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비뇨의학연구실 연구진(함원식, 박지수 교수)은 신라젠의 항암신약 후보 ‘BAL0891’이 다수의 비뇨기암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4)에 제출해 포스터 발표로 채택됐다고 22일 밝혔다.
미국암연구학회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와 유럽종양학회(ESMO)와 더불어 암 분야 세계 3대 학회로 꼽히는 최고 권위의 암 학회이며, 올해는 4월 5일부터 10일(미국 현지시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개최된다.
BAL0891은 신라젠이 지난 2022년 스위스 제약기업 바실리아에서 도입한 항암제로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시험계획(IND) 변경 승인을 신청해 삼중음성유방암(TNBC)과 위암(GC)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용량 확장 임상시험을 추가, 처음 계획보다 96명이 늘어난 총 216명으로 시험 대상자를 확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진에 따르면 비뇨기암에서도 BAL0891이 효과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BAL0891이 타깃하고 있는 TTK와 PLK1 효소가 다수의 비뇨기과암 세포주 및 환자 조직에서 유의하게 발현됐다. 이러한 세포주들에서 BAL0891이 효과적인 것이 입증됐다.
신라젠 관계자는 “BAL0891은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임상이 순항 중”이라며 “BAL0891이 기존에 연구 중인 암종 외에서도 효과적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세계 최고 권위의 학회에서 인정받았다는 것은 의미 있는 결과”라고 밝혔다.
한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비뇨의학연구실 함원식, 박지수 교수 연구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지원 사업(유형1-2)의 지원을 받는 등 주요 기초의학 연구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중국 제약사 비인두 암 치료제 FDA 허가관문 통과 |
2 | 박셀바이오, NK, CAR, 자가골수유래 세포처리시설 식약처 인허가 |
3 | 지난해 12월 상장 제약바이오 유보율 코스피 1898.07%-코스닥 2586.69% |
4 | 바이오스타 정상목 박사 "FDA를 임상개발 전략으로 설득하라” 성공 노하우 제시 |
5 | [기업분석] 상장 화장품기업 2024년 부채비율 59.53% …전년比 3.62%p↓ |
6 | AWS가 제시한 '병원·헬스케어 디지털 혁신' 4대 키워드 |
7 | 고려대 류혜진 교수 연구팀, 현대약품 '당뇨 신약' 근감소 억제 가능성 규명 |
8 | "신뢰받는 전문가로" 대한약사회, 4대 TF로 직능 미래 설계 |
9 | 신라젠 'BAL0891', 면역관문억제제 병용 효과 가능성 미국암연구학회 발표 |
10 | 한독, 5월 회사 분할...건기식사업 법인 신설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비뇨의학연구실 연구진(함원식, 박지수 교수)은 신라젠의 항암신약 후보 ‘BAL0891’이 다수의 비뇨기암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미국암연구학회 연례학술대회(AACR 2024)에 제출해 포스터 발표로 채택됐다고 22일 밝혔다.
미국암연구학회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와 유럽종양학회(ESMO)와 더불어 암 분야 세계 3대 학회로 꼽히는 최고 권위의 암 학회이며, 올해는 4월 5일부터 10일(미국 현지시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개최된다.
BAL0891은 신라젠이 지난 2022년 스위스 제약기업 바실리아에서 도입한 항암제로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시험계획(IND) 변경 승인을 신청해 삼중음성유방암(TNBC)과 위암(GC)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용량 확장 임상시험을 추가, 처음 계획보다 96명이 늘어난 총 216명으로 시험 대상자를 확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진에 따르면 비뇨기암에서도 BAL0891이 효과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BAL0891이 타깃하고 있는 TTK와 PLK1 효소가 다수의 비뇨기과암 세포주 및 환자 조직에서 유의하게 발현됐다. 이러한 세포주들에서 BAL0891이 효과적인 것이 입증됐다.
신라젠 관계자는 “BAL0891은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임상이 순항 중”이라며 “BAL0891이 기존에 연구 중인 암종 외에서도 효과적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세계 최고 권위의 학회에서 인정받았다는 것은 의미 있는 결과”라고 밝혔다.
한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비뇨의학연구실 함원식, 박지수 교수 연구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지원 사업(유형1-2)의 지원을 받는 등 주요 기초의학 연구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다.