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제약의 1분기 실적이 전기대비 회복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약업닷컴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의 대화제약 분기보고서를 토대로 1분기 실적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1분기 대화제약의 매출액은 347억원으로 전기대비 9.8% 감소, 전년동기 6.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총이익은 115억원으로 전기대비 3.6% 오른 반면, 전년동기대비 5.4% 낮아졌다.
영업손익은 2억원의 손실을 기록함에 따라 전기대비 적자지속,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했다. 순손익 역시 14억원의 손실을 기록해 전기대비 적자지속,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했다.
상품매출액은 68억원으로 전기대비 8.2%, 전년동기대비 4.5% 각각 떨어졌다.
반대로 연구개발비는 전기대비 7.9%, 전년동기대비 26.3% 각각 올라 37억원을 기록했다.
해외매출액은 28억원으로 전기대비 18.9%, 전년동기대비 5.2% 각각 낮아졌다.
사업부문별 1분기 매출액을 분석한 결과, 의약품 제조업의 경우 261억원으로 전기대비 8% 낮아진 반면, 전년동기대비 10%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도매업의 매출액은 52억원으로 전기대비 8%, 전냔동기대비 5% 각각 떨어졌다.
의료정보시스템의 매출액은 4000만원으로 전기대비 78%, 전년동기대비 118% 상승했다.
의약품 원료 제조업의 경우 16억원으로 전기대비 26%, 전년동기대비 5% 하락했다.
화장품 및 의료기기 제조‧판매 부문의 경우 17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으며, 이는 전기대비 23% 하락, 전년동기대비 2% 상승한 결과다.
사업부문별 매출 비중은 △의약품 제조업 75% △의약품 도매업 15% △의약품 원료 제조업 5% △화장품 및 의료기기 제조‧판매 5% 순이다.
영업손익을 분석한 결과, 의약품 제조업은 1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전기대비 적자지속,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도매업은 4000만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으나 전기대비 44% 낮아졌다. 다만 전년동기에 비해서는 흑자전환했다.
의료정보시스템의 영업이익은 5000만원으로 전기대비 25% 하락했으나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했다.
의약품 원료 제조업은 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전기대비 71%, 전년동기대비 26% 상승했다.
화장품 및 의료기기 제조‧판매업의 영업이익은 7억원으로 전기대비 38% 하락했으나 전년동기대비 9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부문별 영업손익 비중은 △의약품 제조업 838% △의약품 도매업 –22% △의료정보시스템 –25% △의약품 원료 제조업 –290% △화장품 및 의료기기 제조‧판매업 –382% 등으로 확인됐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바이오솔루션 '카티라이프' 한국 세포치료제 새 이정표 쓰다…"FDA 2상 성공" |
2 | 자사주 손질 나선 제약사들…상법 개정에 '지분 재편' 본격화 |
3 | "감자튀김도 QbD로 만든다?"…제약 공정 설계의 신세계 |
4 | K-뷰티, 일본 고가 시장선 '유명무실' |
5 | EU, 화학물질 규제 손봐…화장품도 절차 완화 |
6 | 지에프씨생명과학, 서울대 약대 노민수 교수와 ‘피부면역질환 RNA 신약개발’ 맞손 |
7 | ‘가장 영향력 있는 100대 기업’에 화장품기업 3곳 |
8 | 이뮨온시아, IMC-001 2상 결과보고서 완료…국내 희귀의약품 지정 추진 |
9 | "가해자 보험사가 진료 여부 결정?"…한의협, 셀프심사에 진료권 침해 반발 |
10 | [이마트 건기식 리뷰] 리얼닥터 어골칼슘 마그네슘 비타민D 아연 / 한풍네이처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대화제약의 1분기 실적이 전기대비 회복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약업닷컴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의 대화제약 분기보고서를 토대로 1분기 실적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1분기 대화제약의 매출액은 347억원으로 전기대비 9.8% 감소, 전년동기 6.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총이익은 115억원으로 전기대비 3.6% 오른 반면, 전년동기대비 5.4% 낮아졌다.
영업손익은 2억원의 손실을 기록함에 따라 전기대비 적자지속,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했다. 순손익 역시 14억원의 손실을 기록해 전기대비 적자지속,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했다.
상품매출액은 68억원으로 전기대비 8.2%, 전년동기대비 4.5% 각각 떨어졌다.
반대로 연구개발비는 전기대비 7.9%, 전년동기대비 26.3% 각각 올라 37억원을 기록했다.
해외매출액은 28억원으로 전기대비 18.9%, 전년동기대비 5.2% 각각 낮아졌다.
사업부문별 1분기 매출액을 분석한 결과, 의약품 제조업의 경우 261억원으로 전기대비 8% 낮아진 반면, 전년동기대비 10%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도매업의 매출액은 52억원으로 전기대비 8%, 전냔동기대비 5% 각각 떨어졌다.
의료정보시스템의 매출액은 4000만원으로 전기대비 78%, 전년동기대비 118% 상승했다.
의약품 원료 제조업의 경우 16억원으로 전기대비 26%, 전년동기대비 5% 하락했다.
화장품 및 의료기기 제조‧판매 부문의 경우 17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으며, 이는 전기대비 23% 하락, 전년동기대비 2% 상승한 결과다.
사업부문별 매출 비중은 △의약품 제조업 75% △의약품 도매업 15% △의약품 원료 제조업 5% △화장품 및 의료기기 제조‧판매 5% 순이다.
영업손익을 분석한 결과, 의약품 제조업은 1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전기대비 적자지속,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도매업은 4000만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으나 전기대비 44% 낮아졌다. 다만 전년동기에 비해서는 흑자전환했다.
의료정보시스템의 영업이익은 5000만원으로 전기대비 25% 하락했으나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했다.
의약품 원료 제조업은 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전기대비 71%, 전년동기대비 26% 상승했다.
화장품 및 의료기기 제조‧판매업의 영업이익은 7억원으로 전기대비 38% 하락했으나 전년동기대비 9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부문별 영업손익 비중은 △의약품 제조업 838% △의약품 도매업 –22% △의료정보시스템 –25% △의약품 원료 제조업 –290% △화장품 및 의료기기 제조‧판매업 –382% 등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