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초에도 금연 계획 세우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계획대로 잘 진행되고 있으신가요? 국민건강증진법 강화에 따라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이 금지되고 일상 생활영역 전반이 금연 구역으로 지정되어 흡연을 하고 있는 개인의 입장에서는 흡연권을 빼앗겼다고 생각을 할 수 있지만, 국가적으로 금연 운동을 하는 것은 그만큼 우리 모두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 필요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즉,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 몸에 좋은 음식을 먹고 운동을 하는 것보다도 훨씬 좋은 방법이 바로 담배를 끊는 일입니다.
흡연 남성의 52%와 흡연 여성의 43%가 담배로 인한 질병으로 사망하고 전 세계적으로 사망자 6명 중 1명은 담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담배는 4,000여 종의 화학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담배 연기에는 60여 종의 발암물질이 확인되었습니다. 주위에서 보면 자신의 담배는 니코틴 함량이 적다고 자랑스레 이야기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지만 그런 경우 담배를 더 깊게 피우게 되어 합병증은 일반 담배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흡연자의 70% 이상이 금연을 원하지만, 금연에 성공하는 사람은 매년 1% 정도로 매우 적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니코틴의 영향 때문인데, 즉 계속 담배를 피우던 사람이 갑자기 금연을 하면 니코틴 금단 증상으로 담배를 다시 찾게끔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니코틴의 중독 정도는 상당히 중요한데요. 이를 간단히 체크해 볼 수 있는 파거스트롬 니코틴 의존도 척도라는 설문이 있습니다. 하루에 피우는 담배 개비수, 아침에 일어나서 얼마 만에 첫 담배를 피우는지, 금연 구역에서 담배를 참기가 어려운지, 하루 중 담배가 가장 좋은 때가 언제인지, 오전에 담배를 더 자주 피우는지, 몸이 아플 때도 담배를 피우는 지를 통해 니코틴 의존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니코틴 의존도가 높게 나타난 경우는 가능하다면 패치나 껌과 같은 니코틴 대체요법이나 약물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성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담배를 끊는 가장 확실하고도 효과적인 방법은 주기적으로 의사와의 상담과 더불어 니코틴 대체요법과 약물요법을 시행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혼자서는 거의 끊지 못할 담배를 절반 정도까지는 금연에 성공할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은 만병의 근원이라는 담배를 끊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금연은 분명 본인의 의지와도 상관이 있습니다만, 금연에 실패했다고 너무 자신을 책망하지 말고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서 시행하는 것이 본인의 건강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약을 깨서 먹어요”…환자의 위험한 선택, 해결 실마리는 ‘크기 규제’ |
2 | 의약품유통협회, 온라인몰 유통질서 왜곡 실태 공론화 |
3 | 스텔라라 무너져도 끄떡없다…J&J, 분기 매출 150억 달러 신기록 |
4 | 기업 리디자인 ‘바이엘’ CEO 임기 연장 전격결정 |
5 | 정은경 “제약바이오 강국 실현, 국가 투자‧책임성 강화할 것” |
6 | [인터뷰] AGE20’S ‘에센스 팩트’로 미국 시장서 정면 승부 |
7 | 규제과학의 미래, 청년 연구자가 답했다 |
8 | “NBA에 올인”…스포츠 중계 장악한 스카이리치, 광고비만 1400억 |
9 | 에이치이엠파마, 세종공장 준공…“글로벌 헬스케어 전략 허브로 도약” |
10 | 경동제약,제제 기술력 기반 제네릭 개발 강화..만성질환 포트폴리오 확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올 연초에도 금연 계획 세우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계획대로 잘 진행되고 있으신가요? 국민건강증진법 강화에 따라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이 금지되고 일상 생활영역 전반이 금연 구역으로 지정되어 흡연을 하고 있는 개인의 입장에서는 흡연권을 빼앗겼다고 생각을 할 수 있지만, 국가적으로 금연 운동을 하는 것은 그만큼 우리 모두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 필요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즉,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 몸에 좋은 음식을 먹고 운동을 하는 것보다도 훨씬 좋은 방법이 바로 담배를 끊는 일입니다.
흡연 남성의 52%와 흡연 여성의 43%가 담배로 인한 질병으로 사망하고 전 세계적으로 사망자 6명 중 1명은 담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담배는 4,000여 종의 화학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담배 연기에는 60여 종의 발암물질이 확인되었습니다. 주위에서 보면 자신의 담배는 니코틴 함량이 적다고 자랑스레 이야기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지만 그런 경우 담배를 더 깊게 피우게 되어 합병증은 일반 담배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흡연자의 70% 이상이 금연을 원하지만, 금연에 성공하는 사람은 매년 1% 정도로 매우 적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니코틴의 영향 때문인데, 즉 계속 담배를 피우던 사람이 갑자기 금연을 하면 니코틴 금단 증상으로 담배를 다시 찾게끔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니코틴의 중독 정도는 상당히 중요한데요. 이를 간단히 체크해 볼 수 있는 파거스트롬 니코틴 의존도 척도라는 설문이 있습니다. 하루에 피우는 담배 개비수, 아침에 일어나서 얼마 만에 첫 담배를 피우는지, 금연 구역에서 담배를 참기가 어려운지, 하루 중 담배가 가장 좋은 때가 언제인지, 오전에 담배를 더 자주 피우는지, 몸이 아플 때도 담배를 피우는 지를 통해 니코틴 의존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니코틴 의존도가 높게 나타난 경우는 가능하다면 패치나 껌과 같은 니코틴 대체요법이나 약물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성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담배를 끊는 가장 확실하고도 효과적인 방법은 주기적으로 의사와의 상담과 더불어 니코틴 대체요법과 약물요법을 시행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혼자서는 거의 끊지 못할 담배를 절반 정도까지는 금연에 성공할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은 만병의 근원이라는 담배를 끊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금연은 분명 본인의 의지와도 상관이 있습니다만, 금연에 실패했다고 너무 자신을 책망하지 말고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서 시행하는 것이 본인의 건강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