책임자 화이자 출신 '토마스 누스비켈' 영입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인공지능 기반 체외진단기기 플랫폼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노을(주) (대표 임찬양 / 이동영)은 미국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MGH), 하버드 의과대학, 연세의료원, 서울아산병원과 공동으로 ‘최소침습적 지능형 세포분석 기반 암 진단 시스템’ 개발을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이 사업은 최근 2020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의 4차 산업혁명 및 미래의료환경을 선도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기기 분야에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의료기기 개발’이라는 연구주제로 최종 선정됐다.
노을의 이동영 대표와 MGH 하버드의과대학 임형순 교수,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문재 교수, 서울아산병원 남수정 교수가 연구 개발에 참여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5년간 45억 원의 정부출연금이 투입될 예정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FNA 샘플 전처리와 디지털 이미징, AI 분석, 원격 진단까지 가능한 소형 진단 플랫폼을 개발하여 기존 검체전달 및 진단 프로세스를 생략함으로써 검체 채취단계에서 진단까지 완전 자동화할 뿐 아니라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한 On-Site (현장형) 암 진단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한다.
개발 예정인 ‘최소침습적 지능형 세포분석 기반 암 진단 시스템’에는 노을(주)의 원천기술인 ‘고체 염색기술이 접목된 카트리지’와 진단플랫폼 miLab(Micro-Intelligent Laboratory)이 활용되고, 이를 통해 연구팀은 암 진단의 골드 스탠다드인 파파니콜라우(Papanicolaou)염색 및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면역염색이 모두 가능할 뿐 아니라 최적화된 디지털 이미징 시스템을 공동개발 한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이후 연세의료원과 서울아산병원으로부터 얻은 각종 FNA 검체 이미지를 활용하여 암 세포 검출이 가능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개발된 시스템은 연세의료원(폐암, 췌장암, 담도암) 및 서울아산병원(갑상선암, 유방암)에서 1, 2차 임상시험을 실시한 후 최종적으로 상용화 될 예정이다.
노을은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1차 병원이나 전문인력 및 시설이 열악한 곳에서도 신속한 현장형 암 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노을 이동영 대표는 “신속형 암 진단 플랫폼을 활용하면 상담, 검사, 결과확인, 치료계획 수립이 1일 이내 이뤄질 수 있다. 플랫폼 개발 후 MGH 하버드의대와 협력을 통해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을 포함해 글로벌 진출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