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피약물전달 의약품 전문기업 티디에스팜이 최근 전문 인력을 대폭 확충하는 등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수출 확대에 적극 나선다.
9일 회사 측에 따르면 최근 아시아 지역 소재 대형 헬스케어 유통회사들과 의약품 공급 계약 체결을 진행 중이며, 2024년 말까지 총 6개 국가와 텀싯(term sheet) 등 계약 체결을 완료할 계획이다.
수출 대상 주요 제품은 케토프로펜, 플루비프로펜, 디클로페낙, 펠비낙 등 소염진통제 성분의 파스와 리도카인 성분 전문의약품이다. 특히 ‘리도케어’는 2025년부터 인도네시아 대형 헬스케어 유통회사를 통해 수출될 예정으로, 티디에스팜은 전문의약품 수출 기업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의약품 등록기간이 비교적 긴 국가들을 위해 허가 절차가 간소화된 일반 소비재나 기타 분류의 제품인 한방동의고® 등도 우선적으로 준비하는 등 투트랙 전략을 구사한다는 방침이다.
티디에스팜 관계자는 "각 국가 의약품 등록 절차를 진행 중이며, 등록 완료 시점인 2025년 하반기부터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각국 보건당국 허가가 완료돼 제품이 본격적으로 시판되기 시작하면, 5년 내 약 280억 원의 매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국내 시장에서 우수한 품질과 기술력을 검증받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현지 딜러와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다"며 "해외 학회 지원 등 다양한 홍보 전략을 통해 당사 경피흡수제제 의약품 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티디에스팜은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액 219억 원, 영업이익 34억 원, 당기순이익 31억 원을 달성했다. 특히 3분기 매출액은 65억 원, 엉업이익 8.4억 원을 달성하면서 2002년 설립 이래 매 분기 흑자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제약바이오 3분기 이자비용 및 이자보상배율...코스피 증가, 코스닥은 감소 |
2 | 제약바이오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전년比 코스피 감소, 코스닥은 증가 |
3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사노피 빅딜 뛰어넘는 L/O 임박" |
4 | 온코닉테라퓨틱스, P-CAB 신약 ‘자큐보정’ 위궤양 임상3상 성공 |
5 | 샤페론, " 차세대 아토피 치료제 미국 FDA 임상 2b 파트1 성과 관심↑" |
6 | 비전바이오켐, '위 건강 개선’ 유산균발효대두분말 개별인정형 원료 허가 |
7 | 직장가입자 연말정산, 올해부터 별도 신고 없이 자동처리 |
8 |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정부,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 등 발표 |
9 | 일동제약, 한림제약 코프로모션 점안액 4종 패키지 리뉴얼 출시 |
10 | 애브비, 미국 내 TV 광고비 ‘3년 연속’ 정상 등극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경피약물전달 의약품 전문기업 티디에스팜이 최근 전문 인력을 대폭 확충하는 등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수출 확대에 적극 나선다.
9일 회사 측에 따르면 최근 아시아 지역 소재 대형 헬스케어 유통회사들과 의약품 공급 계약 체결을 진행 중이며, 2024년 말까지 총 6개 국가와 텀싯(term sheet) 등 계약 체결을 완료할 계획이다.
수출 대상 주요 제품은 케토프로펜, 플루비프로펜, 디클로페낙, 펠비낙 등 소염진통제 성분의 파스와 리도카인 성분 전문의약품이다. 특히 ‘리도케어’는 2025년부터 인도네시아 대형 헬스케어 유통회사를 통해 수출될 예정으로, 티디에스팜은 전문의약품 수출 기업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의약품 등록기간이 비교적 긴 국가들을 위해 허가 절차가 간소화된 일반 소비재나 기타 분류의 제품인 한방동의고® 등도 우선적으로 준비하는 등 투트랙 전략을 구사한다는 방침이다.
티디에스팜 관계자는 "각 국가 의약품 등록 절차를 진행 중이며, 등록 완료 시점인 2025년 하반기부터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각국 보건당국 허가가 완료돼 제품이 본격적으로 시판되기 시작하면, 5년 내 약 280억 원의 매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국내 시장에서 우수한 품질과 기술력을 검증받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현지 딜러와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다"며 "해외 학회 지원 등 다양한 홍보 전략을 통해 당사 경피흡수제제 의약품 수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티디에스팜은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액 219억 원, 영업이익 34억 원, 당기순이익 31억 원을 달성했다. 특히 3분기 매출액은 65억 원, 엉업이익 8.4억 원을 달성하면서 2002년 설립 이래 매 분기 흑자 행진을 지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