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상장 제약바이오사들의 해외매출을 분석한 결과, 전기 대비 코스피 및 코스닥 제약바이오사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업닷컴이 2024년 5월 사업보고서(연결) 기준 상장 82개 제약바이오사(코스피 41개사, 코스닥 41개사)의 올해 1분기 해외매출을 분석한 결과, 코스피 평균 516원, 코스닥 평균 76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전기 대비 각각 15.2%, 7.3% 증가한 수치다.
1분기 해외매출이 가장 많은 회사는 코스피 삼성바이오로직스, 코스닥 에스티팜이다.
◇코스피 제약바이오사(41개사)
코스피 기준 올해 1분기 해외매출 상위 10개 기업은 삼성바이오로직스(9135억원), 셀트리온(4839억원), 한미약품(1756억원), SK바이오팜(1080억원), 유한양행(854억원), 대웅제약(539억원), GC녹십자(443억원), 종근당바이오(335억원), 동아에스티(305억원), 일양약품(299억원)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을 보면 동화약품(+406.4%)이 가장 크게 증가했으며, 광동제약(+233.5%), 대원제약(+123.7%), 영진약품(+87.1%), SK바이오팜(+77.6%),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67.8%), 한독(+63.2%), 일성아이에스(+47.2%), 신풍제약(+41.1%), 동성제약(+33.9%) 등 순이다.
매출액 대비 해외매출 비중이 가장 큰 회사는 삼성바이오로직스(96.5%)이며 SK바이오팜(94.7%), 종근당바이오(73.6%), 셀트리온(65.7%), 한미약품(43.5%), 일양약품(38.1%), SK바이오사이언스(27.6%), 파미셀(26.3%), 신풍제약(25.6%), 동성제약(20.6%) 등이 뒤를 이었다.
해외매출 비중 증감률을 살펴보면 동화약품(+15.4%P), 신풍제약(+5.3%P),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ㆍ영진약품(+4.9%P), 광동제약(+4.4%P), 동성제약(+4.3%P), 일성아이에스(+3.4%P), 유한양행(+2.5%P), 대원제약(+1.9%P), 한미약품(+1.5%P) 등 순이다.
◇코스닥 제약바이오사(41개사)
코스닥 기준 올해 1분기 해외매출 상위 10개 기업은 에스티팜(429억원), 휴젤(422억원), 메디톡스(355억원), 코오롱생명과학(321억원), 파마리서치(260억원), 케어젠(200억원), 동국제약(183억원), 제테마(135억원), 이수앱지스(109억원), 휴온스(101억원)이다.
아이큐어는 해외매출 금액을 공시하지 않았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을 보면 이수앱지스(+380.1%)가 가장 크게 증가했으며, 한국파마(+266.6%), 엔지켐생명과학(+232.9%), 한국유니온제약(+76.5%), 삼천당제약(+43.9%), 휴메딕스(+40.8%), 파마리서치(+32.2%), 제테마(+27.1%), 휴젤(+22.7%), 코오롱생명과학(+15.8%) 등 순이다.
매출액 대비 해외매출 비중이 가장 큰 회사는 케어젠(98.0%)이며 코오롱생명과학(83.2%), 에스티팜(82.9%), 제테마(78.1%), 이수앱지스(65.9%), 메디톡스(65.1%), 휴젤(56.8%), 바이오플러스(51.7%), 파마리서치(34.7%), 휴메딕스(20.3%) 등이 뒤를 이었다.
