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임바이오(대표 김홍렬)이 세계 최초로 연구개발에 성공한 ‘암 줄기세포용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특허 기술을 ㈜바이오시노시아(대표 이주석)로부터 23억원에 이전키로 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발표했다.
하임바이오는 국립암센터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이 공동으로 개발한 폐암, 뇌암, 위암 대사항암제 기술을 이전 받아 대사항암제 ‘NYH817100’를 개발하고 있는 바이오 스타트업이다.
이 회사가 개발중인 대사항암제 ‘NYH817100’는 정상세포는 그대로 두고 암세포만 굶겨 죽일 수 있어 기존 항암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고 완치율을 높일 수 있는 치료제다.
이번에 하임바이오가 바이오시노시아로 부터 이전 받은 ‘암 줄기세포용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특허 기술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의 암 대사 연구를 이끌고 있는 정재호 교수가 개발한 기술이다.
이는 암 세포뿐만 아니라 암 줄기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해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세계에서 유일한 특허 기술로서 국내 특허 등록은 완료됐으며, 미국과 유럽, 중국, 일본, 홍콩 등에 특허 출원을 진행 중이다.
세브란스 정재호 교수팀이 개발한 이 특허기술은 암세포가 항암제나 영양결핍 등의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칼슘이 세포질 내로 나오게 되고, 칼슘 양이 많아지면 미토콘드리아 내로 들어가서 결국 세포가 사멸된다는 생리를 발견해, 칼슘 농도를 조절해 줄기세포성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특허 기술이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정재호 박사는 “이 기술은 항암제에 내성을 가지고 전이되는 암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됐다. 기존의 항암치료는 종양 덩어리 겉 부분의 암세포는 줄어들고, 옅어지지만 내부에 존재하는 암세포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개선한 기술”이라고 전했다
하임바이오 김홍렬 대표는 “하임바이오가 암치료제 원천기술 두가지를 보유케 되었다. 제4세대 대사항암제와 암 줄기세포 억제 특허까지 보유케 된 것은 대단한 일”이라며, “이 기술은 치료가 어려운 줄기세포성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로서 암치료의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할 만한 기술”이라고 자신있게 밝혔다.
하임바이오는 대사항암제 기술과 암 줄기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치료 원천기술을 동시에 보유하게 되어 세계 암치료제 선두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