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사이언스는 미국 FDA로부터 1월 5일자로 패혈증 / 그람 음성 슈퍼박테리아 감염증 신약 임상 1상 시험계획(IND) 변경 승인을 받았다고 9일 공시했다.
임상시험 제목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DD-S052P 단일 및 반복 증량 투여의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 평가를 위한 1상,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최초 인체 적용 연구'로, 회사는 2024년 12월 6일 변경 승인을 신청했다.
회사는 "이번 임상시험을 통해 DD-S052P 안전성과 체내 약물 특성을 확인해 새로운 패러다임 슈퍼박테리아 감염증/패혈증에 대한 치료제 혹은 보조제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 2025년 내 미국 임상 1상 시험을 완료하고, 임상 2상을 진입할 계획으로, 글로벌 제약사를 상대로 한 기술이전 혹은 공동 개발을 통해 제품화 실현 시기를 앞당겨 빠른 시장 진입을 모색해 보다 구체적인 사업화를 달성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DD-S052P는 패혈증 원인인 슈퍼박테리아를 직접 사멸하는 것은 물론 그람 음성균 (Gram-negative bacteria) 유래 내독소 (endotoxin)와도 결합하는 작용기전을 보유한 신개념 약물이다. 임상을 통해 약효와 안전성을 입증할 경우, 이 분야 ‘First-in-Class’ 신약이 될 수 있다. 기전 우수성을 인정받아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3년 1차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사업자로 선정돼 관련 과제를 수행 중이다.
한편 패혈증은 세계적으로 매년 환자 5000만 명이 발생하며, 이 중 약 1100만 명이 사망한다. 현재 항생제 외 공인된 치료제가 없어 치사율이 30~50%에 이를 만큼 치명적이다. 패혈증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약 7.4억 달러에서 연평균 9.3% 증가해 2032년 1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화장품기업 2024년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 17.26% …전년比 0.05%p↓ |
2 | GLP-1의 양면성…체중 감량부터 인지장애 감소...관절염·소화기 위험은↑ |
3 | 제약바이오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전년比 코스피 감소, 코스닥은 증가 |
4 | "임상 강국 향한 도전, 한국판 '분산형 임상시험'이 온다" |
5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사노피 빅딜 뛰어넘는 L/O 임박" |
6 | 치료제 열풍에 관심 커지는 ‘비만법’, 미국도 비만치료제 급여 적용 검토 |
7 | 삼성바이오에피스 김경아 대표 "역대 최대 실적 이어갈 것"…매출 1조5377억원 달성 |
8 | '트럼프 관세' 속도조절에 화장품업계 '일시적' 안도 |
9 | 미국 '틱톡 금지' 유예...급한 불 껐지만 이용자 혼란 |
10 | 젠바디, 브라질 공공기관과 에이즈/매독 동시 진단키트 공급 계약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HLB사이언스는 미국 FDA로부터 1월 5일자로 패혈증 / 그람 음성 슈퍼박테리아 감염증 신약 임상 1상 시험계획(IND) 변경 승인을 받았다고 9일 공시했다.
임상시험 제목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DD-S052P 단일 및 반복 증량 투여의 안전성, 내약성 및 약동학 평가를 위한 1상,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최초 인체 적용 연구'로, 회사는 2024년 12월 6일 변경 승인을 신청했다.
회사는 "이번 임상시험을 통해 DD-S052P 안전성과 체내 약물 특성을 확인해 새로운 패러다임 슈퍼박테리아 감염증/패혈증에 대한 치료제 혹은 보조제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 2025년 내 미국 임상 1상 시험을 완료하고, 임상 2상을 진입할 계획으로, 글로벌 제약사를 상대로 한 기술이전 혹은 공동 개발을 통해 제품화 실현 시기를 앞당겨 빠른 시장 진입을 모색해 보다 구체적인 사업화를 달성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DD-S052P는 패혈증 원인인 슈퍼박테리아를 직접 사멸하는 것은 물론 그람 음성균 (Gram-negative bacteria) 유래 내독소 (endotoxin)와도 결합하는 작용기전을 보유한 신개념 약물이다. 임상을 통해 약효와 안전성을 입증할 경우, 이 분야 ‘First-in-Class’ 신약이 될 수 있다. 기전 우수성을 인정받아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3년 1차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사업자로 선정돼 관련 과제를 수행 중이다.
한편 패혈증은 세계적으로 매년 환자 5000만 명이 발생하며, 이 중 약 1100만 명이 사망한다. 현재 항생제 외 공인된 치료제가 없어 치사율이 30~50%에 이를 만큼 치명적이다. 패혈증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약 7.4억 달러에서 연평균 9.3% 증가해 2032년 1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