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까지 상장 제약바이오사들의 매출총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증가했다.
약업닷컴이 2024년 11월 보고서(연결) 기준 상장 83개 제약바이오사(코스피 41개사, 코스닥 42개사)의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누적 매출총이익은 코스피 2137억원, 코스닥 66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총이익률은 코스피 42.1%, 코스닥 49.6%다. 3분기 매출총이익은 코스피 752억원, 코스닥 225억원이었다. 매출총이익률은 코스피 42.1%, 코스닥 49.6%다.
매출총이익이란 매출에서 매출원가를 제한 금액을 가리킨다. 매출총이익이 가장 큰 회사는 코스피 삼성바이오로직스, 코스닥 동국제약이었다.
◇코스피 제약바이오사(41개사)
코스피 2024년 누적(9개월) 매출총이익을 보면 삼성바이오로직스(1조6221억원), 셀트리온(1조1379억원), 한미약품(6318억원), 대웅제약(5445억원), 유한양행(5427억원)이 톱 5를 차지했다. 이어 종근당(4021억원), GC녹십자(3604억원), SK바이오팜(3473억원), 보령(2749억원), 동아에스티(2558억원) 순이다.
9개월 누적 매출총이익률은 SK바이오팜(90.3%)이 가장 높았다. 이어 팜젠사이언스(63.0%), 하나제약(61.7%), 유나이티드(58.1%), 명문제약(56.3%), 한미약품(55.2%), 일양약품(54.3%), 국제약품(52.9%), 대웅제약(51.6%), 이연제약(49.5%) 순이다.
9개월 누적 전년동기 대비 증감률을 보면 종근당바이오(+314.6%)가 가장 컸다. SK바이오팜(+67.0%), 경보제약(+32.4%), 부광약품(+30.6%), 삼성바이오로직스(+27.6%), 유한양행(+25.4%), 셀트리온(+24.9%), 국제약품(+21.7%), 대원제약(+17.6%), 영진약품(+13.5%) 등이 상위 10위권이다.
종근당바이오는 매출액이 153억원 늘고 매출원가는 72억원 줄며 전년비 226억원 증가했고, SK바이오팜은 지배기업이 1215억원 늘며 전년비 1393억원 증가했다. 경보제약은 매출이 242억원 증가하며 전년비 144억원 늘었고, 부광약품은 지배기업 129억원 증가로 전년비 124억원 늘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배기업 1655억원, 종속기업 등 1851억원이 늘며 전년비 3506억원 증가했다.
코스피 기준 올해 3분기 매출총이익 상위 10개 기업은 삼성바이오로직스(5441억원), 셀트리온(4634억원), 유한양행(2408억원), 한미약품(1986억원), 대웅제약(1823억원), GC녹십자(1455억원), 종근당(1288억원), SK바이오팜(1201억원), 보령(912억원), 동아에스티(911억원)다.
매출총이익률이 가장 높은 기업은 SK바이오팜(87.9%)이다. 이어 팜젠사이언스(64.4%), 하나제약(57.8%), 유나이티드(57.1%), 명문제약(56.1%), 한미약품(54.9%), 일양약품(54.6%), 국제약품(53.2%), 셀트리온(52.5%), 대웅제약(50.8%) 순이다.
직전 2분기 대비 매출총이익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일성아이에스(+50.2%)다. 유한양행(+43.9%), 셀트리온(+26.0%), JW중외제약(+21.4%), 일양약품(+20.6%), 부광약품(+19.0%), 대원제약(+18.6%), GC녹십자(+13.2%), 삼진제약(+12.5%), 신풍제약(+9.5%) 등이 뒤를 이었다.
일성아이에스는 매출 19억원 증가, 매출원가 12억원 감소로 전기비 31억원 늘었으며, 유한양행은 지배기업 806억원 늘며 전기비 734억원 증가했다. 셀트리온은 지배기업 1017억원 증가해 전기 비 956억원 늘었다. JW중외제약은 지배기업에서 141억원 늘며 전기보다 152억원 증가했다. 일양약품은 지배기업 44억원, 종속기업 등 49억원 늘며 전기비 92억원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을 살펴보면 종근당바이오(+256.5%)가 가장 컸다. 이어 부광약품(+226.0%), 유한양행(+66.7%), 파미셀(+44.4%), SK바이오팜(+43.7%), 국제약품(+34.9%), 경보제약(+25.6%), 대원제약(+25.3%), 셀트리온(+25.1%), 일성아이에스(+24.1%) 등 순이다.
