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비엔씨는 올해 1분기 년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전년대비 큰폭으로 성장했다. 화장품 매출도 비중은 크지 않지만 전년대비 100% 은 전년동기 대비 배로 증가했다. 다만 전년 4분기에 비해선 매출과 순이익이 감소했다.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5년 5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한국비엔씨는 올해 1분기 254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258억원 대비 1.4%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172억원보다는 47.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8억원으로 전기 17억원 대비 120.9%, 전년동기 11억원 대비 234.9% 각각 급증했다. 순이익은 51억원으로, 전기 86억원 대비 40.9%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27억원보다는 89.0% 증가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 규모는 64억원이다. 전기 68억원 대비 5.1% 줄었으나 전년동기 55억원보다는 16.0% 늘었다.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하 비중)은 25.3%. 연구개발비는 10억원을 지출해 전기 12억원 대비 13.7%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4억원보다는 153.6% 급증했다. 비중은 4.0%.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154억원으로 전기 147억원 대비 4.3%, 전년동기 89억원 대비 71.8%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60.4%.
1분기 품목군별로는 미용성형용 제품 매출 비중이 절반이 넘었다. 매출은 150억원으로 전기 147억원 대비 2%, 전년동기 91억원 대비 65%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59%.
수술/시술용 제품군 매출은 25억원으로 전기 33억원 대비 24%, 전년동기 25억원 대비 1% 각각 감소했다. 비중은 10%.
미용의료기기 제품군 매출은 14억원으로 전기 9억원 대비 53% 증가했다. 비중은 6%.
의약품 제품군 매출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화장품 유통매출은 2억원으로 전기 대비 6% 줄었으나, 전년동기보다는 104% 성장했다. 비중은 1%.
시약 및 시험기기 유통매출은 62억원으로 전기 65억원 대비 5%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55억원보다는 13% 증가했다. 비중은 24%.
분석 및 실험서비 등 매출은 1억원으로 전기 대비 1%, 전년동기 대비 52% 각각 증가했다.
국내 소재 ㈜한국비티비는 100억원 매출을 기록, 전년 62억원 대비 62% 성장했다. 순이익은 3억원으로, 전년대비 15% 감소했다.
역시 국내에 있는 ㈜켐바이오진은 5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과 같은 규모다. 3000만원의 순이익이 발생, 전년대비 33% 증가했다.
미국 소재 BNC 코리아 USA㈜는 매출은 거의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5000만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1000만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전년에 이어 적자 상태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살빼려 했더니 실명 위기?… GLP-1 계열 약물 새 경고 |
2 | 에이비엘바이오, 또 한번 밸류업㊤…이중항체 ADC 2건 임상 진입 확실시 |
3 | 미국, 비만 치료 확대· 치료제 의료보험 적용 추진...왜? |
4 |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평균 매출총이익, 코스피 766억원‧코스닥 239억원 |
5 | 비보존제약 7월 사후마진 4→3%…유통업계, 얀센發 '도미노' 우려 |
6 | “양손 가득 돌아오겠습니다” K제약바이오 'BIO USA'서 승부수 띄운다 |
7 | 메지온,230억원 투자 유치..'유데나필' 폰탄치료제 FDA 임상3상 가속 |
8 |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평균 연구개발비, 코스피 176억원‧코스닥 29억원 |
9 | 동성제약 1분기 실적 상승…영업익 ‘흑자전환’ |
10 | 화장품 기업 76개사 1Q 영업이익 평균 112억…전년比 27.6%↑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한국비엔씨는 올해 1분기 년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전년대비 큰폭으로 성장했다. 화장품 매출도 비중은 크지 않지만 전년대비 100% 은 전년동기 대비 배로 증가했다. 다만 전년 4분기에 비해선 매출과 순이익이 감소했다.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5년 5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한국비엔씨는 올해 1분기 254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258억원 대비 1.4%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172억원보다는 47.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8억원으로 전기 17억원 대비 120.9%, 전년동기 11억원 대비 234.9% 각각 급증했다. 순이익은 51억원으로, 전기 86억원 대비 40.9%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27억원보다는 89.0% 증가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 규모는 64억원이다. 전기 68억원 대비 5.1% 줄었으나 전년동기 55억원보다는 16.0% 늘었다.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하 비중)은 25.3%. 연구개발비는 10억원을 지출해 전기 12억원 대비 13.7%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4억원보다는 153.6% 급증했다. 비중은 4.0%. 해외 매출 및 수출 실적은 154억원으로 전기 147억원 대비 4.3%, 전년동기 89억원 대비 71.8%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60.4%.
1분기 품목군별로는 미용성형용 제품 매출 비중이 절반이 넘었다. 매출은 150억원으로 전기 147억원 대비 2%, 전년동기 91억원 대비 65% 각각 증가했다. 비중은 59%.
수술/시술용 제품군 매출은 25억원으로 전기 33억원 대비 24%, 전년동기 25억원 대비 1% 각각 감소했다. 비중은 10%.
미용의료기기 제품군 매출은 14억원으로 전기 9억원 대비 53% 증가했다. 비중은 6%.
의약품 제품군 매출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화장품 유통매출은 2억원으로 전기 대비 6% 줄었으나, 전년동기보다는 104% 성장했다. 비중은 1%.
시약 및 시험기기 유통매출은 62억원으로 전기 65억원 대비 5%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55억원보다는 13% 증가했다. 비중은 24%.
분석 및 실험서비 등 매출은 1억원으로 전기 대비 1%, 전년동기 대비 52% 각각 증가했다.
국내 소재 ㈜한국비티비는 100억원 매출을 기록, 전년 62억원 대비 62% 성장했다. 순이익은 3억원으로, 전년대비 15% 감소했다.
역시 국내에 있는 ㈜켐바이오진은 5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과 같은 규모다. 3000만원의 순이익이 발생, 전년대비 33% 증가했다.
미국 소재 BNC 코리아 USA㈜는 매출은 거의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5000만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1000만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전년에 이어 적자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