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어라인소프트, 311억 규모 유증…미국 ‘FDA 인증 기반 글로벌 공략 확대
신주 예정발행가 1주당 6100원-발행신주 510만주...중장기 성장 가속
입력 2025.03.24 08:54 수정 2025.03.24 08:54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코어라인소프트가 인공지능(AI)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장기 성장 가속화를 위한 자금 확보에 나선다. 코어라인소프트는 공시를 통해 311억원 규모 주주배정 후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유상증자 신주 예정발행가액은 1주당 6100원이며, 발행 신주는 510만주다.

코어라인소프트는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을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에 사용해 성장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최근 국제 학술지에서 관련 분야 1위 기업 제품 대비 AI SW 성능이 우수함을 입증한 후 글로벌 탑티어 기업 및 세계 각국 정부로부터 코어라인소프트 제품 도입 요청이 확대되고 있다. 코어라인소프트는 AI 기술력 강화를 통해 신제품 개발 및 기존 제품 고도화 뿐 아니라 미국 FDA 등 신규 인증 확보를 진행할 예정이다.

코어라인소프트는 다수 국내외 기업들과 협력해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올해 미국 최대 의료영상 솔루션 기업 ‘3DR 랩스’, 영국 DMC 헬스케어와 원격진단 관련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가고 있으며, 오스트리아 원격진단 기업 ‘엑스코어프 GMBH’와는 AI SW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지난달 호주 1위 헬스케어 기업 ‘파라곤 케어’와 신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으며, 국내 의료 AI 기업 ‘뷰노’와도 일본 등 글로벌 의료 AI 시장 공략을 위해 협력 중이다.

코어라인소프트 최대주주 김진국 대표이사도 이번 유상증자에 적극 참여할 방침이다. 김 대표는 향후 회사 글로벌 시장 공략 확대에 따른 성장 가능성을 확신해 자금 여력에 따라 배정물량에 최대한 참여할 계획이다.

코어라인소프트 관계자는 “해외에서 코어라인소프트 AI SW에 대한 도입 요청이 대폭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안정적 재무구조를 기반으로 중장기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해 유상증자를 결정했다”며 “자금조달을 통해 재무건전성을 강화하고 확보한 자금을 AI 기술력 강화, 해외 진출 확대 등에 사용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미 미국 FDA, 유럽 CE 인증 뿐 아니라 미국 의료정보보호법(HIPAA)과 유럽 개인정보보호규정(GDPR) 인증도 획득해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기반을 보유 중”이라며 “미국, 유럽 등 신규 수주를 가속화할 뿐 아니라, 글로벌 고객사 확보 및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기술·사업 인수 기회도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행복한 팜 스터디③] "복약상담 팁-건기식까지 총 망라"
"미국 FDA 승인, 과학만으론 부족하다…인허가 전략이 성공과 실패 좌우"
[행복한 팜 스터디②] "약국 경영과 상담 A부터 Z까지" 21일부터 선착순 접수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코어라인소프트, 311억 규모 유증…미국 ‘FDA 인증 기반 글로벌 공략 확대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코어라인소프트, 311억 규모 유증…미국 ‘FDA 인증 기반 글로벌 공략 확대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