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제약의 올해 1분기 실적이 지난해보다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약업닷컴이 금융감독원 공시 동성제약의 올해 5월 분기보고서 기준 1분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매출액은 전기대비 16.8% 증가한 263억원, 매출총이익은 32.7% 상승한 126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업이익이 전기대비 흑자로 돌아섰다. 동성제약의 1분기 영업이익은 전기대비 흑자전환, 전년동기대비 604.4% 늘어난 7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순손익은 13억원의 손실을 기록해 적자를 이어갔다.
상품매출액은 전기대비 10.2%, 전년동기대비 62.2% 각각 늘어난 33억원을 기록했다.
연구개발비는 전기대비 5.6%, 전년동기대비 8.9% 각각 감소한 10억원으로 확인됐다.
해외매출(수출)액은 전기대비 3.9%, 전년동기대비 19.4% 각각 오른 56억원을 나타냈다.
사업부문별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살펴보면, 동성제약의 의약품 및 염모제부문의 1분기 매출액은 244억원으로, 전기대비 20%, 전년동기대비 13% 각각 늘어났다. 영업이익은 7억원으로 전기대비 흑자전환, 전년동기대비 576% 늘어났다.
화장품부문의 1분기 매출액은 20억원으로, 전기대비 12% 줄어든 반면, 전년동기대비 75% 늘어났다. 영업이익은 전기대비 흑자전환, 전년동기대비 1400% 늘어난 1억원을 기록했다.
동성제약의 품목군별 매출을 분석한 결과, 제품군의 매출액은 230억원, 상품군의 매출액은 33억원으로 확인됐다.
제품군의 경우, 의약품(설사‧체함 등)의 1분기 매출액은 38억원으로 전기대비 59%, 전년동기대비 218% 각각 늘어났다.
의약품(탈모증상)의 매출액은 전기대비 3% 증가, 전년동기대비 32% 감소한 19억원을 기록했다.
진통‧소염제의 1분기 매출액은 전기대비 36% 감소, 전년동기대비 28% 증가한 7억원을 나타냈다.
치매‧기질성 뇌기능장애 의약품은 전기대비 134%, 전년동기대비 34% 각각 증가한 8억원을 기록했다.
항생제의 경우 전기대비 21% 감소, 전년동기대비 15% 증가한 16억원을 나타냈다.
멀미약의 1분기 매출액은 전기대비 118% 증가, 전년동기대비 18% 하락한 19억원을 기록했다.
피부질환 의약품의 경우 전기대비 2% 증가, 전년동기대비 1% 감소한 12억원을 기록했다.
기타의약품은 전기대비 57%, 전년동기대비 11% 각각 증가한 44억원을 나타냈다.
염모제의 1분기 매출액은 전기대비 3%, 전년동기대비 8% 각각 늘어난 66억원을 기록했다.
화장품은 전기대비 80%, 전년동기대비 1185% 각각 증가한 2억원을 기록했다.
상품군의 매출을 살펴보면 염모제의 경우 전기대비 50%, 전년동기대비 561% 각각 증가한 8억원을 기록했다.
화장품의 1분기 매출액은 전기대비 27% 감소, 전년동기대비 19% 증가한 13억원을 기록했다.
생리대, 유산균 등 기타상품군 매출액은 전기대비 73%, 전년동기대비 50% 각각 늘어난 13억원을 나타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코로나19 여름 재유행 현실화?…고위험군 치료 공백 커진다 |
2 | 아마존 2분기 뷰티 TOP 10, K-뷰티 '메디큐브' 유일 |
3 | 바이오솔루션 '카티라이프' 한국 세포치료제 새 이정표 쓰다…"FDA 2상 성공" |
4 | 자사주 손질 나선 제약사들…상법 개정에 '지분 재편' 본격화 |
5 | 더바이오메드, 경영권 변경 양수도계약 체결 |
6 | 약준모, '영리형 창고약국' 관련자 영구 가입 금지…회칙 개정 단행 |
7 | 옵디보·여보이, 간세포암 1차 치료 대한 적응증 추가 승인 |
8 | "AI가 심사하는 시대 온다"…식약처, 의약품 평가 디지털 전환 가속 |
9 | '블록버스터' 특허절벽! ‘키트루다’도 가고 ‘다잘렉스’도 가고.. |
10 | 아포텍스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캐나다서 승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동성제약의 올해 1분기 실적이 지난해보다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약업닷컴이 금융감독원 공시 동성제약의 올해 5월 분기보고서 기준 1분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매출액은 전기대비 16.8% 증가한 263억원, 매출총이익은 32.7% 상승한 126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업이익이 전기대비 흑자로 돌아섰다. 동성제약의 1분기 영업이익은 전기대비 흑자전환, 전년동기대비 604.4% 늘어난 7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순손익은 13억원의 손실을 기록해 적자를 이어갔다.
상품매출액은 전기대비 10.2%, 전년동기대비 62.2% 각각 늘어난 33억원을 기록했다.
연구개발비는 전기대비 5.6%, 전년동기대비 8.9% 각각 감소한 10억원으로 확인됐다.
해외매출(수출)액은 전기대비 3.9%, 전년동기대비 19.4% 각각 오른 56억원을 나타냈다.
사업부문별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살펴보면, 동성제약의 의약품 및 염모제부문의 1분기 매출액은 244억원으로, 전기대비 20%, 전년동기대비 13% 각각 늘어났다. 영업이익은 7억원으로 전기대비 흑자전환, 전년동기대비 576% 늘어났다.
화장품부문의 1분기 매출액은 20억원으로, 전기대비 12% 줄어든 반면, 전년동기대비 75% 늘어났다. 영업이익은 전기대비 흑자전환, 전년동기대비 1400% 늘어난 1억원을 기록했다.
동성제약의 품목군별 매출을 분석한 결과, 제품군의 매출액은 230억원, 상품군의 매출액은 33억원으로 확인됐다.
제품군의 경우, 의약품(설사‧체함 등)의 1분기 매출액은 38억원으로 전기대비 59%, 전년동기대비 218% 각각 늘어났다.
의약품(탈모증상)의 매출액은 전기대비 3% 증가, 전년동기대비 32% 감소한 19억원을 기록했다.
진통‧소염제의 1분기 매출액은 전기대비 36% 감소, 전년동기대비 28% 증가한 7억원을 나타냈다.
치매‧기질성 뇌기능장애 의약품은 전기대비 134%, 전년동기대비 34% 각각 증가한 8억원을 기록했다.
항생제의 경우 전기대비 21% 감소, 전년동기대비 15% 증가한 16억원을 나타냈다.
멀미약의 1분기 매출액은 전기대비 118% 증가, 전년동기대비 18% 하락한 19억원을 기록했다.
피부질환 의약품의 경우 전기대비 2% 증가, 전년동기대비 1% 감소한 12억원을 기록했다.
기타의약품은 전기대비 57%, 전년동기대비 11% 각각 증가한 44억원을 나타냈다.
염모제의 1분기 매출액은 전기대비 3%, 전년동기대비 8% 각각 늘어난 66억원을 기록했다.
화장품은 전기대비 80%, 전년동기대비 1185% 각각 증가한 2억원을 기록했다.
상품군의 매출을 살펴보면 염모제의 경우 전기대비 50%, 전년동기대비 561% 각각 증가한 8억원을 기록했다.
화장품의 1분기 매출액은 전기대비 27% 감소, 전년동기대비 19% 증가한 13억원을 기록했다.
생리대, 유산균 등 기타상품군 매출액은 전기대비 73%, 전년동기대비 50% 각각 늘어난 13억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