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바이오, 미국 NIH와 조류독감(H5N1) 치료제 공동개발 착수
NIH 산하 NIAID, '제프티' 동물효능시험 승인
조류독감 팬데믹 글로벌 대응 본격화
입력 2025.03.13 09:08 수정 2025.03.13 09:1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현대바이오사이언스(대표 오상기)가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가 제프티(Xafty)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5N1, 조류독감) 치료제 공동개발을 위한 동물효능시험을 승인했다고 13일 발표했다.

제프티는 이미 국내에서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1상을 완료해, 이번 NIAID 동물실험에서 효능이 입증될 경우 임상 1상을 생략하고 곧바로 임상 2상으로 진입이 가능하다. 이 경우 치료제 개발 기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고, 조류독감 팬데믹이 현실화될 때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은 고병원성 조류독감 확산세가 갈수록 심각해지자 인간 대규모 감염도 시간 문제라는 경고를 연이어 내놓고 있다. 닭, 오리 등 가금류에서 주로 발생하던 조류독감은 최근 소, 개, 고양이 등 포유류 감염 사례까지 급증하면서 ‘넥스트 팬데믹’ 유력한 후보로 꼽히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지난해 고병원성 조류독감감염 환자가 연이어 발생하고, 올해 1월 첫 사망자까지 보고되면서 국가적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조류독감 치명률은 50% 이상에 달하고 있다.

이번 NIH-NIAID 공동개발 승인으로 현대바이오 제프티는 조류독감 팬데믹 대응을 위한 NIH 글로벌 치료제 개발 프로젝트에 공식 포함됐다. 제프티 주성분인 니클로사마이드는 이미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능이 세포실험에서 확인됐고, 이는 세계 과학계에 보고돼 있다.

현대바이오 배병준 전략 부문 대표는 “조류독감은 치명률이 50%가 넘는 위험한 바이러스인데 지난해부터 인간에서 발병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어 다음 '팬데믹을 향한 전형적인 단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번 공동개발은 넥스트 팬데믹 대비 치료제 포트폴리오 다양화에 대비하고, 현대바이오와 NIH가 팬데믹 대응을 위한 글로벌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1
  • TEN 2025.03.13 09:21 신고하기
    뉴로바이오젠 KDS2010 경구용 토종 혁신 치매비만치료제 국내 치매2a상 1년 ->>6개월 투약 변경승인! 지연제가 아닌 치매 근본치료제 등극! 식욕조절 부작용 요요현상없는 혁신 비만치료제 2a상 12주투약 최대25%감량 글로벌포함 1위 글로벌 기술이전 급물살 텀시트수령! 3월최종계약!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파브리병 '조기 진단'과 '효소 대체 요법'…"합병증 예방의 '열쇠'"
P-CAB으로 보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방향
[인터뷰] AI, 신약 개발 핵심으로…AI신약융합연구원, 경쟁력 강화 박차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현대바이오, 미국 NIH와 조류독감(H5N1) 치료제 공동개발 착수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현대바이오, 미국 NIH와 조류독감(H5N1) 치료제 공동개발 착수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