종근당바이오는 매출원가가 49억원 줄며 전년비 65억원 증가했고 부광약품은 지배기업에서 141억원 늘었다. 유한양행은 지배기업에서 914억원 늘며 전년비 963억원 증가했고 파미셀은 매출이 24억원 늘며 전년비 16억원 증가했다. SK바이오팜은 지배기업 55억원 증가, 종속기업 등 310억원 감소하며 전년비 365억원 늘었다.
◇코스닥 제약바이오사(42개사)
코스닥 2024년 누적(9개월) 매출총이익을 보면 동국제약(3341억원), HK이노엔(3212억원), 휴온스(2156억원), 휴젤(2115억원), 파마리서치(1756억원), 안국약품(1225억원), 동구바이오제약(1173억원), 메디톡스(1059억원), 테라젠이텍스(931억원), 경동제약(860억원) 순이다.
9개월 누적 매출총이익률은 휴젤(76.9%)이 가장 높았다. 이어 이수앱지스(72.2%), 파마리서치(71.1%), 케어젠(70.8%), 삼아제약(64.1%), 진양제약(62.4%), 서울제약·동구바이오제약(61.2%), 안국약품(61.1%), 메디톡스(61.0%) 순이다.
9개월 누적 전년동기 대비 증감률을 보면 아이큐어(+93.6%), 제테마(+33.0%), 한국유니온제약(+32.2%), 테라젠이텍스(+29.8%), 경동제약(+29.6%), 진양제약(+24.9%), 파마리서치(+24.7%), 동ㅇ구바이오제약(+24.6%), 이수앱지스(+23.6%), HK이노엔(+18.4%) 등이다.
아이큐어는 지배기업 25억원 증가로 전년비 31억원 늘었고, 제테마는 지배기업 43억원, 종속기업 등 26억원 증가로 전년비 68억원 늘었다. 한국유니온제약은 지배기업에서 48억원 증가했다. 테라젠이텍스는 지배기업 231억원 증가로 전년비 214억원 늘었고 경동제약은 지배기업 195억원 증가로 전년비 197억원 늘었다.
코스닥 기준 올해 3분기 매출총이익 상위 10개 기업은 동국제약(1114억원), HK이노엔(1053억원), 휴젤(829억원), 휴온스(687억원), 파마리서치(646억원), 동구바이오제약·안국약품(414억원), 메디톡스(314억원), 테라젠이텍스(304억원), 경동제약(296억원)이다.
매출총이익률이 가장 높은 기업은 케어젠(86.8%)이다. 이어 휴젤(78.8%), 파마리서치(72.4%), 진양제약(63.7%), 동구바이오제약(62.6%), 안국약품(61.3%), 이수앱지스(60.7%), 경동제약(59.5%), 바이오플러스(59.1%), 메디톡스(58.3%) 순이다.
직전 2분기 대비 매출총이익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JW신약(+63.6%)이다. 바이오플러스(+61.6%), 케어젠(+52.3%), 에스티팜(+47.1%), 바이넥스(+42.0%), 진양제약(+23.2%), 한국비티비(+20.3%), 아이큐어(+17.3%), 휴젤(+15.9%), 알리코제약(+15.8%) 등이 뒤를 이었다.
JW신약은 지배기업에서 68억원이 늘었고 바이오플러스는 지배기업 21억원, 종속기업 등 16억원 늘며 전기비 37억원 증가했다. 케어젠은 지배기업에서 61억원 늘었다. 에스티팜은 지배기업 110억원 증가, 종속기업 등 38억원 감소로 전기비 72억원 증가했다. 바이넥스는 지배기업에서 22억원 늘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은 한국유니온제약(+46.9%), JW신약(+38.9%), 대화제약(+30.6%), 진양제약(+29.5%), 동구바이오제약(+28.8%), 파마리서치(+27.6%), 휴젤(+25.2%), 경동제약(+24.7%), 케어젠(+24.3%), 안국약품(+23.1%) 등 순이다.
한국유니온제약은 지배기업에서 22억원이 늘었으며 JW신약은 지배기업에서 50억원 늘며 전년비 49억원 증가했다. 대화제약은 지배기업 13억원, 종속기업 등 17억원 증가하며 전년비 30억원 늘었다. 진양제약은 매출이 75억원 늘며 전년비 46억원 증가했고 동구바이오제약은 지배기업에서 91억원 늘며 전년비 93억원 증가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GLP-1의 양면성…체중 감량부터 인지장애 감소...관절염·소화기 위험은↑ |
2 | 화장품기업 2024년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 17.26% …전년比 0.05%p↓ |
3 | 제약바이오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전년比 코스피 감소, 코스닥은 증가 |
4 | "임상 강국 향한 도전, 한국판 '분산형 임상시험'이 온다" |
5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사노피 빅딜 뛰어넘는 L/O 임박" |
6 | 치료제 열풍에 관심 커지는 ‘비만법’, 미국도 비만치료제 급여 적용 검토 |
7 | 삼성바이오에피스 김경아 대표 "역대 최대 실적 이어갈 것"…매출 1조5377억원 달성 |
8 | '트럼프 관세' 속도조절에 화장품업계 '일시적' 안도 |
9 | 미국 '틱톡 금지' 유예...급한 불 껐지만 이용자 혼란 |
10 | 젠바디, 브라질 공공기관과 에이즈/매독 동시 진단키트 공급 계약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올해 3분기까지 상장 제약바이오사들의 매출총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증가했다.
