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일본 수입 화장품 시장 12분기 연속 1위
佛과 격차 더 벌려… 메이크업·스킨케어 고루 성장
입력 2025.05.20 06:00 수정 2025.05.20 06:0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K-뷰티가 일본 수입화장품 시장에서 또 1위를 했다. 12분기 연속이다. 올해 1분기엔 전년 대비 20% 이상의 성장을 기록하며 2위 프랑스와의 격차를 더욱 벌렸다.

일본 수입화장품협회가 최근 발표한 2025년 1분기 화장품 수입 실적에 따르면 K-뷰티는 일본의 전체 화장품 수입에서 32.6%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360억4000만엔(약 3471억원)으로 전년 대비 22.9% 증가했다. 2025년 1분기 일본의 총 화장품 수입 실적이 전년 대비 10.3% 증가한 1104억8000만엔(약 1조630억원)으로, K-뷰티는 더욱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다.

2위 프랑스와는 점유율 격차가 더 커졌다. 1분기 프랑스 제품 수입액은 234억7000만엔(약 2258억원)으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다. 프랑스의 점유율은 21.2%로 양국간 점유율 격차는 11.4%로 5.5%p 커졌다.

▲ 한국산 화장품이 2025년 1분기에도 일본 화장품 수입 실적 1위를 차지했다. ⓒ일본 수입화장품협회

 K-뷰티는 스킨케어와 컬러 메이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기록했다.

스킨케어·베이스 메이크업 부문 수입액은 전체 490억엔(약 4704억원)으로 전년 대비 10.9% 늘었다. 1위 한국은 전년 대비 16.8% 증가한 217억3000만엔(약 2086억원)으로 점유율 44.3%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41.4%보다 점유율은 2.9%p 늘었다. 2위 프랑스는 전년 대비 6.4% 감소하며 한국과의 격차가 벌어졌다. 수입액은 113억4000만엔(약 1088억원 )이며, 점유율은 23.2%다. 3위 미국은 1.8% 증가한 47억6000만엔(약 457억원), 4위 중국은 38.7% 증가한 20억6000만엔(약 198억원), 5위 이탈리아는 76.7% 증가한 20억5000만엔(약 196억원)을 기록했다. 중국과 이탈리아가 가파른 성장을 보였으나 수입액은 여전히 한국의 1/10 수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컬러 메이크업 부문에선 아이 메이크업과 네일 부문은 감소했으나 립 메이크업이 선전했다. 일본의 1분기 컬러 메이크업 화장품 전체 수입액은 182억4000만엔(약 1748억원)으로, 전년 대비 11% 늘었다. 한국은 전년 대비 56.3% 증가한 87억6000만엔(약 839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점유율은 컬러 메이크업 제품 수입 전체의 절반 수준인 48%에 이른다. 2위 프랑스는 전년 대비 27.3% 감소한 32억3000만엔(약 310억원), 3위 중국은 13.2% 감소한 31억2000만원으로 집계돼 한국과의 격차가 벌어졌다. 4위 미국은 1.8% 증가한 11억8000만엔(약 113억원), 5위 이탈리아는 47.6% 증가한 11억엔(약 105억원)을 기록했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립 메이크업 제품 수입액은 107억5000만엔(약 1030억원)으로 전년 대비 32.9% 늘었다. 이 성장은 K-뷰티가 이끌었다. 한국산 립 메이크업 제품 수입액은 68억9000만엔(약 660억원)으로 전년 대비 93.9% 증가했다. 2배에 가까운 성장을 기록한 것. 반면, 2위 프랑스는 28.2% 감소한 21억5000만엔(약 206억원), 3위 중국은 22.8% 감소한 5억7000만엔(약 55억원)을 기록했다.

아이 메이크업은 상위권 국가 모두에서 감소세를 보이며 수입액 자체가 감소했다. 1분기 아이메이크업 전체 수입액은 전년 대비 11.3% 감소한 54억9000만엔(약 526억원)이다. 1위 한국은 전년 대비 9.3% 감소한 17억 8000만엔(약 171억원)을 기록했다. 2위 중국은 14.9% 감소한 14억1000만엔(약 135억원), 3위 프랑스는 26.3% 감소한 7억2000만엔(약 69억원)이었다. 상위 3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71%에 이른다.

네일 제품류 수입도 전년 대비 7.3% 감소했다. 전체 수입액 19억9000만엔(약 191억원) 중엔 중국 수입액이 11억5000만엔(약 110억원)으로 약 60%에 육박한다. 그러나 수입액은 전년 대비 5% 감소했다. 2위 프랑스는 23.8% 감소한 3억7000만엔(약 35억원)을 기록했다. 미국은 12.4% 증가한 2억엔(약 19억원)을 기록하며 상위권 국가 중 유일하게 증가세를 보였다.

K-뷰티는 일본 수입시장 내 전반적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서도 향수 및 헤어케어 분야에선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했다. 향수 분야에선 여전히 프랑스의 독주가 이어지고 있다. 향수 수입액은 전년 대비 20.4% 증가한 117억2000만엔(약 1123억원) 까지 늘었다. 그 중 62.8%인 73억7000만엔(약 706억원)이 프랑스로부터의 수입액이다. 2위 미국도 전년 대비 51.6%의 급성장을 보이며 8억6000만엔(약 82억원)으로 선전했고, 3위는 전년 대비 14.8% 성장한 이탈리아로 수입액은 7억5000만엔(약 72억원)이다.

헤어케어 부문에서 K-뷰티는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전체 수입액은 155억5000만엔(약 1491억원)으로, 전년대비 9.4% 증가했다. 샴푸 및 컨디셔너 부문에선 태국이 압도적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태국으로부터의 샴푸 수입액은 전년 대비 7.6% 증가한 24억8000만엔(약 238억원), 컨디셔너는 16.9% 증가한 45억8000만엔(약 440억원)이며, 각각 전체 수입액의 54.2%, 42.2% 수준이다. 2위는 전년 대비 46.6% 증가하며 19억3000만엔(약 185억원)을 기록한 미국이었다. 각각 3위와 4위를 차지한 프랑스와 중국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한국은 10억엔 고지를 넘어서며 중국의 뒤를 바짝 뒤쫒고 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대상포진 고령화 사회의 ‘필수 방어전’… 치료보다 예방이 훨씬 값지다”
“비아트리스의 길, 한국에서 다시 시작된다”
앨리스랩 신재원 대표 “검증 안된 건기식 원료 난립…약국은 달라야 한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K-뷰티, 일본 수입 화장품 시장 12분기 연속 1위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K-뷰티, 일본 수입 화장품 시장 12분기 연속 1위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