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바이오로직스는 자체 보유한 단백질 서브유닛(Subunit) 백신 개발 플랫폼에 이어 mRNA 백신 개발 플랫폼을 추가하기 위해, 국내 mRNA 백신기술 보유 전문업체들과 함께 mRNA 백신 개발 컨소시엄 킥오프 행사를 진행했다고 5일 발표했다.
신·변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mRNA 백신 개발 컨소시엄에는 백신 상용화 전문업체인 유바이오로직스를 중심으로, 고유의 mRNA 및 지질나노입자(LNP) 플랫폼 기술 특허와 mRNA 항원 설계 기술을 보유한 SML바이오팜(대표이사 남재환)과 전달체 LNP를 GMP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설비와 플랫폼기술을 보유하고 GMP업무 협력을 하고 있는 인벤티지랩(대표이사 김주희)이 참여했다.
또한 연구 지원 및 백신 효능 평가와 관련해서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이 협력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유바이오로직스는 지난 11월 SML바이오팜과 mRNA 백신 관련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했으며, 품목별 상업화 단계에 따라 기술료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컨소시엄은 국내 주요 업체와 단체가 추진 중인 mRNA 백신 개발 프로젝트 중 하나로, 신·변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대한민국의 mRNA 백신 개발 자립화와 백신 산업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컨소시엄은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질환뿐만 아니라 향후 면역항암 치료 백신 개발로 도전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유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국내 기술 보유 업체들과의 컨소시엄을 통해 우선으로 COVID-19 변이주에 대응하는 mRNA 백신 개발에 도전할 것"이라면서 “신속히 개발된 mRNA 백신을 통해 초기 대응에 기여한 뒤, 매년 등장하는 변이주나 주기적인 접종에는 안정적이고 안전한 자체 단백질 항원 백신으로 대체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컨소시엄은 국내 백신 산업 발전을 위한 핵심적인 발판으로, 신·변종 감염병 대응뿐만 아니라 차세대 백신 기술의 상용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오젬픽·위고비 핵심성분 '세마글루타이드' 희귀 안과질환 상관성 조사 개시 |
2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
3 | “국내 제약바이오 육성, 컨트롤타워 구조 개선‧R&D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해야” |
4 | “건강이 선물이 된다” 제약업계 설 명절 선물 기획전 ‘활기’ |
5 | HLB파나진 "바이오스퀘어, 의료기 3종 미국 FDA 제품 등록 완료" |
6 | "K-뷰티 인플루언서, 일본 성공을 꿈꾸다" |
7 | 대웅제약, 신약 소재 ‘화합물’ 공개… ‘오픈 이노베이션’ 기회 찾는다 |
8 | "2025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선정…AI 유전자편집·항노화 항체 등" |
9 | 필수약 안정적 공급하려면...퇴장방지약 지정 기준 현실화 필요 |
10 | 칼리시-셀프리 사이언스, 혁신 신약 개발 -치료제 연구 MOU 체결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유바이오로직스는 자체 보유한 단백질 서브유닛(Subunit) 백신 개발 플랫폼에 이어 mRNA 백신 개발 플랫폼을 추가하기 위해, 국내 mRNA 백신기술 보유 전문업체들과 함께 mRNA 백신 개발 컨소시엄 킥오프 행사를 진행했다고 5일 발표했다.
신·변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mRNA 백신 개발 컨소시엄에는 백신 상용화 전문업체인 유바이오로직스를 중심으로, 고유의 mRNA 및 지질나노입자(LNP) 플랫폼 기술 특허와 mRNA 항원 설계 기술을 보유한 SML바이오팜(대표이사 남재환)과 전달체 LNP를 GMP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설비와 플랫폼기술을 보유하고 GMP업무 협력을 하고 있는 인벤티지랩(대표이사 김주희)이 참여했다.
또한 연구 지원 및 백신 효능 평가와 관련해서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이 협력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유바이오로직스는 지난 11월 SML바이오팜과 mRNA 백신 관련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했으며, 품목별 상업화 단계에 따라 기술료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컨소시엄은 국내 주요 업체와 단체가 추진 중인 mRNA 백신 개발 프로젝트 중 하나로, 신·변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대한민국의 mRNA 백신 개발 자립화와 백신 산업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컨소시엄은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질환뿐만 아니라 향후 면역항암 치료 백신 개발로 도전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유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국내 기술 보유 업체들과의 컨소시엄을 통해 우선으로 COVID-19 변이주에 대응하는 mRNA 백신 개발에 도전할 것"이라면서 “신속히 개발된 mRNA 백신을 통해 초기 대응에 기여한 뒤, 매년 등장하는 변이주나 주기적인 접종에는 안정적이고 안전한 자체 단백질 항원 백신으로 대체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컨소시엄은 국내 백신 산업 발전을 위한 핵심적인 발판으로, 신·변종 감염병 대응뿐만 아니라 차세대 백신 기술의 상용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