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씨비제약, 전신 중증근무력증 표적치료제 '질브리스큐' 허가 획득
항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 양성 전신 중증근무력증 성인 환자 치료 표준요법 부가요법 허가
"중증근무력증 치료 특화 이중 작용 기전 C5 보체 억제제... 환자에 새로운 희망 기대
입력 2024.11.25 09:30 수정 2024.11.25 09:30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한국유씨비제약(대표이사 황수진)의  C5 보체 억제제 ‘질브리스큐프리필드시린지주’(성분명 질루코플란, 이하 질브리스큐)가 성인에서 항아세틸콜린 수용체(이하 항AChR) 항체 양성인 전신 중증근무력증(gMG, generalized Myasthenia Gravis) 표준요법에 대한 부가요법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21일 받았다.

전신 중증근무력증은 신경이 근육에 신호를 전달하지 못해 골격근이 약화되는 만성 자가면역 희귀질환으로, 원인과 치료법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관리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환자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큰 희귀질환으로, 산정특례로도 지정돼 있다. 특히 증상이 급격히 악화돼 호흡 마비로 이어지는 ‘근무력증 위기(crisis) 상황’은 전체 환자 20%가 경험할 정도로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 이러한 전신 중증근무력증을 관리하기 위한 치료 옵션으로 항콜린에스터라제,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치료 효과 발현이 지연되고 효과가 제한적이며, 장기 사용 시 중대한 이상반응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등 치료에 심각한 한계가 존재했다.

질브리스큐는 유일한 이중 작용 기전 C5 보체 억제제로 신경근육 접합부 보체 매개 손상을 억제한다. 또  1일 1회 투여하는 피하주사제로, 한국에서 허가 받은 성인 중증근무력증 치료제 중 자가주사가 가능한 최초이자 유일한 치료 옵션이다.

이번 질브리스큐 허가 승인은 항AChR 항체 양성인 전신 중증근무력증 성인 환자 174명을 대상으로 질브리스큐 임상적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 3상 임상시험 RAISE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 질브리스큐는 경증부터 중증까지 이르는 환자의 증상을 신속하고 일관되게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유효성은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수준으로 확인됐다.

연구의 일차평가변수는 중증근무력증 일상생활 수행 능력 평가 척도인 ‘MG-ADL (Myasthenia Gravis-Activities of Daily Living)’이었다. 점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기저상태(baseline) 대비 치료 12주차에 질브리스큐 투여군(n=86)의 총점은 4.39 점 감소하여, 위약군(n=88)의 총점 2.30 점 감소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p=0.0004).

이차평가변수로는 환자의 근육 쇠약 정도를 평가하는 ‘정량적 중증근무력증(QMG, Quantitative Myasthenia Gravis)’ 및 환자의 증상과 전문의의 평가 수치를 종합하는 ‘중증근무력증 종합척도(MGC, Myasthenia Gravis Composite)’ 등이 포함됐다. 질브리스큐 투여군은 기저상태 대비 12주차 QMG 총점이 6.19 점 감소해, 위약군 QMG 총점 3.25 점 감소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정도를 보였다(p<0.0001). MGC 역시 기저상태 대비 치료 12주차에 질브리스큐 투여군이 위약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 정도를 기록했다(최소 제곱 평균 변화 -8.62 vs -5.42; 95% CI, p=0.0023).

일반적으로 MG-ADL 2점 이상의 개선 또는 QMG 3점 이상 개선을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증상 개선으로 정의한다. 

RAISE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의와 달리, 더 엄격한 기준인 MG-ADL 3점 이상의 개선, QMG 5점 이상의 개선을 기준으로 환자의 치료 효과를 평가했다. 연구 결과, 질브리스큐 투여군에서 MG-ADL 3점 이상 개선을 보일 오즈(odds)는 위약군 대비 3.18배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했다(73% vs 46%; odds ratio 3.18; 95% CI, 1.66-6.10; p=0.0005). 마찬가지로, 질브리스큐 투여군에서 QMG 5점 이상 개선을 보일 오즈는 위약군 대비 2.87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58% vs 33%; odds ratio 2.87; 95% CI, 1.52-5.40; p=0.0012). 질브리스큐 투여군에서 가장 흔하게 보고된 이상반응은 주사부위 반응과 두통, 설사 등이었으며, 심각한 이상반응 발생은 양군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한국유씨비제약 황수진 대표는 “지금까지 전신 중증근무력증 치료법은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고, 장기 사용 시 중대한 이상반응이 발생하여 심각한 미충족 의료 수요가 있었다”며  “이중 작용 기전을 가진 유일한 C5 보체 억제제인 질브리스큐는 뛰어난 임상효과를 입증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안전성과 치료 편의성 개선으로 중증근무력증 장기적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질브리스큐는 2023년 10월 미국 FDA로부터 항AChR 항체 양성 성인 전신 중증근무력증 치료제로 승인을 받았으며, 유럽, 일본, 캐나다 등에서도 허가를 받았다. 국내에서는 지난 2022년 09월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P-CAB으로 보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방향
[인터뷰] AI, 신약 개발 핵심으로…AI신약융합연구원, 경쟁력 강화 박차
한국약제학회 조혜영 회장 "연구와 산업 잇는 혁신적 허브 목표"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한국유씨비제약, 전신 중증근무력증 표적치료제 '질브리스큐' 허가 획득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한국유씨비제약, 전신 중증근무력증 표적치료제 '질브리스큐' 허가 획득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