해외매출 비중 증감률을 살펴보면 이수앱지스(+32.4%P), 엔지켐생명과학(+4.4%P), 휴메딕스(+3.9%P), 휴젤(+3.4%P), 한국파마(+2.8%P), 비씨월드제약(+2.5%P), 에스티팜(+2.2%P), 케어젠(+2.0%P), 한국유니온제약(+1.9%P), 삼천당제약(+0.9%P) 등 순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나 지금 떨고 있니?" FDA '보완요구서한(CRL)' 공개에 기업은 긴장 투자자는 환영 |
2 | 아마존 프라임데이 뷰티 부문 매출 1위 '메디큐브' |
3 | 케어젠, 먹는 GLP-1 펩타이드 ‘코글루타이드’ 에콰도르 등록 완료 |
4 | '기분 탓'이라 넘기기엔 너무 위험…양극성장애, 평균 진단까지 6년 |
5 | K-뷰티 북미 공략 본격화… 'CPNA 2025' 한국 190여개사 참가 |
6 | KEY NOTES for MANAGEMENT: 2025년 06월 |
7 | 화장품은 프랑스를 대표하는 산업이다! 쎄파띠~ |
8 | "개인의 돌봄 부담, 사회가 함께 나눠야"…전국민 장기요양보험 확대 목소리 |
9 | J&J서 분사 ‘켄뷰’ 매각 전주곡? CEO 전격교체 |
10 | "VC·AC 주목해주세요" 유망 스타트업 투자유치 플랫폼 '빅웨이브'에 총집합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올해 1분기 상장 제약바이오사들의 해외매출을 분석한 결과, 전기 대비 코스피 및 코스닥 제약바이오사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업닷컴이 2024년 5월 사업보고서(연결) 기준 상장 82개 제약바이오사(코스피 41개사, 코스닥 41개사)의 올해 1분기 해외매출을 분석한 결과, 코스피 평균 516원, 코스닥 평균 76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전기 대비 각각 15.2%, 7.3% 증가한 수치다.
1분기 해외매출이 가장 많은 회사는 코스피 삼성바이오로직스, 코스닥 에스티팜이다.
◇코스피 제약바이오사(41개사)
코스피 기준 올해 1분기 해외매출 상위 10개 기업은 삼성바이오로직스(9135억원), 셀트리온(4839억원), 한미약품(1756억원), SK바이오팜(1080억원), 유한양행(854억원), 대웅제약(539억원), GC녹십자(443억원), 종근당바이오(335억원), 동아에스티(305억원), 일양약품(299억원)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을 보면 동화약품(+406.4%)이 가장 크게 증가했으며, 광동제약(+233.5%), 대원제약(+123.7%), 영진약품(+87.1%), SK바이오팜(+77.6%),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67.8%), 한독(+63.2%), 일성아이에스(+47.2%), 신풍제약(+41.1%), 동성제약(+33.9%) 등 순이다.
매출액 대비 해외매출 비중이 가장 큰 회사는 삼성바이오로직스(96.5%)이며 SK바이오팜(94.7%), 종근당바이오(73.6%), 셀트리온(65.7%), 한미약품(43.5%), 일양약품(38.1%), SK바이오사이언스(27.6%), 파미셀(26.3%), 신풍제약(25.6%), 동성제약(20.6%) 등이 뒤를 이었다.
해외매출 비중 증감률을 살펴보면 동화약품(+15.4%P), 신풍제약(+5.3%P),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ㆍ영진약품(+4.9%P), 광동제약(+4.4%P), 동성제약(+4.3%P), 일성아이에스(+3.4%P), 유한양행(+2.5%P), 대원제약(+1.9%P), 한미약품(+1.5%P) 등 순이다.
◇코스닥 제약바이오사(41개사)
코스닥 기준 올해 1분기 해외매출 상위 10개 기업은 에스티팜(429억원), 휴젤(422억원), 메디톡스(355억원), 코오롱생명과학(321억원), 파마리서치(260억원), 케어젠(200억원), 동국제약(183억원), 제테마(135억원), 이수앱지스(109억원), 휴온스(101억원)이다.
아이큐어는 해외매출 금액을 공시하지 않았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을 보면 이수앱지스(+380.1%)가 가장 크게 증가했으며, 한국파마(+266.6%), 엔지켐생명과학(+232.9%), 한국유니온제약(+76.5%), 삼천당제약(+43.9%), 휴메딕스(+40.8%), 파마리서치(+32.2%), 제테마(+27.1%), 휴젤(+22.7%), 코오롱생명과학(+15.8%) 등 순이다.
매출액 대비 해외매출 비중이 가장 큰 회사는 케어젠(98.0%)이며 코오롱생명과학(83.2%), 에스티팜(82.9%), 제테마(78.1%), 이수앱지스(65.9%), 메디톡스(65.1%), 휴젤(56.8%), 바이오플러스(51.7%), 파마리서치(34.7%), 휴메딕스(20.3%) 등이 뒤를 이었다.
해외매출 비중 증감률을 살펴보면 이수앱지스(+32.4%P), 엔지켐생명과학(+4.4%P), 휴메딕스(+3.9%P), 휴젤(+3.4%P), 한국파마(+2.8%P), 비씨월드제약(+2.5%P), 에스티팜(+2.2%P), 케어젠(+2.0%P), 한국유니온제약(+1.9%P), 삼천당제약(+0.9%P) 등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