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마비앤에이치는 올해 1분기 전년동기 대비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역성장했다. 특히 해외 지역 매출이 모두 감소했다.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5년 5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콜마비앤에이치는 올해 1분기 136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기 1421억원 대비 3.7%, 전년동기 1602억원 대비 14.7% 각각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36억원으로 전기 32억원 대비 11.0%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95억원 대비 62.5% 역성장했다. 순이익은 14억원으로 전기 21억원 대비 30.4%, 전년동기 66억원 대비 78.3% 각각 급감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은 공개하지 않았다. 연구개발비는 31억원으로 전기 대비 1.7%, 전년동기 36억원 대비 14.2% 각각 줄었다. 해외매출 및 수출 실적은 432억원으로 전기 533억원 대비 18.8%, 전년동기 680억원 대비 36.5% 각각 역성장했다. 비중은 31.6%다.
△ 사업부문별 실적
1분기 화장품과 식품, 기타 부문 모두 전년대비 매출이 역성장했다
생활용품을 포함한 화장품의 매출은 626억원으로 전기 659억원 대비 5% , 전년동기 691억원 대비 9% 각각 감소했다. 비중은 46%. 영업이익은 10억원으로 전기 37억원 대비 73%, 전년동기 25억원 대비 61% 급감했다. 비중은 전기 114%에서 27% 크게 줄었다.
식품매출은 699억원으로 전기 743억원 대비 6% , 전년동기 868억원 대비 20% 각각 줄었다. 영업이익은 17억원으로 20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했던 전기 대비 흑자전환했다. 57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던 전년동기보다는 70% 급감했다. 비중은 48%.
기타 매출은 42억원으로 전기 19억원 대비 125% 급증했으나, 전년동기 43억원보다는 1% 감소했다. 비중은 3%. 영업이익은 9억원으로 전기 16억원 대비 44%, 전년동기 13억원 대비 30% 각각 감소했다. 비중은 25%.
지역별 실적을 살펴보면 국내를 제외한 전지역에서 매출이 역성장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은 러시아다. 1분기 64억원의 매출을 기록, 전년동기 162억원 대비 98억원(60%) 줄었다. 전기 87억원보다는 23억원(26%) 감소했다. 비중은 전년동기 10%에서 5%로 축소됐다.
다음으로 매출액이 많이 줄어든 지역은 중국이다. 146억원 매출을 올려 전년동기 222억원 대비 76억원(34%) 감소했다. 전기 214억원보다는 68억원(32%) 줄었다. 비중은 11%.
미국 지역 매출은 9억원으로 전년동기 36억원 대비 27억원(76%) 줄었다. 전기 11억원보다는 2억원(19%) 감소했다. 비중은 1%.
기타 지역 매출은 214억원으로 전년동기 261억원보다 47억원(18%) 감소했다. 전기 221억원보다는 8억원(4%) 줄었다. 비중은 16%.
비중이 가장 큰 국내 매출은 소폭 증가했다. 국내 1분기 매출은 935억원으로 전년동기 922억원 대비 13억원(1%) 증가했다. 전기 888억원 보다는 47억원(5%) 늘었다. 비중은 전년동기 58%에서 68%로 화대됐다.
△ 종속기업 기여도
국내외 소재 종속기업 6개 중 4개사가 순손실을 기록했다. 2개사도 순이익이 급감했다.
순손실 규모가 가장 큰 기업은 중국 소재 JIANGSU KOLMAR MEIBAO KEJI CO.,LTD다. 1분기 순손실액은 18억원으로, 12억원 순손실을 기록한 전년에 이어 적자상태다. 매출도 51억원으로 전년 90억원 대비 43% 감소했다.
국내 소재 콜마스크 ㈜도 2억원의 순손실이 발생했다. 3000만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던 전년에 이어 적자다. 매출은134억원으로 전년 104억원 대비 30% 증가했다.
국내소재 콜마생활건강㈜ 역시 1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9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던 전년에 비해 손실폭은 크게 줄였다. 매출은 8억원으로 전년 7억원 대비 9% 증가했다.
호주법인 KOLMAR BNH AUSTRALIA PTY LTD도 순이익을 내지 못해 전년대비 적자전환했다. 매출은 1000만원에 그쳐 2000만원을 기록했던 전년 대비 31% 줄었다.
국내 소재 ㈜에치엔지는 3억원의 순이익을 거둬들였으나 전년 9억원 대비 69% 역성장했다. 매출도 244억원으로 전년 279억원 대비 12% 감소했다
국내 소재 농업회사 법인 근오농림㈜은 1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으나 전년 5억원 대비 88% 급감했다. 매출 역시 40억원으로 전년 61억원 대비 34% 역성장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미국, 비만 치료 확대· 치료제 의료보험 적용 추진...왜? |
2 |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평균 연구개발비, 코스피 176억원‧코스닥 29억원 |
3 | 비보존제약 7월 사후마진 4→3%…유통업계, 얀센發 '도미노' 우려 |
4 | 리가켐바이오, 또 한번 밸류업㊤ “ADC 독성 난제 해결사…파이프라인만 30여개” |
5 | 화장품 기업 76개사 1Q 타사상품 유통매출 평균 106억…전년비 1.9%↓ |
6 | 강희철 대표 "지에프씨생명과학, 식물 유래 '엑소좀' 넘버원 기업 도약할 것" |
7 | 오가노이드사이언스-국립부산과학관 "미래 과학기술 개발 진보에 앞장” |
8 | 의약품유통업계, 한국얀센 2% 마진 인하에 대응 기류 확산 |
9 | “‘제네릭‧개량신약’ 제도 보완해야…저렴하게 공급 시 약가인하율 일부 면제 필요” |
10 | “대상포진 고령화 사회의 ‘필수 방어전’… 치료보다 예방이 훨씬 값지다”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콜마비앤에이치는 올해 1분기 전년동기 대비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역성장했다. 특히 해외 지역 매출이 모두 감소했다.
