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테라피 기술 기반의 메디컬 디바이스 스타트업 웰스케어(Wellscare, 대표 이성원)가 일본 시장 사업 확장에 본격 나선다.
본투글로벌센터(센터장 김종갑)는 멤버사인 웰스케어가 일본 최대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인 마쿠아케(Makuake)에서 목표금액의 300%를 달성하는 등 현지 고객들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고 14일 밝혔다. 크라우드펀딩은 2019년 12월 10일부터 12월 30일까지 진행됐다.
크라우드펀딩에 성공한 제품은 웨어러블 레이저 통증 치료기 이아소(IASO)다. 이아소는 손목터널증후군, 테니스엘보우, 족저근막염 등 통증질환을 일상 속에서 자가 시술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병원에서만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콜드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웰스케어의 마쿠아케 크라우드펀딩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됨에 따라 이아소는 일본 주요 온라인 판매 채널인 라쿠텐(Rakuten)과 아마존 재팬(Amazon Japan) 등에 입점을 추진 중이다. 2월에 개최되는 일본 오사카 의료기기 전시회에서도 이아소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성원 웰스케어 대표는 “지난 2년간 국내는 물론 일본, 미국 등 글로벌 크라우드펀딩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아마존과 같은 온라인 유통채널에 성공적으로 입점하는 등 현지 소비자들에게 이아소 제품력과 기술성을 인정받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2018년 사업을 시작한 웰스케어는 같은 해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 법인을 설립했다. 글로벌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인 인디고고(Indiegogo)에서 목표 대비 200%가 넘는 펀딩에 성공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록을 통한 미국 아마존 판매를 시작한 데 이어 미국 코스트코(Costco), 베스트바이(Best Buy), 타깃(Target) 등과 같은 대형 유통업체와 계약을 추진 중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엔지켐생명과학, 상반기 매출 144억…전년비 31.4%↑ |
2 | HK이노엔, 상반기 매출 4,321억…전년비 16.2%↑ |
3 | 2022년 FDA 승인 받은 신약 적지만 '잠재력' 높다 |
4 | 개별인정형 건기식 ‘헤모힘 당귀등 혼합추출물’ 톱 |
5 | "글로벌 제약바이오 빙하기? 'M&A 불씨' 살아있어" |
6 | 코로나19로 사망한 소아‧청소년 44명…9세 이하 66% |
7 | 삼천당제약, 상반기 매출 890억…전년비 9.9%↑ |
8 | 한·중 제약바이오협회, 오픈이노베이션 포럼 개최 |
9 | 휴메딕스, 상반기 매출 586억…전년비 8.1%↑ |
10 | 60~70대 위암 환자 10명 중 6명…진료비 3500억원 부담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광테라피 기술 기반의 메디컬 디바이스 스타트업 웰스케어(Wellscare, 대표 이성원)가 일본 시장 사업 확장에 본격 나선다.
본투글로벌센터(센터장 김종갑)는 멤버사인 웰스케어가 일본 최대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인 마쿠아케(Makuake)에서 목표금액의 300%를 달성하는 등 현지 고객들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고 14일 밝혔다. 크라우드펀딩은 2019년 12월 10일부터 12월 30일까지 진행됐다.
크라우드펀딩에 성공한 제품은 웨어러블 레이저 통증 치료기 이아소(IASO)다. 이아소는 손목터널증후군, 테니스엘보우, 족저근막염 등 통증질환을 일상 속에서 자가 시술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병원에서만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콜드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웰스케어의 마쿠아케 크라우드펀딩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됨에 따라 이아소는 일본 주요 온라인 판매 채널인 라쿠텐(Rakuten)과 아마존 재팬(Amazon Japan) 등에 입점을 추진 중이다. 2월에 개최되는 일본 오사카 의료기기 전시회에서도 이아소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성원 웰스케어 대표는 “지난 2년간 국내는 물론 일본, 미국 등 글로벌 크라우드펀딩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아마존과 같은 온라인 유통채널에 성공적으로 입점하는 등 현지 소비자들에게 이아소 제품력과 기술성을 인정받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2018년 사업을 시작한 웰스케어는 같은 해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 법인을 설립했다. 글로벌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인 인디고고(Indiegogo)에서 목표 대비 200%가 넘는 펀딩에 성공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록을 통한 미국 아마존 판매를 시작한 데 이어 미국 코스트코(Costco), 베스트바이(Best Buy), 타깃(Target) 등과 같은 대형 유통업체와 계약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