약업닷컴이 2024년 11월 보고서(연결) 기준 상장 83개 제약바이오사(코스피 41개사, 코스닥 42개사)의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누적 매출총이익은 코스피 2137억원, 코스닥 66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총이익률은 코스피 42.1%, 코스닥 49.6%다. 3분기 매출총이익은 코스피 752억원, 코스닥 225억원이었다. 매출총이익률은 코스피 42.1%, 코스닥 49.6%다.
매출총이익이란 매출에서 매출원가를 제한 금액을 가리킨다. 매출총이익이 가장 큰 회사는 코스피 삼성바이오로직스, 코스닥 동국제약이었다.
◇코스피 제약바이오사(41개사)
코스피 2024년 누적(9개월) 매출총이익을 보면 삼성바이오로직스(1조6221억원), 셀트리온(1조1379억원), 한미약품(6318억원), 대웅제약(5445억원), 유한양행(5427억원)이 톱 5를 차지했다. 이어 종근당(4021억원), GC녹십자(3604억원), SK바이오팜(3473억원), 보령(2749억원), 동아에스티(2558억원) 순이다.
9개월 누적 매출총이익률은 SK바이오팜(90.3%)이 가장 높았다. 이어 팜젠사이언스(63.0%), 하나제약(61.7%), 유나이티드(58.1%), 명문제약(56.3%), 한미약품(55.2%), 일양약품(54.3%), 국제약품(52.9%), 대웅제약(51.6%), 이연제약(49.5%) 순이다.
9개월 누적 전년동기 대비 증감률을 보면 종근당바이오(+314.6%)가 가장 컸다. SK바이오팜(+67.0%), 경보제약(+32.4%), 부광약품(+30.6%), 삼성바이오로직스(+27.6%), 유한양행(+25.4%), 셀트리온(+24.9%), 국제약품(+21.7%), 대원제약(+17.6%), 영진약품(+13.5%) 등이 상위 10위권이다.
종근당바이오는 매출액이 153억원 늘고 매출원가는 72억원 줄며 전년비 226억원 증가했고, SK바이오팜은 지배기업이 1215억원 늘며 전년비 1393억원 증가했다. 경보제약은 매출이 242억원 증가하며 전년비 144억원 늘었고, 부광약품은 지배기업 129억원 증가로 전년비 124억원 늘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배기업 1655억원, 종속기업 등 1851억원이 늘며 전년비 3506억원 증가했다.
코스피 기준 올해 3분기 매출총이익 상위 10개 기업은 삼성바이오로직스(5441억원), 셀트리온(4634억원), 유한양행(2408억원), 한미약품(1986억원), 대웅제약(1823억원), GC녹십자(1455억원), 종근당(1288억원), SK바이오팜(1201억원), 보령(912억원), 동아에스티(911억원)다.
매출총이익률이 가장 높은 기업은 SK바이오팜(87.9%)이다. 이어 팜젠사이언스(64.4%), 하나제약(57.8%), 유나이티드(57.1%), 명문제약(56.1%), 한미약품(54.9%), 일양약품(54.6%), 국제약품(53.2%), 셀트리온(52.5%), 대웅제약(50.8%) 순이다.
직전 2분기 대비 매출총이익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일성아이에스(+50.2%)다. 유한양행(+43.9%), 셀트리온(+26.0%), JW중외제약(+21.4%), 일양약품(+20.6%), 부광약품(+19.0%), 대원제약(+18.6%), GC녹십자(+13.2%), 삼진제약(+12.5%), 신풍제약(+9.5%) 등이 뒤를 이었다.
일성아이에스는 매출 19억원 증가, 매출원가 12억원 감소로 전기비 31억원 늘었으며, 유한양행은 지배기업 806억원 늘며 전기비 734억원 증가했다. 셀트리온은 지배기업 1017억원 증가해 전기 비 956억원 늘었다. JW중외제약은 지배기업에서 141억원 늘며 전기보다 152억원 증가했다. 일양약품은 지배기업 44억원, 종속기업 등 49억원 늘며 전기비 92억원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을 살펴보면 종근당바이오(+256.5%)가 가장 컸다. 이어 부광약품(+226.0%), 유한양행(+66.7%), 파미셀(+44.4%), SK바이오팜(+43.7%), 국제약품(+34.9%), 경보제약(+25.6%), 대원제약(+25.3%), 셀트리온(+25.1%), 일성아이에스(+24.1%) 등 순이다.
