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이오와 네이처셀이 공동 운영하는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연구원장 : 라정찬)은 일본 재생의료 협력병원인 후쿠오카 트리니티 클리닉이 후생성으로부터 자가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사용한 고관절 퇴행성 질환 치료 승인을 받았다고 11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일본 후쿠오카 트리니티 클리닉에서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 줄기세포 기술로 올해 3월부터 본격적인 치료가 시작된다.
이번 치료 승인은 고관절강 내 자가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직접 주사하는 방식으로, 한 번에 2~3억개 세포를 투여하고, 2~8주 간격으로 총 1~3회가 이뤄지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투여가 가능하다. 치료 효과는 최종 투여 후 3개월 시점에서 VAS(Visual Analog Scale) 평가와 안전성 확인을 통해 객관적으로 평가된다.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은 앞서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에서 진행된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연구자 임상에서 중요한 성과를 올렸다.
연구원에 따르면 2년 간 추적 관찰 결과, 대상자 82%(14/17)가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없이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치료법인 감압술 성공률이 36%에 불과한 점과 비교해 자가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투여가 질병의 진행을 예방하는 데 큰 기여를 했음을 확인했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논문으로 발표돼 학계 주목을 받았다.
연구원은 “국내에서도 해당 치료법의 재생의료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국내 고관절 질환 환자 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퇴행성 고관절염은 중년 이상에서 발생하며, 국내 환자 수는 약 1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전 세계적으로는 약 1억 명 이상이 고관절 퇴행성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인공 고관절 수술을 필요로 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에 이른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창간 71주년 특별인터뷰] “에이비엘바이오 '이중항체 ADC' 개발은 신의 한 수 일까요?” |
2 | 메지온,'유데나필' 폰탄치료제 FDA 적응증 추진 더해 'ADPKD' 전임상도 시작 |
3 | 전문경영인 출격‧‘트리플크라운’ 달성…제약업계 주총데이 어땠나 |
4 | 뷰티 업계가 기후 변화를 화장품에 담는 방법은? |
5 | 레켐비, 알츠하이머 시장 공략 본격화 |
6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필수-공공의료 강화…'기능적 상종' 구축 |
7 | 제넥신, 홍성준 - 최재현 각자 대표이사 체제 돌입 |
8 | 디앤디파마텍, 美자회사 뉴랄리 아담 벨 부사장 'GLP-1 Summit' 주요 연사로 초청 |
9 | 클래시스, '울트라포머' 미국 FDA 허가용 임상시험계획 승인 |
10 | 아이엠비디엑스, 일본 의료 플랫폼 기업 'MedPeer그룹'과 계약 체결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알바이오와 네이처셀이 공동 운영하는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연구원장 : 라정찬)은 일본 재생의료 협력병원인 후쿠오카 트리니티 클리닉이 후생성으로부터 자가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사용한 고관절 퇴행성 질환 치료 승인을 받았다고 11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일본 후쿠오카 트리니티 클리닉에서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 줄기세포 기술로 올해 3월부터 본격적인 치료가 시작된다.
이번 치료 승인은 고관절강 내 자가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직접 주사하는 방식으로, 한 번에 2~3억개 세포를 투여하고, 2~8주 간격으로 총 1~3회가 이뤄지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투여가 가능하다. 치료 효과는 최종 투여 후 3개월 시점에서 VAS(Visual Analog Scale) 평가와 안전성 확인을 통해 객관적으로 평가된다.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은 앞서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에서 진행된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연구자 임상에서 중요한 성과를 올렸다.
연구원에 따르면 2년 간 추적 관찰 결과, 대상자 82%(14/17)가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없이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치료법인 감압술 성공률이 36%에 불과한 점과 비교해 자가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투여가 질병의 진행을 예방하는 데 큰 기여를 했음을 확인했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논문으로 발표돼 학계 주목을 받았다.
연구원은 “국내에서도 해당 치료법의 재생의료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국내 고관절 질환 환자 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퇴행성 고관절염은 중년 이상에서 발생하며, 국내 환자 수는 약 1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전 세계적으로는 약 1억 명 이상이 고관절 퇴행성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인공 고관절 수술을 필요로 할 정도로 심각한 상태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