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병리사들이 정치력을 강화하고 관련 정책에 목소리를 내기 위해선 대외협력과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특히 보건의료정책연구소 구축 및 임상병리사정책연구회 창설 등을 통해 여기서 나오는 막대한 정책데이터를 활용, 정책 제안 시 합리적 근거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이민우 연구교수는 지난 18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의과학산업연구원 2층 대강당에서 열린 ‘대한임상검사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바이오헬스 분야 및 임상병리사 정책의 미래’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민우 교수는 “다른의료단체에서 임상병리사의 업무권한을 침범했을 때 우리에겐 이를 반박할 데이터가 없었다”며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의료정책연구원)처럼 우리도 보건의료정책연구소를 구축해 관련 정책자료나 논문·빅데이터들을 쌓아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데이터들이 있어야 임상병리사들의 권리가 침해될 때 반박 근거로 바로 제시할 수도 있고, 또 유리한 법안과 정책들을 만들기 위해 정부·국회를 설득할 때 활용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같은 의미에서 임상병리사정책연구회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각 분과학회에 정책 모임을 신설하고 위원회 현황 등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보건복지부, 국회, 각 지방자치단체 등 유관기관 대상 대외협력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교수는 “각 자치단체 및 보건소 등과 협력관계를 맺고 각 기관 위원회에 임상병리사가 참여해 목소리를 내야 한다”며 “홍보 및 의료물품 기증, 소외이웃돕기,의료봉사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끊임없이 전개해 꾸준히 임상병리사를 알리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대외협력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지속해서 국회,정부기관 등을 방문해야 한다”며 “최근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 아래 간호정책과가 신설됐는데, 임상병리과를 포함한 8개 의료기사정책과 역시 신설될 수 있도록 힘을 합쳐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홍보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의사단체, 간호단체, 병원단체 등 모두 자신들의 매체가 있는데 임상병리사 등 의료기사들은 아직 자신들의 입장을 대변할 매체가 없다는 것.
이 교수는 “당장 임상병리사 자체 매체를 만들 수 없다면 의료기사를 전문으로 다루는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볼만 하다”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이 교수는 임상병리사 바이오·헬스분야 강화를 위한 한국임상병리사창업연구회 창설도 건의했다. 이 교수는 고대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 구축사업단 운영기획실장으로 활동 중인 전력을 설명하며 “연구회가 생긴다면 앞으로 임상병리사가 CEO인 제2의 씨젠,셀트리온 같은 기업이 나올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
아울러 “임상병리사들이 창업을 한다면 고려대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에서도 많은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마지막으로 이 교수는 “순수한 마음으로 임상병리사들의 위상 강화와 발전을 위해 많은 제안을 했다”며 “오늘 이 자리가 임상병리사 인재 양성과 업무 영역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길 바란다”고 전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메가트렌드 '비만치료제' 역사상 최단 1000억 달러 시장 전망" |
2 | 올해 바이오헬스 코스닥 상장 13건…지난해 간신히 넘을 듯 |
3 | 세계 최다 ADC 파이프라인 확보 '레고켐바이오' 글로벌 왕좌 노린다 |
4 | 지아이이노베이션 “기술수출보단 상업화 중요…바이오텍 성과 15~20년 걸리기도” |
5 | 전 세계 당뇨 환자 8억 예상…치료제 개발 위한 임상만 72개 |
6 | 바로팜, 피코몰, 블루엠텍..신흥 강자 연속 등장에 긴장'만' 하는 의약품유통업계 |
7 | “워라밸 받고 더” 제약업계, 이제는 ‘폭룡적’ 복지가 대세 |
8 | SK바이오사이언스, 3Q 해외매출 1852억원…전년동기比 203.1%↑ |
9 | [인터뷰] 하만 한국머크 GM, "한국 시장 APAC NO.1이 목표" |
10 | 오상헬스케어,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승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임상병리사들이 정치력을 강화하고 관련 정책에 목소리를 내기 위해선 대외협력과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이 나왔다.
특히 보건의료정책연구소 구축 및 임상병리사정책연구회 창설 등을 통해 여기서 나오는 막대한 정책데이터를 활용, 정책 제안 시 합리적 근거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이민우 연구교수는 지난 18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의과학산업연구원 2층 대강당에서 열린 ‘대한임상검사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바이오헬스 분야 및 임상병리사 정책의 미래’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민우 교수는 “다른의료단체에서 임상병리사의 업무권한을 침범했을 때 우리에겐 이를 반박할 데이터가 없었다”며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의료정책연구원)처럼 우리도 보건의료정책연구소를 구축해 관련 정책자료나 논문·빅데이터들을 쌓아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데이터들이 있어야 임상병리사들의 권리가 침해될 때 반박 근거로 바로 제시할 수도 있고, 또 유리한 법안과 정책들을 만들기 위해 정부·국회를 설득할 때 활용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같은 의미에서 임상병리사정책연구회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각 분과학회에 정책 모임을 신설하고 위원회 현황 등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보건복지부, 국회, 각 지방자치단체 등 유관기관 대상 대외협력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교수는 “각 자치단체 및 보건소 등과 협력관계를 맺고 각 기관 위원회에 임상병리사가 참여해 목소리를 내야 한다”며 “홍보 및 의료물품 기증, 소외이웃돕기,의료봉사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끊임없이 전개해 꾸준히 임상병리사를 알리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대외협력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지속해서 국회,정부기관 등을 방문해야 한다”며 “최근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 아래 간호정책과가 신설됐는데, 임상병리과를 포함한 8개 의료기사정책과 역시 신설될 수 있도록 힘을 합쳐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홍보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의사단체, 간호단체, 병원단체 등 모두 자신들의 매체가 있는데 임상병리사 등 의료기사들은 아직 자신들의 입장을 대변할 매체가 없다는 것.
이 교수는 “당장 임상병리사 자체 매체를 만들 수 없다면 의료기사를 전문으로 다루는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볼만 하다”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이 교수는 임상병리사 바이오·헬스분야 강화를 위한 한국임상병리사창업연구회 창설도 건의했다. 이 교수는 고대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 구축사업단 운영기획실장으로 활동 중인 전력을 설명하며 “연구회가 생긴다면 앞으로 임상병리사가 CEO인 제2의 씨젠,셀트리온 같은 기업이 나올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
아울러 “임상병리사들이 창업을 한다면 고려대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에서도 많은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마지막으로 이 교수는 “순수한 마음으로 임상병리사들의 위상 강화와 발전을 위해 많은 제안을 했다”며 “오늘 이 자리가 임상병리사 인재 양성과 업무 영역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