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약사회 박영달 회장이 국회 전혜숙 의원(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 소속)과 면담을 통해 의약품 품절 등 수급불안정 사태의 심각성을 전하고 경기도약사회 품절약 현안대응 TF에서 마련한 대응책을 전달했다.
경기도약사회 박영달 회장은 19일 오전 국회 전혜숙 의원실을 방문해 수급 불안정사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단기와 중장기로 나눠 제안했다.
먼저 단기 대책으로 △DUR을 통한 수급 불안정 의약품 실시간 정보공개 및 처방제한 실시 △동일성분조제(대체조제) 절차 간소화 △매점매석 등 유통 왜곡 행위에 대한 적극 대처(실태 파악, 반품 제한) △대표적 품절제품 선정 및 정부주도 공적공급 검토 △관련 주체간의 협조와 신뢰회복 노력을 제시했다.
이어 중장기 대책으로는 △성분명처방제도 도입 △품절 등 수급 불안정 주요 품목 선정 및 약가 현실화로 생산증대 유도 △행정처분 의약품 보험금여 중단 제도화(법제화) △국내 의약품 원료산업 육성(현재 자급율 12%)을 제시했다.
박 회장은 이날 “현재의 수급 불균형 사태는 일선약국에서 대체조제, 교품, 거래처 읍소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해 국민의 불편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상황이 신속히 개선되지 않는다면 조만간 소비자들에게 그 피해가 고스란히 돌아갈 것”이라고 강조하고 “의약품 정책에 대한 확고한 목표와 방향 설정을 통해 생산증대 및 원활한 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정부는 물론, 국회가 책임감을 가지고 사태 해결을 위해 전력을 다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전혜숙 의원은 “수급 불균형 문제는 코로나 19 당시부터 심각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경기도약사회의 제안을 면밀히 검토해 국정감사 등을 통해 이슈화 할 것과 나아가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국회 토론회 개최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약업닷컴 분석] 11월 바이오 '3상 10건'…삼바에피스·동아에스티 항암제 개발 도전 |
2 | “급 성장 中 온라인 의료서비스, 한국 기업에게도 기회” |
3 | 최근 5년간 ‘의약품’ 기술이전 39건…32조 경제 파급효과 기대 |
4 | 화일약품, 3분기 누적 매출 '제품 464억원'-'상품 468억원' |
5 | 대한약사회, 수급 불안정 의약품 균등 공급 웹사이트 개설 |
6 | 대화제약, 사업부문 3분기 누적 매출 1029억원…전년동기比 4% ↑ |
7 | 로슈, 美 전문제약사 인수 비만치료제 경쟁 동승 |
8 | 'GP120' 억제하는 GSK '루코비아', HIV 관련 만성질환 치료 효과 기대 |
9 | 삼아제약, 3Q 누적 매출 718억원…전년동기比 24.7%↑ |
10 | 웰스바이오, 마이코플라즈마 진단키트 수출 확대 및 국내허가 진행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경기도약사회 박영달 회장이 국회 전혜숙 의원(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 소속)과 면담을 통해 의약품 품절 등 수급불안정 사태의 심각성을 전하고 경기도약사회 품절약 현안대응 TF에서 마련한 대응책을 전달했다.
경기도약사회 박영달 회장은 19일 오전 국회 전혜숙 의원실을 방문해 수급 불안정사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단기와 중장기로 나눠 제안했다.
먼저 단기 대책으로 △DUR을 통한 수급 불안정 의약품 실시간 정보공개 및 처방제한 실시 △동일성분조제(대체조제) 절차 간소화 △매점매석 등 유통 왜곡 행위에 대한 적극 대처(실태 파악, 반품 제한) △대표적 품절제품 선정 및 정부주도 공적공급 검토 △관련 주체간의 협조와 신뢰회복 노력을 제시했다.
이어 중장기 대책으로는 △성분명처방제도 도입 △품절 등 수급 불안정 주요 품목 선정 및 약가 현실화로 생산증대 유도 △행정처분 의약품 보험금여 중단 제도화(법제화) △국내 의약품 원료산업 육성(현재 자급율 12%)을 제시했다.
박 회장은 이날 “현재의 수급 불균형 사태는 일선약국에서 대체조제, 교품, 거래처 읍소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해 국민의 불편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상황이 신속히 개선되지 않는다면 조만간 소비자들에게 그 피해가 고스란히 돌아갈 것”이라고 강조하고 “의약품 정책에 대한 확고한 목표와 방향 설정을 통해 생산증대 및 원활한 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정부는 물론, 국회가 책임감을 가지고 사태 해결을 위해 전력을 다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전혜숙 의원은 “수급 불균형 문제는 코로나 19 당시부터 심각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경기도약사회의 제안을 면밀히 검토해 국정감사 등을 통해 이슈화 할 것과 나아가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국회 토론회 개최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