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헬스케어 전문기업 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석박사급 전문인력 40여 명으로 으로 구성된 R&D조직 정비를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박사급은 16명, 석사급은 28명으로 지난 2023년과 비교하면 박사급 인력은 4배, 석사급 인력은 3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R&D 조직에는 분자유전학 최고 권위자 박상진 전무를 필두로 4개 팀이 꾸려졌다. 각 팀에는 비임상 연구 전문가 이규항 박사와 유기합성 전문 이경익 박사, 펩타이드 전문 임창기 박사, 세포배양전문 백상훈 박사가 배치됐다.
각 구성원은 대부분 한미약품과 녹십자 등에서 능력을 인정받은 권위자들로 구성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그 외 머크와 GSK, 테바 등 글로벌 제약사를 거친 심성녀 부사장이 제품개발 본부장으로 임명돼 임상허가를 주도할 예정이며 LG화학과 PwC 등에서 사업개발을 담당한 금융전문가 윤명진 전무가 R&DB 본부장을 맡아 연구 산물 사업개발 및 글로벌 시장 개척을 담당할 예정이다.
지난 2023년 8월 부임한 권규찬 대표이사도 LG화학과 대웅제약, 한미약품 등에서 30년 넘게 재직한 글로벌 신약개발 전문가로 미국 FDA 허가 3건과 유럽의약품청 허가 20여 건 등을 포함해 해외 허가 100여 건을 이끌어 냈으며 해외 매출 2천억원 돌파 기록을 세웠다.
DXVX는 "지난 2023년 권 대표가 부임한 이래 1년 반 만에 40여 명에 이르는 전문가를 영입하고 조직을 정비했다"며 "앞으로 신약개발을 비롯해 mRNA 플랫폼 기술 수출에서 성과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현재 감염병 및 항암 백신, 비만 및 당뇨 등 대사 질환, 항바이러스제, 안질환 치료제 등 다양한 신약을 개발하고 있고, mRNA 초장기 보관 및 대량 생산 플랫폼과 범용 NGS(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플랫폼도 보유하고 있다.
이달 초 진행된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도 신약 파이프라인과 mRNA 플랫폼에 대한 투자자와 제약사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다수 업체들과 비밀준수 계약 및 물질 이전 계약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권규찬 DXVX 대표는 "올해 안에 기술 수출 완료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특히 mRNA 플랫폼을 글로벌 스탠다드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테라퓨틱스, 전년 영업익 -76억원·순익 -235억원 '적자 지속' |
2 | 에이비엘바이오, 'ABL103' 고형암 타깃 임상 1b/2상 추가 신청서 제출 |
3 | 노바티스, 엔트레스토 특허만료 앞두고 美 본사 직원 427명 감원 |
4 | 다계통 위축증 치료제 FDA ‘희귀의약품’ 지정 |
5 | 돌아오지 않는 전공의-의대생...한의협 "한의사 활용이 답" |
6 |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제제 허가신청 FDA 접수 |
7 | 대웅제약,국내 첫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스토보클로’ 출시…골다공증 시장 공략 |
8 | 최광훈 대한약사회 총회의장, 부의장에 한훈섭-최미영 선임 |
9 | 에이인비, GTC 콘퍼런스서 AI 기반 항체 신약 연구 성과 발표 |
10 | 건일제약, 한지성 신임 메디칼본부장 영입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바이오 헬스케어 전문기업 디엑스앤브이엑스(DXVX)가 석박사급 전문인력 40여 명으로 으로 구성된 R&D조직 정비를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박사급은 16명, 석사급은 28명으로 지난 2023년과 비교하면 박사급 인력은 4배, 석사급 인력은 3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R&D 조직에는 분자유전학 최고 권위자 박상진 전무를 필두로 4개 팀이 꾸려졌다. 각 팀에는 비임상 연구 전문가 이규항 박사와 유기합성 전문 이경익 박사, 펩타이드 전문 임창기 박사, 세포배양전문 백상훈 박사가 배치됐다.
각 구성원은 대부분 한미약품과 녹십자 등에서 능력을 인정받은 권위자들로 구성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그 외 머크와 GSK, 테바 등 글로벌 제약사를 거친 심성녀 부사장이 제품개발 본부장으로 임명돼 임상허가를 주도할 예정이며 LG화학과 PwC 등에서 사업개발을 담당한 금융전문가 윤명진 전무가 R&DB 본부장을 맡아 연구 산물 사업개발 및 글로벌 시장 개척을 담당할 예정이다.
지난 2023년 8월 부임한 권규찬 대표이사도 LG화학과 대웅제약, 한미약품 등에서 30년 넘게 재직한 글로벌 신약개발 전문가로 미국 FDA 허가 3건과 유럽의약품청 허가 20여 건 등을 포함해 해외 허가 100여 건을 이끌어 냈으며 해외 매출 2천억원 돌파 기록을 세웠다.
DXVX는 "지난 2023년 권 대표가 부임한 이래 1년 반 만에 40여 명에 이르는 전문가를 영입하고 조직을 정비했다"며 "앞으로 신약개발을 비롯해 mRNA 플랫폼 기술 수출에서 성과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현재 감염병 및 항암 백신, 비만 및 당뇨 등 대사 질환, 항바이러스제, 안질환 치료제 등 다양한 신약을 개발하고 있고, mRNA 초장기 보관 및 대량 생산 플랫폼과 범용 NGS(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플랫폼도 보유하고 있다.
이달 초 진행된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도 신약 파이프라인과 mRNA 플랫폼에 대한 투자자와 제약사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다수 업체들과 비밀준수 계약 및 물질 이전 계약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권규찬 DXVX 대표는 "올해 안에 기술 수출 완료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특히 mRNA 플랫폼을 글로벌 스탠다드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