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 사칭에 이젠 잠입까지? 약사단체 "면허증 도용 문제 있다"
한약사, 약사면허증 도촬해 약사커뮤니티 인증 게시글 올라와
약사사회와 정부의 한약사 해결책 동상이몽...'통합약사'는 숙제
입력 2024.05.30 06:00 수정 2024.05.30 20:3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한약사가 약사면허증을 도용해 약사 커뮤니티에 가입하는 사례가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약사와 한약사의 갈등이 재점화되는 분위기다. 

29일 약사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이하 약준모)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한약사가 약국내 약사면허증을 촬영후 도용해 약사커뮤니티에 잠입한다는 제보가 있었고 이날 한약학 관련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관련 글이 올라왔다.

해당 게시글을 살펴보면, 한약사로 추정되는 글쓴이가 "약사 커뮤니티인 근약근살을 뚫었다"며 커뮤니티 가입 편법을 안내하고 있다. 글쓴이는 "동네 약국에서 핸드폰으로 면허증만 찍고 인증하면 끝"이라면서 "지인은 포샵으로 하던데 그건 잘 모르겠다"고도 덧붙였다. 해당 게시글엔 "당장 가입하러 간다"라는 댓글도 달렸다.

'근약근살'은 근무약사들이 소통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카페로 29일 기준, 3556명의 회원이 가입해 있다. 약사들은 '근약근살'을 비롯해, '약준모', '개준모(약국 개국을 준비하는 모임)', '약문약답(약사 전용 플랫폼)' 등의 커뮤니티에서 최신 약국 소식이나 제품 정보 등을 교류하고 있다.

약준모 관계자는 "해당 약사커뮤니티 '근약근살'은 이 내용을 인지하고, 우선 단체 채팅방(카카오톡)을 폐쇄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약준모 차원에서도 커뮤니티 회원들에 대한 약사 인증 절차를 좀 더 강화해 한약사 뿐 아니라 비약사 회원을 걸러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약사 사회는 이같은 한약사의 행위에 도가 지나치다며 비판을 가하고 있다.

약사 A씨는 "약사가 아닌데, 속여서 약국 커뮤니티에 들어와 약국 경영이나 제품 관련 최신 정보를 뽑아가고 배워가려는 것은 분명한 문제"라면서 "가입 인증을 위해 허락 없이 타인의 면허증을 사용하는 것은 '도용'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대한약사회 차원에서 한약사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약사 B씨는 "한약사가 약사로 읽히게끔 명찰을 패용하는 사례를 넘어서, 약사커뮤니티에 불법인증으로 참여하는 등 활개치는 것에 있어서, 약사회 차원에서 진일보된 한약제 문제 해결 모습을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 싶다"며 "한약사 쪽에서 한약학과 5년제학제 개편을 추진하는 등의 움직임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대한약사회는 변호사를 포함한 한약사 문제 해결을 위한 TF팀을 구성하고 회의를 통해 법률적 제재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대한약사회 임원 C씨는 "약사면허증은 공식 문건이라 도용은 중요한 사안인데, 한약사가 감정의 골을 왜 키우는 행동을 하는지 모르겠다"며 이해가 안된다는 반응을 보였고, 이어 한약사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해선 "아직 TF팀 차원에서 실제적으로 지침이 나오거나 행동은 없지만, 최선을 다해 방안을 강구해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대한약사회 관계자 D씨는 "그렇다고 맞서 직역 갈등의 감정적 대립을 고조시키는 것은 좋은 해결책은 아니"라면서 "한약사가 약사커뮤니티에 가입하는 문제도 단속하긴 어렵다"는 의견을 냈다.

한편, 정부나 정치권에서 한약사 제도 해결 방안으로 '통합약사' 이야기가 나오는 것에 대해 약준모 관계자는 "통합약사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확실히 했다.

이 관계자는 "최근 65%(106명 중 69명)의 약사가 통합약사에 찬성한다고 밝힌 구로구약사회의 설문결과는 한약학과 폐과를 가정한 질문으로 지역지부 차원의 한정적 결과이기도 하고, 약준모 차원의 조사결과(3202명 중 95.7%인 3063명 반대)가 약사사회를 대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통합약사 문제와 관련해서 대한약사회 임원 C씨는 "여러 배경 상 못하는 것을 문제제기하기 보다는 안하는 것을 하게끔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적어도 보건복지부가 고시나 행정지도를 통해 약사와 한약사의 업무범위가 명확해질 수 있도록 힘을 실어야 한다"고 생각을 밝혔다.

지역약사회 임원 E씨는 "정부나 국회가 다른 생각을 하고 있다면 내부적으로 설득을 하던지, 내부 방향을 수정하던지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면서 "약사회 차원에서 정치권을 이용하든 접점을 찾아 힘을 키워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병원·의료]약사 사칭에 이젠 잠입까지? 약사단체 "면허증 도용 문제 있다"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병원·의료]약사 사칭에 이젠 잠입까지? 약사단체 "면허증 도용 문제 있다"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