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건기식 시장, 역성장 여진 계속
소비심리 위축 속 지난해 어려움 반복된 한 해
입력 2024.12.10 15:23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2024년의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2023년 역성장의 여진이 계속됐다는 말로 정리할 수 있겠다.

십 수년간 이어져 오던 가파른 성장세가 꺾이고 시장의 침체 기미가 여전히 이어진 한해였다.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관련 기업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기 체감온도도 뚝 떨어졌다.

여기에 환율이 불안정해지면서 완제품은 물론 원료 가격도 강세를 보였다.

상당수 원료를 수입에 의존하는 산업 특성상 생산자 물가 상승의 압력으로 작용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2024년 건강기능식품 시장을 돌이켜보자.


사상 첫 역성장 여진 계속

2023년 사상 첫 역성장의 여진이 계속된 한해였다.

2023년 국내 제조업소들의 건강기능식품 매출이 전년 대비 -1.9% 성장률을 기록하며 집계가 시작된 2005년 이래 최초로 역성장했다.

국내 업소들의 매출뿐만 아니라 수입액 역시 -8% 성장률을 기록했다.

해외 직구액은 전년 대비 0.9% 성장해 역성장은 면했지만 성장세가 크게 떨어졌다.

그 때문에 매년 1위에 랭크됐던 해외직구 건수 순위가 3위로 내려앉았다.

국내제조, 수입, 해외직구 모두 역성장하거나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시장 규모 자체가 축소되었을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역시 2023년의 여진은 계속되었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피부로 느껴지는 시장 분위기를 볼 때 올해 건강기능식품 판매가 전년보다 활성화되었을 것으로 전망하기는 어렵다.

대부분 건강기능식품의 소비기한이 2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2023년 제조업소들이 생산한 재고가 2024년 생산매출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크다.

수입액과 해외직구액 역시 증가하였을 것으로 예상하기가 쉽지 않다.

올해는 전년에 비해 환율이 높았고 극도로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

이러한 요인을 볼 때, 2024년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작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위축된 상태로 돌입했을 가능성이 크다.

 

※ 프리미엄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으면 전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문 다운로드 받기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팜듀홀딩스, '연대' 통한 지속성장과 새로운 약국경영모델 제시
[인터뷰] 한때는 약사, 이제는 굿파트너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2024 건기식 시장, 역성장 여진 계속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2024 건기식 시장, 역성장 여진 계속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