화장품신문이 금융감독원 공시 2025년 5월 분기보고서(연결기준) 분석 결과, 콜마비앤에이치는 올해 1분기 136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기 1421억원 대비 3.7%, 전년동기 1602억원 대비 14.7% 각각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36억원으로 전기 32억원 대비 11.0% 증가했으나, 전년동기 95억원 대비 62.5% 역성장했다. 순이익은 14억원으로 전기 21억원 대비 30.4%, 전년동기 66억원 대비 78.3% 각각 급감했다.
타사상품 유통매출은 공개하지 않았다. 연구개발비는 31억원으로 전기 대비 1.7%, 전년동기 36억원 대비 14.2% 각각 줄었다. 해외매출 및 수출 실적은 432억원으로 전기 533억원 대비 18.8%, 전년동기 680억원 대비 36.5% 각각 역성장했다. 비중은 31.6%다.
△ 사업부문별 실적
1분기 화장품과 식품, 기타 부문 모두 전년대비 매출이 역성장했다
생활용품을 포함한 화장품의 매출은 626억원으로 전기 659억원 대비 5% , 전년동기 691억원 대비 9% 각각 감소했다. 비중은 46%. 영업이익은 10억원으로 전기 37억원 대비 73%, 전년동기 25억원 대비 61% 급감했다. 비중은 전기 114%에서 27% 크게 줄었다.
식품매출은 699억원으로 전기 743억원 대비 6% , 전년동기 868억원 대비 20% 각각 줄었다. 영업이익은 17억원으로 20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했던 전기 대비 흑자전환했다. 57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던 전년동기보다는 70% 급감했다. 비중은 48%.
기타 매출은 42억원으로 전기 19억원 대비 125% 급증했으나, 전년동기 43억원보다는 1% 감소했다. 비중은 3%. 영업이익은 9억원으로 전기 16억원 대비 44%, 전년동기 13억원 대비 30% 각각 감소했다. 비중은 25%.
지역별 실적을 살펴보면 국내를 제외한 전지역에서 매출이 역성장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은 러시아다. 1분기 64억원의 매출을 기록, 전년동기 162억원 대비 98억원(60%) 줄었다. 전기 87억원보다는 23억원(26%) 감소했다. 비중은 전년동기 10%에서 5%로 축소됐다.
다음으로 매출액이 많이 줄어든 지역은 중국이다. 146억원 매출을 올려 전년동기 222억원 대비 76억원(34%) 감소했다. 전기 214억원보다는 68억원(32%) 줄었다. 비중은 11%.
미국 지역 매출은 9억원으로 전년동기 36억원 대비 27억원(76%) 줄었다. 전기 11억원보다는 2억원(19%) 감소했다. 비중은 1%.
기타 지역 매출은 214억원으로 전년동기 261억원보다 47억원(18%) 감소했다. 전기 221억원보다는 8억원(4%) 줄었다. 비중은 16%.
비중이 가장 큰 국내 매출은 소폭 증가했다. 국내 1분기 매출은 935억원으로 전년동기 922억원 대비 13억원(1%) 증가했다. 전기 888억원 보다는 47억원(5%) 늘었다. 비중은 전년동기 58%에서 68%로 화대됐다.
△ 종속기업 기여도
국내외 소재 종속기업 6개 중 4개사가 순손실을 기록했다. 2개사도 순이익이 급감했다.
순손실 규모가 가장 큰 기업은 중국 소재 JIANGSU KOLMAR MEIBAO KEJI CO.,LTD다. 1분기 순손실액은 18억원으로, 12억원 순손실을 기록한 전년에 이어 적자상태다. 매출도 51억원으로 전년 90억원 대비 43% 감소했다.
국내 소재 콜마스크 ㈜도 2억원의 순손실이 발생했다. 3000만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던 전년에 이어 적자다. 매출은134억원으로 전년 104억원 대비 30% 증가했다.
국내소재 콜마생활건강㈜ 역시 1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9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던 전년에 비해 손실폭은 크게 줄였다. 매출은 8억원으로 전년 7억원 대비 9% 증가했다.
호주법인 KOLMAR BNH AUSTRALIA PTY LTD도 순이익을 내지 못해 전년대비 적자전환했다. 매출은 1000만원에 그쳐 2000만원을 기록했던 전년 대비 31% 줄었다.
국내 소재 ㈜에치엔지는 3억원의 순이익을 거둬들였으나 전년 9억원 대비 69% 역성장했다. 매출도 244억원으로 전년 279억원 대비 12% 감소했다
국내 소재 농업회사 법인 근오농림㈜은 1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으나 전년 5억원 대비 88% 급감했다. 매출 역시 40억원으로 전년 61억원 대비 34% 역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