종근당바이오는 매출원가가 49억원 줄며 전년비 65억원 증가했고 부광약품은 지배기업에서 141억원 늘었다. 유한양행은 지배기업에서 914억원 늘며 전년비 963억원 증가했고 파미셀은 매출이 24억원 늘며 전년비 16억원 증가했다. SK바이오팜은 지배기업 55억원 증가, 종속기업 등 310억원 감소하며 전년비 365억원 늘었다.
◇코스닥 제약바이오사(42개사)
코스닥 2024년 누적(9개월) 매출총이익을 보면 동국제약(3341억원), HK이노엔(3212억원), 휴온스(2156억원), 휴젤(2115억원), 파마리서치(1756억원), 안국약품(1225억원), 동구바이오제약(1173억원), 메디톡스(1059억원), 테라젠이텍스(931억원), 경동제약(860억원) 순이다.
9개월 누적 매출총이익률은 휴젤(76.9%)이 가장 높았다. 이어 이수앱지스(72.2%), 파마리서치(71.1%), 케어젠(70.8%), 삼아제약(64.1%), 진양제약(62.4%), 서울제약·동구바이오제약(61.2%), 안국약품(61.1%), 메디톡스(61.0%) 순이다.
9개월 누적 전년동기 대비 증감률을 보면 아이큐어(+93.6%), 제테마(+33.0%), 한국유니온제약(+32.2%), 테라젠이텍스(+29.8%), 경동제약(+29.6%), 진양제약(+24.9%), 파마리서치(+24.7%), 동ㅇ구바이오제약(+24.6%), 이수앱지스(+23.6%), HK이노엔(+18.4%) 등이다.
아이큐어는 지배기업 25억원 증가로 전년비 31억원 늘었고, 제테마는 지배기업 43억원, 종속기업 등 26억원 증가로 전년비 68억원 늘었다. 한국유니온제약은 지배기업에서 48억원 증가했다. 테라젠이텍스는 지배기업 231억원 증가로 전년비 214억원 늘었고 경동제약은 지배기업 195억원 증가로 전년비 197억원 늘었다.
코스닥 기준 올해 3분기 매출총이익 상위 10개 기업은 동국제약(1114억원), HK이노엔(1053억원), 휴젤(829억원), 휴온스(687억원), 파마리서치(646억원), 동구바이오제약·안국약품(414억원), 메디톡스(314억원), 테라젠이텍스(304억원), 경동제약(296억원)이다.
매출총이익률이 가장 높은 기업은 케어젠(86.8%)이다. 이어 휴젤(78.8%), 파마리서치(72.4%), 진양제약(63.7%), 동구바이오제약(62.6%), 안국약품(61.3%), 이수앱지스(60.7%), 경동제약(59.5%), 바이오플러스(59.1%), 메디톡스(58.3%) 순이다.
직전 2분기 대비 매출총이익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JW신약(+63.6%)이다. 바이오플러스(+61.6%), 케어젠(+52.3%), 에스티팜(+47.1%), 바이넥스(+42.0%), 진양제약(+23.2%), 한국비티비(+20.3%), 아이큐어(+17.3%), 휴젤(+15.9%), 알리코제약(+15.8%) 등이 뒤를 이었다.
JW신약은 지배기업에서 68억원이 늘었고 바이오플러스는 지배기업 21억원, 종속기업 등 16억원 늘며 전기비 37억원 증가했다. 케어젠은 지배기업에서 61억원 늘었다. 에스티팜은 지배기업 110억원 증가, 종속기업 등 38억원 감소로 전기비 72억원 증가했다. 바이넥스는 지배기업에서 22억원 늘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은 한국유니온제약(+46.9%), JW신약(+38.9%), 대화제약(+30.6%), 진양제약(+29.5%), 동구바이오제약(+28.8%), 파마리서치(+27.6%), 휴젤(+25.2%), 경동제약(+24.7%), 케어젠(+24.3%), 안국약품(+23.1%) 등 순이다.
한국유니온제약은 지배기업에서 22억원이 늘었으며 JW신약은 지배기업에서 50억원 늘며 전년비 49억원 증가했다. 대화제약은 지배기업 13억원, 종속기업 등 17억원 증가하며 전년비 30억원 늘었다. 진양제약은 매출이 75억원 늘며 전년비 46억원 증가했고 동구바이오제약은 지배기업에서 91억원 늘며 전년비 93억원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